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행복의 이야기 마을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푸른행복의 이야기 마을

  • 분류 전체보기 (666)
    • 행복 이야기 (55)
      • 일상다반사 (22)
      • 행복이 작품 (29)
      • 책과 음악과 사진과 행복이 (4)
    • 국어 이야기 (45)
      • 국어영역 입시 뉴스 (8)
      • 화법/작문/문법 (6)
      • 우리말 지킴이 (30)
    • 문학 이야기 (400)
      • 고전운문 (105)
      • 고전산문 (55)
      • 현대운문 (108)
      • 현대산문 (76)
      • 문학이론 (16)
    • 대입 이야기 (163)
      • 입시 자료 및 입시 뉴스 (60)
      • 논술 기출문제 (68)
      • 논술로 대학가기 (19)
    • 티스토리 초대장 배부 (0)
  • 처음으로
  • 행복이야기
  • 국어이야기
  • 문학이야기
  • 대입이야기
  • 방명록
  • 글쓰기
  • 관리자
해 - 박두진

해 - 박두진

1. 본문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산 넘어 산 넘어서 어둠을 살라 먹고, 산 넘어서 밤새도록 어둠을 살라 먹고, 이글이글 앳된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달밤이 싫어, 달밤이 싫어, 눈물 같은 골짜기에 달밤이 싫어, 아무도 없는 뜰에 달밤이 나는 싫어……, 해야, 고운 해야. 늬가 오면, 늬가사 오면, 나는 나는 청산이 좋아라. 훨훨훨 깃을 치는 청산이 좋아라. 청산이 있으면 홀로래도 좋아라. 사슴을 따라, 사슴을 따라, 양지로 양지로 사슴을 따라 사슴을 만나면 사슴과 놀고, 칡범을 따라 칡범을 따라 칡범을 만나면 칡범과 놀고,…… 해야, 고운 해야. 해야 솟아라. 꿈이 아니래도 너를 만나면, 꽃도 새도 짐승도 한자리 앉아, 워어이 워어이 모두 불러 한자..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5. 4. 16.
  • textsms
가지가 담을 넘을 때 - 정끝별

가지가 담을 넘을 때 - 정끝별

1. 본문이를테면 수양의 늘어진 가지가 담을 넘을 때 그건 수양 가지만의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얼굴 한번 못 마주친 애먼 뿌리와 잠시 살 붙였다 적막히 손을 터는 꽃과 잎이 혼연일체 믿어 주지 않았다면 가지 혼자서는 한없이 떨기만 했을 것이다 한 닷새 내리고 내리던 고집 센 비가 아니었으면 밤새 정분만 쌓던 도리 없는 폭설이 아니었으면 담을 넘는다는 게 가지에게는 그리 신명 나는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무엇보다 가지의 마음을 머뭇 세우고 담 밖을 가둬 두는 저 금단의 담이 아니었으면 담의 몸을 가로지르고 담의 정수리를 타 넘어 담을 열 수 있다는 걸 수양의 늘어진 가지는 꿈도 꾸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니까 목련 가지라든가 감나무 가지라든가 줄장미 줄기라든가 담쟁이 줄기라든가 가지가 담을 넘을 때 가지에게 담..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4. 8. 23.
  • textsms
문 - 김종길

문 - 김종길

1. 본문흰 벽에는 ―― 어련히 해들 적마다 나뭇가지가 그림자 되어 떠오를 뿐이었다. 그러한 정밀*이 천년이나 머물렀다 한다. 단청은 연년(年年)이 빛을 잃어 두리기둥에는 틈이 생기고, 볕과 바람이 쓰라리게 스며들었다. 그러나 험상궂어 가는 것이 서럽지 않았다. 기왓장마다 푸른 이끼가 앉고 세월은 소리없이 쌓였으나 문은 상기 닫혀진 채 멀리 지나가는 바람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밤이 있었다. 주춧돌 놓인 자리에 가을풀은 우거졌어도 봄이면 돋아나는 푸른 싹이 살고, 그리고 한 그루 진분홍 꽃이 피는 나무가 자랐다. 유달리도 푸른 높은 하늘을 눈물과 함께 아득히 흘러간 별들이 총총히 돌아오고 사납던 비바람이 걷힌 낡은 처마 끝에 찬란히 빛이 쏟아지는 새벽, 오래 닫혀진 문은 산천을 울리며 열리었다. ―― 그립..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4. 8. 23.
  • textsms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 - 백석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 - 백석

1. 본문어느 사이에 나는 아내도 없고, 또, 아내와 같이 살던 집도 없어지고, 그리고 살뜰한 부모며 동생들과도 멀리 떨어져서, 그 어느 바람 세인 쓸쓸한 거리 끝에 헤매이었다. 바로 날도 저물어서, 바람은 더욱 세게 불고, 추위는 점점 더해 오는데, 나는 어느 목수(木手)네 집 헌 삿을 깐, 한 방에 들어서 쥔을 붙이었다. 이리하여 나는 이 습내 나는 춥고, 누긋한 방에서, 낮이나 밤이나 나는 나 혼자도 너무 많은 것같이 생각하며, 딜옹배기에 북덕불이라도 담겨 오면, 이것을 안고 손을 쬐며 재 우에 뜻 없이 글자를 쓰기도 하며, 또 문밖에 나가지두 않구 자리에 누워서, 머리에 손깍지 벼개를 하고 굴기도 하면서, 나는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쌔김질하는 것이었다. 내 가슴이 꽉 메어 올 ..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4. 8. 22.
  • textsms
즐거운 편지 - 황동규

