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 평준성적&표준편차로 보는 고교별 내신 관리법

 교과 평균 성적이 높다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 시험의 난이도가 쉽거나 둘째, 해당 고교 재학생들의 학업 수준이 높다.
 이 두 가지 가능성 중 어느 쪽에 해당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표준편차’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표준편차’는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치로, 쉽게 설명하면 ‘해당 고교의 학생 간 수준의 차이’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다. 표준편차가 크다면 상위권 학생과 하위권 학생 간의 원점수 차이가 크다는 의미이고, 표준편차가 작다면 그 반대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외고의 경우 평균이 91.80, 표준편차가 5.98이었다. 이는 시험을 응시한 학생의 90% 이상이 원점수 80점 이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할 수 있다. 특히 원점수 90점 이상인 학생이 50% 이상일 가능성 역시 높다. 즉 평균 성적이 높지만 표준편차가 작은 학교는 그만큼 학생들의 수준도 높은 학교라고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교과 평준성적&표준편차로 보는 고교별 내신 관리법

- 고교 유형별 내신 관리 방법교과

www.ebsi.co.kr:8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