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앙정가 - 송순

1. 본문

첨부파일 참고

 

2. 핵심 정리

• 갈래 : 양반 가사, 은일 가사, 강호 한정가
• 성격 : 자연 친화적, 서정적, 묘사적
• 제재 : 면앙정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 풍경
• 주제 : 자연 속에서의 풍류와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
• 특징 : 
 ① 다양한 수사법과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자연의 경치를 실감 나게 묘사
 ② 사계절의 변화에 따라 내용을 전개함.
 ③ 유교적 충의의 내용도 담고 있음.
• 구성 :
 서사: 제월봉의 형세와 면앙정의 모습
 본사 1: 면앙정의 근경과 원경
 본사 2: 면앙정의 계절 변화에 따른 풍경
 본사 3: 자연에서 즐기는 풍류적 삶
 •결사: 풍류 생활의 만족감과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

3. 작품 해설 1

 이 작품은 면앙정이라는 정자에서 자연을 즐기는 모습을 노래한 가사 문학이다. 근경에서 원경으로 시선이 이동하면서 면앙정의 위치와 형세, 면앙정 주변의 다양한 산봉우리의 모습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사계절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는 면앙정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와 그 경치를 완상하며 즐기는 시적 화자의 풍류와 호탕함을 담아내고 있다. 또한 마지막 결말을 ‘~亦君恩(역군은)이샷다’로 끝내고 있어 유학자로서의 강호가도를 잘 표현하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 지학사, T-Solution 참고

4. 작품 해설 2

 이 작품은 작가가 고향에 내려와 면앙정을 짓고 살면서 창작한 것으로, 아름다운 자연 속에 은거하는 삶의 즐거움과 임금에 대한 은혜를 노래하고 있다. 면앙정 주변의 자연 풍경을 근경과 원경으로 그려 내고, 계절의 변화에 따른 정경 등을 세밀하게 묘사하면서, 그 속에서 풍류를 누리는 삶에 대한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결사 부분의 ‘역군은 이샷다’와 같은 관습적 표현을 통해 임금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은 형식과 내용에서 정극인의 「상춘곡」의 영향을 받고, 정철의 「성산별곡」에 영향을 주면서 강호가도의 전통을 이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 수능 완성 해설 참고

5. 심화 내용 연구

1. ‘면앙정가’에 나타난 ‘강호가도(江湖歌道)’(지학사 참고)

 조선 시대 사대부들에게 갖은 당쟁과 사화는 현실 정치에 대한 많은 회의를 주었다. 그렇기 때문에 복잡한 현실을 떠나 자연을 지향하며, 도학(道學)을 기반으로 한 세계관을 고민하는 사대부들이 많았다. 그들은 이러한 도학적 세계관을 문학에 접합하여 보편적인 ‘자연미’를 만들어 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학적 자연미를 추구했다고 해서 조선의 사대부들이 유학자로서의 본연을 버린 것은 아니다. 비록 몸은 현실과 유리된 자연 공간에 존재하지만 임금에 대한 마음과 현실적인 정치를 고민하는 모습을 작품에 같이 담아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렇게 도학적 자연미에 유학자로서의 삶의 태도를 같이 담아낸 작품들을 묶어 흔히 ‘강호가도(江湖歌道) 문학’이라고 한다.

  ‘면앙정가’의 마지막 부분을 보면 작가는 자연 속에서 풍류를 즐기는 자신의 모습을 ‘신선’이라고 격상시켜 표현하고 있다. ‘신선’의 삶은 도학에서 말하는 최고 경지의 삶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작품의 마지막 구절에서 작가는 ‘이 몸이 이렁 굼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라고 끝을 맺으면서 임금의 은혜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는데, 이는 유교적인 충의(忠義) 사상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면앙정가’는 자연 속에서 도가적인 풍류를 즐기며, 유학자로서의 본연을 잃지 않고 있는 모습을 담아내고 있으므로 강호가도(江湖歌道) 문학의 한 부류라 할 수 있다.

