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배경

소설의 배경

 

배경은 소설 속에 존재하는 자연이나 사회 현실 등 공간적인 요소는 물론 시간적, 사상적인 요소를 포괄한다. 배경은 인물과 사건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배경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배경은 단순히 장면의 제시만이 아니라 인물의 성격을 구체화하고 그들의 행위에 리얼리티를 부여하기 때문에 작가들은 배경을 설정할 때는 작품의 전체적인 요소들과 잘 어울리는지 고려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은 주로 묘사에 의해 이루어지며 배경 묘사는 인물의 심리와 감정, 혹은 분위기를 구현하도록 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인물과 배경이 통일된 데서 주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1) 배경의 종류

1)공간적 배경 : 사건이 일어나고 등장인물이 활동하는 장소를 말한다. 한 인물의 물리적 환경인 방, , 거리, 도시 등은 그의 인간적인 환경(가정, 사회, 계층)의 특성을 드러낸다. 이 공간적 배경은 처음부터 사건이 일어나는 중요한 장소가 묘사되는 경우와, 단편적이고 간결하게 배경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다.

화개장터의 냇물은 길과 함께 흘러서 세 갈래로 나 있었다. 한 줄기는 전라도 구례(求禮)쪽에서 오고 한 줄기는 경상도쪽 화개협(花開峽)에서 흘러 내려, 여기서 합쳐서, 푸른 산과 검은 고목 그림자를 거꾸로 비치인 채, 호수같이 조용히 돌아, 경상 전라 양도의 경계를 그어주며, 다시 남으로 남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섬진강(蟾津江) 본류(本流)였다.

하동(河東), 구례, 쌍계사의 세 갈래 길목이라 오고가는 나그네로 하여, ‘화개장터엔 장날이 아니라도 언제나 흥성거리는 날이 많았다. 화개 장터

위 김동리의 작품에서처럼 김동리는 화개장터,역마,황토기,한내 마을 전설과 같은 소설에서 주인공의 운명이 배경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위 작품처럼 화개장터를 둘러싸고 흐르는 물에 대하여 자세히 묘사하였던 것은 거기에 남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의 중심 무대로 설정된 화개장터와 하동, 구례, 쌍계사로 가는 세 갈래의 길, 그리고 이 길과 함께 흐르는 냇물은 곧 할머니 - 어머니 -아들로 이어지는 3대의 한 많은 삶을 상징적으로 드러내 준다.

우리 소설에서 공간적 배경의 변천

설화 : 시공(時空)의 배경 개념이 막연하고 모호하다.

고대 소설 : ‘지금 - 여기의 경험적인 배경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현대 소설 : 일반적으로 현실의 경험적인 것을 배경으로 한다.

사실주의, 자연주의 작품에서는 인위적, 환경 결정론적 배경이 중시

자연과 농촌, 혹은 인위적인 도시의 환경을 배경으로 한다.

폐쇄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이상의 날개- 도시의 좁은 방)

 

2) 시간적 배경 : 시간적 배경은 사건이 발생하는 시간, 즉 역사적이고 계절적인 시간을 의미한다. 이 시간적 배경은 그 시간적 배경이 갖는 특징을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독자에게 시간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가령,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에서는 겨울철 신아침의 상황 묘사에서부터 벌써 몹시 춥다는 느낌을 독자가 갖도록 해 준다. 주인공 영달백화라는 술집 여자와 함께 눈밭을 걷고, 어느 시골 역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적 배경을 몇 시 몇 분이라고 제시하지 않아도 구체적인 상황을 묘사함으로써 독자가 시간을 알 수 있도록 전달하고 있다.

이 시간적 배경은 다시 역사적 시간 배경, 실존적 시간 배경, 우주적 시간 배경으로 나뉜다. 역사적 시간 배경은 인간 또는 개인이나 집단 현실에 관심을 갖는 시간으로, 사건이 일어난 역사적 시대에 대한 인식, 예를 들면 식민 치하, 해방 전후, 6.25, 1980년데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던 시기 등등이 될 것이다. 실존적 시간 배경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표현하며, 주체적 세계의 시간이다. 이것은 극한 상황 속에서 느끼는 절망(絶望)과 불안(不安), 부조리(不條理) 등으로 나타나는데 역사적 시간에 통합될 수 있다. 우주적 시간 배경은 우주, 자연에 관심을 가지며 춘하추동, 밤낮, 생사에서와 같이 시간은 순환한다고 믿는다.

