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운율 (1) 개념 운율은 운(韻)과 율격(律格)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소리의 일정한 규칙적 질서를 의미한다. 운율은 리듬보다는 좀 넓은 개념이다. 우리는 시 작품을 읽을 때에 독특한 운율을 체험한다. 시는 운율을 지닌다는 점에서 얘기체와 구분된다고도 말할 수 있다.※ 운율(韻律) ① 운(韻) : 특정한 위치에 음운이 반복되는 현상으로, 같은 소리 또는 비슷한 소리의 반복에 의하며, 두운, 요운,각운이 이에 속한다. (음위율) ② 율(律) : 동일한 소리 덩어리가 일정하게 반복되는 현상을 가리키며, 소리의 고저, 장단, 강약 등의 주기성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음성율) (2) 운율의 효과 ① 음악을 듣는 듯한 느낌을 준다. ② 소리의 규칙적 질서에 의해 즐거움과 함께 깊은 인상을 준다. ③ 일상의 생활..
시의 요소 (1) 시의 구성 요소음악적 요소시의 리듬으로 정형시의 외형률과 자유시의 내재율 등의 율조를 가리킨다. 자음과 모음 등의 소리가 지니는 음 자체의 성질, 의성어 등의 음성 상징어가 지니는 음악성, 음의 반복이나 교묘한 배열 등에 의해 나타나는 요소이다. (순수시, 상징시)의미적 요소시의 사상과 정서로서 시어와 문장이 표출하는 함축적인 의미와 정서를 말한다. (경향시, 관념시)회화적 요소시의 심상으로 감각적 표현에서 중시된다. 어떤 사물을 마음속에 떠올리도록 만드는 요소로서 시에서는 심상(心想)으로 나타난다. 언어가 갖는 청각적인 요소인 소리는 의미와 결합을 통해 즉각 어떤 상징으로 바뀐다. 그리고 그 상징은 동시에 그것이 지시하는 어떤 심상을 환기하게 되는 데 이러한 요소를 회화적 요소라 한다..
시의 언어 (1) 시적 언어의 개념 시는 언어로 이루어지는 예술이다. 따라서, 한 편의 시는 언어 예술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시다운 언어’라는 말을 쓴다. 이 말은 시에만 쓰이는 언어가 일상 언어와 별도로 있음을 뜻하는 것이 아니고, 시다운 쓰임새를 지닌 언어라는 뜻이다.언어의 유기적 통합체시작품의 언어가 이루어 내는 질서와 조직은 일상적인 언어의 그것과는 다르다. 음성적인 요소, 구문적인 요소, 의미론적인 요소 등이 섞여 있다. 그러나 이들은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총체적 구조를 이룬다고 보는 것이다.시적 기능을 지닌 언어대체로, 일상적인 의미 전달 행위와는 달리 시에서는 언어가 지닌 제반 요소들(예컨대 의미적 요소, 구문적 요소, 음성적 요소들) 모두 부각 혹은 강조될 수..
시의 심상 (1) 심상의 개념 심상이란 본래 심리학 용어로 감각을 우리 마음속에 재생시키는 것을 뜻하지만, 문학에서는 표현 매체인 언어에 의해 마음속에 재현된 사물의 감각적(感覺的) 영상(사물의 형상, 느낌)을 심상이라 한다. 구체적 사물에 대한 감각적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는 표현을 말한다. (2) 심상의 기능(함축성, 구체성, 감각의 직접성) 심상은 독자에게 감각적 인상을 불러 일으켜 추상적인 관념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사물을 보다 생생하게 전달하며, 사물의 인상과 연상을 더욱 뚜렷이 하는 기능을 한다. ① 독자에게 감각적 인상을 불러일으킨다. ② 추상적 관념을 구체적으로 형상화시킨다. ③ 사물의 인상과 영상을 뚜렷하게 만들어 생생하게 전달한다. ④ 독자의 반응을 유도하여 시를 정서와 연결시켜 준..
시의 갈래 시는 서정 갈래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의 하위 갈래의 분류기준은 문학이 자리잡고 있는 사회나 보는 이의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할 수 있으며, 국문학에서 하위 갈래 역시 다양하게 나타난다. (1) 형식에 따른 분류자유시(自由詩)산문정신의 발달로 나타나게 된 자유시는, 정형시가 지니고 있는 운율적, 형식적 제약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표현의 시로서 현대시의 대부분이 이 주류를 이룬다.정형시(定型詩)시의 형식이 일정한 규칙에 의해서 이루어진 시로서, 우리 나라의 향가 경기체가, 시조, 가사와 같이 운율이나 행과 연이 일정하게 배열된 것이다.산문시(散文詩)산문시는 행과 연의 구별이 없이 외형상 산문처럼 쓰여진 시로 시적(詩的)인 내용을 산문적(散文的) 형식으로 표현한 시로서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운율..
