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문 일부(EBS수능특강)본관과 초면이라 서로 인사 다한 후에 본관이 하는 말이 김 교리 이번 유배 죄 없이 오는 줄은 북관 수령 아는 바요 온 백성이 울었으니 조금도 슬퍼 말고 나와 함께 노십시다 악공 기생 다 불러라 오늘부터 놀자꾸나 그러나 이내 몸이 유배 온 사람이라 꽃자리에 손님 대접 기생 풍류 무엇이냐 일일이 물리치고 혼자 앉아 소일하니 경내의 선비들이 소문 듣고 배우기를 청하며 하나 오고 두셋 오니 육십 명 되는구나 책 끼고 와 배움 청하고 글제 내어 골라 달라 부탁하네 북관의 수령 관장 무장만 보다가 문관의 명성 듣고 한사코 달려드니 내 일을 생각하면 남 가르칠 공부 없어 아무리 사양해도 벗어날 길 전혀 없어 밤낮으로 끼고 앉아 글로 세월 보내도다 고향 생각나면 시를 짓고 심심하면 글 ..
1. 본문 거미야, 부탁하고 부탁하노니 앞길에 거미줄을 쳐 두었다가 나를 등지고 날아가는 꽃 위의 저 나비 거미줄에 걸리게 해 제 허물을 뉘우치게 해 다오 2. 핵심 정리• 갈래 : 한시, 악부시 • 성격 : 기원적, 연정적 • 주제 : 자신을 버리고 떠난 임에 대한 원망 • 특징 : ① 자연물을 활용하여 우의적으로 표현함 ② 거미를 청자로 설정하여 말을 건네는 형식으로 시상을 전개함 ③ 반복법, 돈호법 등의 비유적 표현을 활용함 • 구성 - 1, 2행 : 거미에게 거미줄을 쳐 달라고 부탁함. - 3, 4행 : 부탁하는 이유와 목적을 밝힘(자신을 버리고 다른 꽃(=다른 여인)에게 날아가는 나비(=임)가 거미줄에 걸려 잘못을 뉘우치게 하려 함.) 3. 작품 해설 1 고려 후기의 문인 민사평이 지은 ..
1. 본문 내 임을 그리워해 우니나니 산(山) 접동새 난 이슷하요이다 아니며 거짓인 줄 아으 잔월효성(殘月曉星)이 아시리이다 넋이라도 임과 한곳으로 가고 싶어라 아으 우기던 이 누구였습니까 과(過)도 허물도 천만 없소이다 무리들의 말이랍니다 슬프도다 아으 임이 나를 하마 잊으셨나이까 아아 임아 돌이켜 들어서 사랑해 주소서 2. 핵심 정리• 갈래 : 고려가요, 향가계 여요 • 성격 : 애상적 • 제재 : 임과의 이별 • 주제 : 임금을 향한 변함없는 충절 • 특징 : ① 형식적인 측면에서 향가의 전통을 보여줌 ②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신충의 와 통함 ③ 감정 이입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드러냄 3. 작품 해설 1 이 작품은 고려 시대의 문인인 정서가 유배지에서 지은 고려 가요이다. 제목..
1. 본문꼬아 자란 층석류요 틀어 지은 고사매라 삼봉 괴석에 달린 솔이 늙었으니 아마도 화암 풍경이 너뿐인가 하노라 청풍 월백야에 삼척금을 곁에 두고 사시 가흥을 백화중에 붙였으니 이 몸도 승평성택에 젖었는가 하노라 마당에 보리 들고 화오에 석류 핀다 간 밤 빚은 술을 갈건에 걸러내니 아마도 세상 시름이 반나마 덜었구나 초당에 낮잠 깨어 일간죽 둘러매고 조대 석양에 무심히 앉았으니 백구도 한가히 너겨 짐짓 희롱하더라 오동에 우적하고 죽림에 연롱이라 소정에 사립 두고 등상에 누었더니 어디서 닷 드는 소리는 잠든 나를 깨우나니 막대 짚고 나와 거니니 양류풍 불어온다 긴 파람 짧은 노래 뜻대로 소일하니 어디서 초동과 목수(牧叟)는 웃고 가리키나니 석양에 백구환하고..
