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 평균 성적이 높다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 시험의 난이도가 쉽거나 둘째, 해당 고교 재학생들의 학업 수준이 높다.
이 두 가지 가능성 중 어느 쪽에 해당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표준편차’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표준편차’는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치로, 쉽게 설명하면 ‘해당 고교의 학생 간 수준의 차이’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다. 표준편차가 크다면 상위권 학생과 하위권 학생 간의 원점수 차이가 크다는 의미이고, 표준편차가 작다면 그 반대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외고의 경우 평균이 91.80, 표준편차가 5.98이었다. 이는 시험을 응시한 학생의 90% 이상이 원점수 80점 이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할 수 있다. 특히 원점수 90점 이상인 학생이 50% 이상일 가능성 역시 높다. 즉 평균 성적이 높지만 표준편차가 작은 학교는 그만큼 학생들의 수준도 높은 학교라고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교과 평준성적&표준편차로 보는 고교별 내신 관리법
- 고교 유형별 내신 관리 방법교과
www.ebsi.co.kr:80
728x90
'대입 이야기 > 입시 자료 및 입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택과목 적용하는 2022 수능! 과목별 수능 학습 계획 영리하게 짜는 법 (0) | 2021.02.17 |
---|---|
2022학년도 입시 일정별 수험생 점검 사항 (0) | 2021.02.17 |
고교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대입 전형에 대한 오해와 진실 (0) | 2021.02.17 |
2021년 고등학고 3학년 모의고사 일정 (0) | 2021.02.16 |
[예비 고3 필독] 2022 대입 전형별 특징 총분석!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