 

 

우리 소설에서 시간적 배경의 변천

고전 소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또는 전생(前生), 현세, 내세(來世)에 걸친 기간 설정

현대 소설 : 대체로 짧은 기간을 설정

 

3) 사회적 배경 : 통시대적 시대성, 공시적 사회성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역사와 연결되는 사회가 부각 되도록 하는 배경이다. 이 사회적 배경은 일상적인 인간이 현실에서 부딪치게 되는 여러 가지 종교, 정치, 계층 문제 등을 포함하여 시대성이나 사회성이 잘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내가, 지금부터 점묘(點描)하고자 하는 내 친구 박노수와 줄동창이 된 것은 시대 탓이기가 쉽다. 어떤 시대 같으면 우연이라고 밖에는 해설될 수 없는 사건도 그와 같은 시대에는 논증이 가능한 필연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시대의 특수성이라고 하는 것은 우연과 필연을 자주 헛갈리게 한다. 우리가 학교에 다니던 시대는, 개인의 안팎 가치관이 일사불란 하게 통일되는 것을 미덕으로 꼽던 시대, 따라서 사람들이 되도록 획일적인 가치관의 금 밖으로 잘 나서려고 하지 않던 시대였다. 이런 시대에는 공식이 하나 있었다. 잡생각을 말아라! <잡생각이 많은 아이>, 이런 소리를 한 번 들으면 회복기가 길었다. 상상력은 위험한 물건이었다. - 이윤기, 나비넥타이

이윤기의 나비넥타이의 서두는 사회전반을 지배하고 있던 획일성을 추구하는 분위기를 언급하고 있다. 이는 현실 상황을 소설을 통해 비판적으로 서술하기 위한 준비에 해당한다. 작가는 나비넥타이를 매는 것으로 자신의 개별성을 주장하다 따돌림을 받게 되었던 박교수라는 인물을 제시함으로써 획일적인 가치관이 가지는 함정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우리 소설에서 사회적 배경의 변천

고전 소설 : 불교, 유교 등의 종교적 색채가 짙다.

현대 소설 : 지적(知的), 정서적 분위기가 짙다.

 

4) 심리적 배경 : 심리주의 문학에 있어서의 배경을 심리적 배경이라고 한다. ‘의식의 흐름’, ‘내적 독백’, ‘이야기의 점철등의 수법을 사용하는 현대 심리주의 소설가들이 많이 사용하는 배경이다. 이러한 배경을 사용한 심리주의 소설들은 시간과 공간의 설정이 무한정 확대되어 자칫 혼란스러워 보인다. 과거, 현재, 미래가 뒤섞여서 왔다갔다하며, 공간도 특정한 장소가 아닌 논리를 초월하는 곳으로 설정된다. 즉 만화경적(萬華鏡的) 배경이다.

 

5) 상황적 배경 : 실존주의에 의한 상황 중심의 배경으로서 배경이 곧 주제를 나타낸다. 인간이 느끼는 어떤 한계의식, 즉 죽음, 질병, 전쟁 등으로 인해 실존을 자각하게 되는 것으로, 이것은 현실적 배경이라기보다는 상징적 배경으로서 인간이 직면하고 있는 현대적 배경과 절망의 심연을 뜻한다.

 

6) 자연적 배경 : 한 작품에 있어서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행동에 효과를 살릴 수 있도록 적절한 자연을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자연적 배경은 해설자와 등장인물의 성격과 심리적 상황에 따라 주관적 자연과 객관적 자연으로 구분된다. 주관적 자연은 낭만주의 소설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작가의 사상이나 감정이 개입된 것을 말하고, 객관적 자연은 사실주의 소설에서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말하듯이 작가의 사상이나 감정이 개입되지 않는 것이다.

버려진 섬마다 꽃이 피었다. 꽃피는 숲에 저녁노을이 지치어, 구름처럼 부풀어 오른 섬들은 바다에 결박된 사슬을 풀고 어두워지는 수평선 너머로 흘러가는 듯싶었다. 뭍으로 건너온 새들이 저무는 섬으로 돌아갈 때, 물 위에 깔린 노을은 수평선 족으로 몰려가서 소멸했다. 저녁이면 먼 섬들이 박모(薄暮)속으로 불려가고, 아침에 떠오르는 해가 먼 섬부터 다시 세상에 돌려보내는 것이어서, 바다에서는 늘 먼 섬이 먼저 소멸하고 먼 섬이 먼저 떠올랐다. 저무는 해가 마지막 노을에 반짝이던 물비늘을 걷어 가면 바다는 캄캄하게 어두워갔고, 밀물로 달려들어 해안 단애에 부딪히는 파도 소리가 어둠 속에서 뒤채었다. - 김훈, 칼의 노래

김훈의 칼의 노래는 주인공 이순신이 눈앞에 펼쳐진 바다를 묘사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이 서정적인 서술에는 적의에 가득 찬 무사로서의 시선이 묻어나지 않고 있다. 이수신이 가졌을 내면의 서술을 통해 영웅이 아닌 인간으로서의 이순신을 서사화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가 여기서부터 드러나고 있다.

 

(2) 배경의 기능

작품의 분위기와 정조를 독특하고 생생하게 만들어 낸다.

등장인물의 행동에 논리적이고 필연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배경 자체가 상징적인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독자의 머릿속에 생생한 현장감을 부여하며 기억하기 용이하게 한다.

소설의 주제를 암시하기도 한다.

 

728x90

'문학 이야기 > 문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설의 시점  (0) 2014.04.21
소설의 본질  (0) 2014.04.21
소설의 문체  (0) 2014.04.21
소설의 구성  (0) 2014.04.21
문학 용어 개념 정리  (0) 2014.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