1. 본문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베어 내어 춘풍 이블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어든 굽이굽이 펴리라. 2. 핵심 정리• 연대 : 조선 중종~선조 • 갈래 : 평시조 • 성격 : 감상적, 서정적, 낭만적 연정가 • 제재 : 연모의 정 • 주제 : 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 • 특징 ①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 사물로 표현함. ② 비유와 음성 상징어를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함. • 구성 초장 : 동짓달 긴 밤의 한가운데를 잘라냄 중장 : 춘풍 이불 아래 넣어 둠 종장 : 정든 임이 오시는 밤에 펼치고 싶음 3. 작품 해설 임을 기다리는 여인의 간절한 마음을 참신한 비유로 호소력 있게 형상화한 작품이다. 추상적 개념인 시간을 구체적 사물로 형상화한 표현 기법이 매우 참신하..
1. 본문 亂離袞到白頭年(난리곤도백두년) 幾合捐生却末然(기합연생각말연) 今日眞成無可奈(금일진성무가내) 輝輝風燭照蒼天(휘휘풍촉조창천) 난리 통에 어느새 머리털 다 세었는데 몇 번 목숨 버려야 했건만 그러질 못했네 오늘은 정녕 어찌할 수 없게 되었으니 바람에 흔들리는 촛불 아득한 하늘 비추는구나 妖氣晻蘙帝星移(요기엄예제성이) 九闕沈沈晝漏遲(구권침침주루지) 詔勅從今無復有(조칙종금무복유) 琳琅一紙淚千絲(임랑일지루천사) 요사스런 기운이 가려 임금 별자리를 옮기니 구중궁궐 침침해져 햇살도 더디 드네. 임금의 조칙도 이후로는 다시 없을 것이니 구슬 같은 조서엔 눈물만 가득 흐르네. 〈제3수〉 鳥獸哀鳴海岳嚬(조수애명해악빈) 槿花世界已沈淪(근화세계이침륜) 秋燈掩卷懷千古(추등엄권회천고) 難作人間識字人(난작인간식자인) 새와..
1. 본문 첨부파일 참고 2. 핵심 정리 • 갈래 : 양반 가사, 은일 가사, 강호 한정가 • 성격 : 자연 친화적, 서정적, 묘사적 • 제재 : 면앙정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 풍경 • 주제 : 자연 속에서의 풍류와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 • 특징 : ① 다양한 수사법과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자연의 경치를 실감 나게 묘사 ② 사계절의 변화에 따라 내용을 전개함. ③ 유교적 충의의 내용도 담고 있음. • 구성 : 서사: 제월봉의 형세와 면앙정의 모습 본사 1: 면앙정의 근경과 원경 본사 2: 면앙정의 계절 변화에 따른 풍경 본사 3: 자연에서 즐기는 풍류적 삶 •결사: 풍류 생활의 만족감과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 3. 작품 해설 1 이 작품은 면앙정이라는 정자에서 자연을 즐기는 모습을 노래한 가사 문..
1. 본문 처용아비를 누가 지어 세우는가 바늘도 실도 없이 바늘도 실도 없이 처용아비를 누가 지어 세우는가 많고 많은 사람들이여 십이 제국이 모두 모여 세운 아, 처용아비를, 많고 많은 사람들이여 버찌야, 오얏아, 녹리야 빨리 나와 내 신코를 매어라 안 매어 있으면 나올 것이다, 나쁜 말 동경 밝은 달과 밤늦도록 노니다가 들어와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아, 둘은 내 것이거니와 둘은 누구의 것인가 이런 때 처용아비가 보시면 열병신이야 횟거리*로다 천금을 주겠습니까 처용아비여 칠보를 주겠습니까 처용아비여* 천금 칠보도 그만두오 열병신을 날 잡아 주소서 산이나 들이나 천 리 외에 처용아비를 피하여 가고져 아, 열병대신의 발원이시로다 * 횟거리: 횟감. 회를 만드는 데에 쓰는 고기나 생선. * 천금을 주..
