문학 이야기/고전산문

채생기우 - 이현기

푸른행복님 2025. 4. 14. 14:16

1. 전체 줄거리(EBS수능특강 참고)

 조선 영조 때 숭례문 밖 만리현(현 만리재)에 채생이라는 가난한 선비가 살았는데, 그의 아버지는 몰락한 양반이어서, 가문을 다시 일으키려는 목적으로 채생을 엄하게 가르쳤다. 한식을 앞둔 어느 날, 아버지의 명에 따라 성묘를 하러 가는 길에 채생은 어느 대저택으로 납치되어 아리따운 청춘과부와 비밀 결혼을 하게 된다. 채생이 아버지 몰래 소실로 맞이한 청춘과부는 역관이자 큰 부자인 김령의 외동딸이었다. 김령은 혼례를 치르기도 전에 신랑이 죽어 과부가 되어 버린 딸의 처지를 애처롭게 여겨 딸을 재혼시키고자 새벽에 하인들을 거리로 내보내 처음 만나는 젊은 남자를 강제로 데려오게 했는데 우연하게도 그 대상이 채생이었던 것이다. 채생의 아버지는 뒤늦게 그 사실을 알고 알고 격노하여 아들을 혼내고 김령을 불러 꾸짖는다. 채생의 아버지가 몹시 흥분한 것과 달리, 김령은 시종 침착한 태도를 유지하며 채생의 아버지가 원하는 대로 두 집안 사이의 인연을 끊기로 한다. 그러나 이후에 김령은 극심한 가난에 시달리는 채생 집안을 적절한 때 표 나지 않게 ㄷ우면서, 시종일관 사려 깊은 태도, 능수능란한 대처 능력, 따뜻한 인간미를 보여 주어 채생의 아버지가 차츰 고집을 꺾고 마침내 김령에게 모든 것을 의지하도록 만든다. 김령의 슬기롭고 교묘한 계획이 순조롭게 실행됨에 따라 김령의 딸은 채생 집안의 며느리로 시댁 식구들과 화목하게 지내게 되고, 채생은 김령의 물질적 지원에 힘입어 과거 공부에만 전념해 과거에 급제하고 높은 벼슬을 하여 공명을 이룬다.

 

2. 핵심 정리

• 갈래 : 야담계 한문 단편소설
• 성격 : 사실적, 풍자적, 해학적, 대조적, 묘사적
• 주제 : 남녀의 기이한 만남, 몰락 양반과 성공한 중인의 대조적 삶의 태도와 생활 정경
• 특징 :
 ① 몰락한 양반과 성공한 중인 계급의 대비로 주제가 강화되고 있음.
 ② 혼인을 통한 신분 상승의 계층 이동이 드러남.
 ③ 당시 자본에 대한 인식이 드러나는 사회적 상황이 반영됨.
 ④ 삽입시를 통해 인물의 심리를 적절하게 드러냄.

 

3. 작품 해설 

  조선 후기의 문인인 이현기가 지은 야담으로, 소설적 경향이 두드러져서 야담계 소설로도 분류되는 작품이다. 몰락해 가는 양반 계급을 대표하는, 채생의 아버지와 성공한 중인 계급을 대표하는 김령을 등장시켜 그 대조적인 생활 정경과 인물의 성격 및 심리를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조선 후기에 일어난 사회 변화의 모습을 드러내 보여 준다. 제목인 ‘채생기우(蔡生奇遇)’는 ‘채생의 기이한 만남’을 뜻한다.

- EBS, 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4. 심화 내용 연구

1. 채생 아버지가 보이는 심리 변화

 채생 아버지는 몰락하였지만 양반으로서의 정신을 중요시한 인물이었다. 하지만 채생과 김령의 딸이 혼인을 하고 이후 자신을 제외한 가족들이 채생의 ‘새집’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채생 아버지는 새집에 들어가는 것을 완강하게 거부한다. 즉 명분과 체면을 중시하는 모습이 잘 드러난다. 하지만 잦은 새집 방문과 가족들의 반응을 보면서 명분, 체면과 인간적 욕구 사이에서의 내적 갈등을 한다. 결과적으로 채생 아버지는 새집에 들어가겠다는 말을 한다. 이는 인간적 욕구를 긍정하면서 채생 아버지의 심리가 변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2. 채생 집안과 김령의 집에 대한 대비

 채생의 집은 부서진 창, 찬바람이 들어오는 뚫어진 처마, 벼룩이 들끌는 부들자리와 삼베 이불 등의 표현을 통해 매우 가난하게 묘사되고 있다. 반면에 김령의 집은 향기로운 규방, 즐거움이 있는 집으로 묘사되고 있다. 채생은 조선시대 양반의 집이고 김령의 집은 중인의 집인데 금전적인 측면에서 극명하게 대비되고 있다. 이를 통해 조선 시대의 사회적 상황을 잘 보여준다.