2. ‘면앙정가’의 표현상 특징(천재교육 참고)

 ‘면앙정가’는 비유, 반복, 생략 등 다양한 표현 기법을 동원하여 면앙정의 주변 정경을 노래한 작품이다. 서사에서는 의인화와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여 제월봉의 산세와 면앙정의 형상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으며, 본사에서는 면앙정 앞 시냇물을 ‘쌍룡’과 ‘비단’에 비유하여 표현한 후, 사계절에 따른 면앙정 주변의 아름다운 모습을 대구, 열거, 직유 등의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생동감 있게 그려 내었다. 마지막으로 결사에서는 고사를 활용하여 화자의 풍류를 드러내며 마무리하였다.

 

3. ‘면앙정가’의 음악적 효과(천재교육 참고)

 이 작품은 가사의 기본 형식인 4음보 연속체 형식으로 시구 전체가 대구를 이루면서 규칙적인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미지을 반복하고, 주로 울림소리(‘ㄴ’과 모음)를 사용함으로써 운율감과 역동성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운율감은 경쾌한 느낌을 주고 풍류를 즐기는 화자의 호방한 어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4. ‘면앙정가’의 구성 및 특징

- 서사 : 제월봉의 위치와 형세, 면앙정의 모습 
 : 제월봉을 사람, 늙은 용에 비유하며 면앙정을 청학에 비유
 ▷ 역동성을 주어 생동감을 강화함
- 본사1 : 면앙정 주변의 풍경(근경→원경)
 : 강물을 쌍룡, 비단, 바쁘게 달려가는 사람에 비유
 : 기러기를 정을 전하는 사람에 비유
 : 산봉우리를 병풍, 그림에 비유하며 대구법과 열거법을 사용함
 ▷ 우리말의 묘미를 잘 살리고 역동성을 주어 풍광의 생동감을 더함
- 본사2 : 사계절에 따른 면앙정의 주변 풍경
  ① 봄 : 안개와 노을과 아지랑이가 아양 떠는 모습
 : 구름, 안개, 노을, 아지랑이를 활용법, 열거법을 활용하여 표현함
 ▷ 경쾌한 리듬감을 주어 봄의 생동감을 잘 표현함
  ② 여름 : 나무가 우거지고 물 위에서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는 면앙정에서의 한가로움
 : 꾀꼬리, 나무 그늘, 수면 양풍을 바라보며 감정 이입, 묘사 등을 표현함
 ▷ 한가로운 여름날의 정취를 탄력 있게 잘 표현함
  ③ 가을 : 단풍으로 뒤덮인 산과 황금 물결을 이룬 들판 속에서의 흥취
 : 단풀, 노란 곡식을 금수, 황운에 비유
 : 달, 피리 소리에 대해 관용적인 어구를 사용하여 표현함
 ▷ 가을의 풍요로움과 가을의 정취를 잘 표현함
  ④ 겨울 : 초목이 진 후 눈으로 뒤덮인 아름다운 설명
 : 얼음, 눈을 경궁요대와 옥해은산에 비유
 ▷ 눈으로 덮힌 겨울 정취를 잘 드러냄
- 결사 : 풍류와 호연지기 및 임금의 은혜
 : 열거와 나열을 통해 자연을 완성함
 : 다양한 감각적 표현을 통해 풍류를 즐기는 모습을 보여줌. 특히 술, 음악, 노래, 춤이 어우러진 흥겨운 정취를 감각적인 우리말을 사용하여 표현함.
 : 이태백의 삶과 대조하면서 호연지기와 역군은을 표현함. 자연을 즐기면서도 군은(君恩)을 잊지 않는 유교적 이념을 드러냄.

 

6. 작가 소개

송순 – 다음 백과

 

송순

면앙정가단의 창설자이며 강호가도의 선구자. 작품으로 가사 〈면앙정가〉를 비롯하여 시조 22수와 한시 520여 수가 남아 있다. 자는 수초·성지, 호는 기촌·면앙정. 아버지 태(泰)

100.daum.net


7. 엮어 읽기

‘강호사시가’, 맹사성/자연을 즐기며 군은(君恩)에 대한 감사를 노래한 작품

송순 - 면앙정가.pdf
0.17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