1. 본문 동경 밝은 달에 밤들이 노니다가 들어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러라. 둘은 내 것이었고 둘은 누구의 것인고. 본디 내 것이지만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오. 2. 핵심 정리 • 갈래 : 향가 • 연대 : 신라 헌강왕 때 • 제재 : 역신(疫神)의 침범 • 주제 : 아내를 범한 역신을 쫓아냄. • 특징 : ① 벽사 진경(辟邪進慶)의 민속에서 형성된 무가(巫歌)이며,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의식(儀式)에 사용되는 무용 또는 연희로 계승됨. ② 체념과 관용을 바탕으로 한 축사(逐邪)의 노래임. ③ 영탄을 통해 분노와 슬픔, 체념과 관용의 감정을 동시에 드러냄. • 구성 : 1~2행: 한밤까지 놀다 집에 돌아옴. 3~4행: 역신이 아내를 범한 것을 알게 됨. 5~6행: 역신의 침입을 확인하고 체념함. 7~..
1. 본문 춘향의 거동 보아라 오른손으로 일광을 가리고 왼손 높이 들어 저 건너 죽림 보인다 대 심어 울하고 솔 심어 정자라 동편에 연당(蓮塘)이요 서편에 우물이라 노방(路傍)에 시매오후과(時買五侯瓜)*요 문전(門前)에 학종선생류(學種先生柳)*라 긴 버들 휘늘어진 늙은 장송 광풍에 흥을 겨워 우줄우줄 춤을 추니 저 건너 사립문 안에 삽살개 앉아 먼 산만 바라보며 꼬리 치는 저 집이오니 황혼에 정녕 돌아오소 떨치고 가는 형상 사람의 뼈다귀를 다 녹인다 너는 웬 계집이건대 나를 종종 녹이느냐 너는 웬 계집이건대 장부의 간장을 다 녹이나 녹음방초승화시(綠陰芳草勝華時)*에 해는 어이 더디 가고 오동추야(梧桐秋夜) 긴긴 달에 밤은 어이 수이 가노 일월무정(日月無情) 덧없도다 옥빈홍안(玉鬢紅顔) 공노(空老)로다 우..
1. 본문 영산홍록(映山紅綠)*에 봄바람 넘노나니 황봉백접(黃蜂白蝶) 붉은 꽃 푸른 잎은 산양산기(山陽山氣)를 자랑하고 가는 새 오는 나비 춘기춘흥(春氣春興)을 조롱한다 죽장(竹杖)을 짚고 망혜(芒鞋)를 신어라 천리강산 들어가니 만장폭포도 좋거니와 여산(廬山)이 여기로다 비류직하삼천척(飛流直下三千尺) 의시은하낙구천(疑是銀河落九天)*은 옛글에도 일러 있고 타기황앵(打起黃鶯) 아이들은 막교지상(莫敎枝上)에 한을 마라 꾀꼬리 탓이 아니더냐 황금 같은 저 꾀꼬리 황금 갑옷 떨쳐입고 세류영(細柳營)에 넘노는 듯 벽력같이 우는 소리 깊이 든 잠 다 깨운다 산 절로 수 절로 하니 산수 간에 나도 나도 절로 이 중에 절로 난 몸이 늙기도 절로 하리 화류 장대(章臺) 고운 여자 너희 얼굴 곱다 하고 자랑하지 말려무나 뒷..
1. 본문 문무 양반 목민(牧民) 중의 학민(虐民)*하는 원님네들 이내 말씀 배척 말고 마음 새겨들어 보소 성(城)안에서 들을 제는 총명인자(聰明仁慈)하다더니 근무지에 도착해서 어이 저리 다르신고 내려갈 제 돈 썼는가 들어갈 제 돈 썼는가 기생에 빠졌는가 간사한 아전과 함께인가 술에 삭았는가 고량진미에 막혔는가 있던 총명 어디 가고 없던 어두움 내었으며 있던 인자 어디 가고 없던 포악 내었는고 내 모를가 자네 일을 자네 일을 나는 아네 착한 본성 잃은 속에 자기 욕심 길러 내어 사단지목(四端之目)* 다 모르고 욕심 있는 마음뿐이로다 선사양전(善事兩銓)* 그만하고 자목백성(字牧百姓)*하여 보소 *학민: 백성을 가혹하게 다룸. *사단지목: 사람의 본성에서 나오는 네 가지 마음.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