 

3. 채생기우의 서사 구조(EBS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① 채생 집안의 가난과 채생 아버지의 엄격한 자식 훈육 : 채생의 아버지는 몰락 양반으로 몹시 가난했으나 지조 높은 선비로 가문의 중흥을 위해 채생을 혹독하게 훈육했고, 채생이 혼례를 치른 이후에도 변함이 없었음.
② 김령의 달과 인연을 맺게 된 채생 : 채생이 아버지의 명을 받아 성묘를 하러 가던 중 김령이 보낸 하인들에게 강제로 끌려가, 김령의 집에서 그의 딸과 인연을 맺음. 김령은 중인 신분이나 상당한 재력과 권력을 지닌 사람으로, 과부가 된 외동딸을 가엾게 여겨 새 베필을 구해 준 것임.
③ 채생의 아버지가 채생을 꾸짖고, 김령에게 항의함 : 집으로 돌아온 채생은 김령의 집에서 누렸던 즐거움을 잊지 못해 괴로워하다가 김령의 딸과 인연을 맺은 사실을 아버지에게 들켜 크게 혼이 남. 채생의 아버지는 김령을 찾아가 항의했으나 김령이 능란하게 응대해 서로 상관하지 않기로 약속하고 헤어짐.
④ 채생 집안이 곤경에 처할 때마다 적절한 도움을 주어 김령이 채생의 아버지의 마음을 얻음 : 채생 집안이 가난 때문에 갖은 곤경에 처할 때마다 김령은 상대방이 자존심 상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물질적 도움을 줌. 이런 일이 거듭되면서 채생의 아버지도 점차 김령의 따뜻한 인간미에 감화되어 고집을 꺾고 결국 김령에게 모든 것을 의지하게 됨.
⑤ 모든 일이 김령의 뜻대로 이루어지고, 채생도 과거에 급제해 입신양명함 : 김령의 딸은 채생 집안의 작은며느리로 받아들여지고, 김령의 도움으로 채생 집안은 풍족한 생활을 하게 됨. 살림 걱정 없이 공부에 전념한 채생은 과거에 급제해 세상에 공명을 떨침.

4. 채생 아버지와 김령의 성격 비교(EBS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채생기우’의 서사는 채생의 아버지와 김령 사이의 갈등을 기본 축으로 하여 진행된다. 두 사람은 신분과 의식 면에서 큰 차이가 있고, 그러한 차이 때문에 ‘채생과 김령의 청상과부 외동딸은 혼사’에 대해서도 처음에는 극단적인 견해차를 보인다. 둘 사이의 견해차는 이야기가 진행되어 가는 과정에서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포섭되는 방향으로 좁혀지는데, 이는 김령이 시종 능수능란하게 구사한 단계적 설득 전략 때문에 가능했다.

5. 「채생기우」 창작의 시대적 배경
 「채생기우」의 작가 이현기(1796~1846)가 살았던 시대는, 중인 또는 그 이하 신분층에서 장사를 비롯한 시장 경제 활동을 통해 재물을 모으고, 재력을 바탕으로 일정한 권력을 갖게 된 계층이 형성되었던 시기이다. 이러한 사회 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성리학의 이념이 약화되고 신분제의 동요가 일어났으며, 자본ᄀᅶ 욕망이 중세의 체면과 윤리 가치를 흔들었던 시기가 바로 「채생기우」의 배경이 되는 시대이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에 작가 이현기는 당대의 전형적 인물상을 통해 욕망에 대한 긍정과 합리적 사고를 강조하고, 자유와 행복을 제약하는 성리학적 규범을 비판했다.

 

채생기우 - 이현기.pdf
0.09MB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