소설의 인물 소설은 작품 속에서의 인물과 그 인물의 성격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인물(character)이란 용어는 본시 영어에서는 인물과 성격의 두 가지 뜻으로 사용했다. 소설의 구성 요소 중에서 인물 설정이 가장 중요한 까닭은, 소설의 궁극적 대상은 인물을 통한 인간성의 탐구와 인간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설의 인물은 소설 속에서 사건을 일으키는 주체로 성격이라는 내면적 속성까지도 포함된 개념이다. 우리는 소설 속의 인물들을 살아 있는 인물로 느끼고 또 그러한 인물들을 통해서 실제로 인간적인 상황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로 생각한다. 이러한 소설 속에서의 인물의 유형을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1) 인물의 유형 - 인물의 유형은 작품 내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소설의 인물 제시 방법 소설에서 인물의 성격을 제시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직접적인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간접적인 방법이다. 우선 전자를 해설적 또는 분석적 방법이라고도 부르며, 후자를 극적 방법이라고도 부른다. (1) 직접 제시 방법 - 말하기(Telling) 이 방법은 서술자가 직접적으로 인물의 특성을 요약하며 소개하는 방법으로 등장인물에 대한 요약과 설명은 물론 심리 분석과 타인물의 보고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장점등장 인물의 심리를 상세하게 분석하여 명백히 설명해 준다는 점독자는 그 설명과 논평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만 하면 된다는 점이 방법은 비교적 쉽게 작중 인물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단점독자의 상상력의 참여를 방해하고 추상성에 빠지기 쉽다.비설화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소설의 시점(Point of View) 시점(視點)은 어떤 서술자가 어떠한 위치에서 사건을 보고 기술하느냐 하는 ‘화자(話者)와 사건과의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흔히 서술의 초점이라고도 한다. 즉, 소설의 진행 양상(인물의 성격이나 행위 등)이 어떤 서술자의 눈을 통해 보여지는가 하는 관찰자의 위치와 각도(즉, 화자의 시각)를 말한다. 시점은 같은 내용의 이야기를 다른 구조로 바꾸어 놓는 기능이다. 한 작품에 단 하나의 시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시점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인물, 사건, 성격의 내적분석인물, 사건, 성격의 외적분석화자가 소설의등장인물주인공이 자신의 이야기를 함(1인칭 주인공 시점)부인물이 등장인물의 이야기를 함(1인칭 관찰자 시점)화자가 소설의등장인물이 아님분석적, 전..
소설의 본질 (1) 소설의 정의(定議) 소설에 대한 여러 정의 - 시정(市井)의 이야기나 연애, 모험 이야기 : 소설은 독자에게 기쁨과 교훈을 주기 위해 기교적으 로 쓴 연애, 모험담의 픽션(fiction)이다. - Abbe Wet - 인생의 해석 : 소설은 인생의 해석이다. - W. H. 허드슨 - 인생의 축도 : 소설은 실생활의 반영이요, 그림자요, 축도(縮圖)다 - 솔로호프 - 허구의 세계 : 소설은 적당한 길이의 산문으로 된 가공적인 이야기이다. - E. M. 포스터 현실에서 있음직한 일을 바탕으로 작가가 상상하여 꾸며낸 이야기로, 독자에게 감동을 주고, 인생의 진실을 표현하는 산문 문학의 대표적 갈래이다. 즉, 소설은 이야기이며 꾸며서 만든 것이고 현실이나 인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따라서 “..
소설의 배경 배경은 소설 속에 존재하는 자연이나 사회 현실 등 공간적인 요소는 물론 시간적, 사상적인 요소를 포괄한다. 배경은 인물과 사건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배경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배경은 단순히 장면의 제시만이 아니라 인물의 성격을 구체화하고 그들의 행위에 리얼리티를 부여하기 때문에 작가들은 배경을 설정할 때는 작품의 전체적인 요소들과 잘 어울리는지 고려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은 주로 묘사에 의해 이루어지며 배경 묘사는 인물의 심리와 감정, 혹은 분위기를 구현하도록 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인물과 배경이 통일된 데서 주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1) 배경의 종류 1)공간적 배경 : 사건이 일어나고 등장인물이 활동하는 장소를..
소설의 문체 문체란 ‘글을 쓰는 스타일’을 말한다. 즉 글쓴이의 개성적 문장 표현을 의미하는 것으로 문장에 드러난 글쓴이만의 개성이나 고유한 문장의 특성을 말하는 것으로서 다른 문장과의 단순한 차이점이나 특성을 의미한다. 이것은 똑같은 의미의 말을 할지라도 다른 사람과 서로 다른 태도로, 다른 목소리로, 다른 기교를 부려서 말을 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문체는 소설가 각자가 자기 스타일대로 글을 쓰기 때문에 생긴다. 즉 작가마다 단어의 선택, 문장의 길이, 해학성, 구체성, 비유 등과 같이 언어사용이 다르고, 여러 표현기법을 섞어 쓰는 취향이 다름에 따라 문체의 차이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에서 생기기도 한다. 그래서 채만식의 문체와 전광용의 문체가 서로 다르고, 서정인의 문체..
소설의 구성(構成, Plot) 소설의 구성이란 소설에서 이야기를 전개하거나 주제를 표현하거나 혹은 사건의 필연성 등을 염두에 두고 소설 속의 여러 요소들을 인과 관계에 따라 유기적으로 배열하는 작가의 의도적인 표현 계획과 방법을 말한다. 흔히 플롯(Plot)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구성은 스토리(story)와는 별개의 것으로 스토리가 시간의 연결에 따른 정리된 사건의 진술로써, ‘그리고 다음은’, ‘그리고 또’와 같이 진행된다면, 구성은 인과관계에 중점을 둔 사건의 서술로써 ‘이것을 근거로 하여’, ‘왜냐하면’ 과 같은 논리로 진행된다. 또한, 사건의 비약이나 돌발적인 행동을 합리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복선도 구성의 한 기법이다. 이런 수단과 기법을 통해서 소설은 리얼리티를 살릴 수 있다. (1) 구성의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