즐거운 편지 - 황동규

1. 본문 Ⅰ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매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 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 보리라. Ⅱ 진실로 진실로 내가 그대를 사랑하는 까닭은 내 나의 사랑을 한없이 잇닿은 그 기다림으로 바꾸어 버린 데 있었다. 밤이 들면서 골짜기엔 눈이 퍼붓기 시작했다. 내 사랑도 어디쯤에선 반드시 그칠 것을 믿는다. 다만 그때 내 기다림의 자세를 생각하는 것뿐이다. 그동안에 눈이 그치고 꽃이 피어나고 낙엽이 떨어지고 또 눈이 퍼붓고 할 것을 믿는다. 2. 핵심 정리 • 갈래 : 서정시, 산문시 • 성격 : 고백적, 낭만적, 사색적 • 제재 : 사랑 • 주제 : 사랑의 간절함과 불편성에 대한 고백 ..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3. 12. 7.
  • textsms
배를 매며 - 장석남

배를 매며 - 장석남

1. 본문 아무 소리도 없이 말도 없이 등 뒤로 털썩 밧줄이 날아와 나는 뛰어가 밧줄을 잡아다 배를 맨다 아주 천천히 그리고 조용히 배는 멀리서부터 닿는다 사랑은, 호젓한 부둣가에 우연히, 별 그럴 일도 없으면서 넋 놓고 앉았다가 배가 들어와 던져지는 밧줄을 받는 것 그래서 어찌할 수 없이 배를 매게 되는 것 잔잔한 바닷물 위에 구름과 빛과 시간과 함께 떠 있는 배 배를 매면 구름과 빛과 시간과 함께 매어진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사랑이란 그런 것을 처음 아는 것 빛 가운데 배는 울렁이며 온종일 떠 있다 2. 핵심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서정적, 사색적, 비유적 • 제재 : 배를 매는 일 • 주제 : 사랑이 시작되는 과정과 사랑의 본질에 대한 깨달음 • 특징 : ① 유추를 사용하여 ..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3. 3. 4.
  • textsms
슬픔이 기쁨에게 - 정호승

슬픔이 기쁨에게 - 정호승

1. 본문 나는 이제 너에게도 슬픔을 주겠다. 사랑보다 소중한 슬픔을 주겠다. 겨울밤 거리에서 귤 몇 개 놓고 살아온 추위와 떨고 있는 할머니에게 귤값을 깎으면서 기뻐하던 너를 위하여 나는 슬픔의 평등한 얼굴을 보여 주겠다. 내가 어둠 속에서 너를 부를 때 단 한 번도 평등하게 웃어 주질 않은 가마니에 덮인 동사자가 다시 얼어 죽을 때 가마니 한 장조차 덮어 주지 않은 무관심한 너의 사랑을 위해 흘릴 줄 모르는 너의 눈물을 위해 나는 이제 너에게도 기다림을 주겠다. 이 세상에 내리던 함박눈을 멈추겠다. 보리밭에 내리던 봄눈들을 데리고 추워 떠는 사람들의 슬픔에게 다녀와서 눈 그친 눈길을 너와 함께 걷겠다. 슬픔의 힘에 대한 이야길 하며 기다림의 슬픔까지 걸어가겠다. 2. 핵심 정리 • 갈래 : 자유시, ..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1. 10. 26.
  • textsms
생명의 서 - 유치환

생명의 서 - 유치환

1. 본문 나의 지식이 독한 회의를 구하지 못하고 내 또한 삶의 애증을 다 짐 지지 못하여 병든 나무처럼 생명이 부대낄 때 저 머나먼 아라비아 사막으로 나는 가자 거기는 한번 뜬 백일(白日)이 불사신같이 작열하고 일체가 모래 속에 사멸한 영겁의 허적(虛寂)에 오직 알라의 신만이 밤마다 고민하고 방황하는 열사(熱沙)의 끝 그 열렬한 고독 가운데 옷자락을 나부끼고 호올로 서면 운명처럼 반드시 ‘나’와 대면케 될지니 하여 ‘나’란 나의 생명이란 그 원시의 본연한 자태를 다시 배우지 못하거든 차라리 나는 어느 사구(沙丘)에 회한(悔恨) 없는 백골을 쪼이리라 2. 핵심 정리 • 갈래 : 서정시, 자유시 • 성격 : 관념적, 상징적, 의지적 • 제재 : 생명 • 주제 : 생명의 본질 추구 • 구성 : 1연 : 삶의..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1. 10. 19.
  • textsms
또 다른 고향 - 윤동주

또 다른 고향 - 윤동주

1. 본문 고향에 돌아온 날 밤에 내 백골이 따라와 한방에 누웠다. 어둔 방은 우주 로 통하고 하늘에선가 소리처럼 바람이 불어온다. 어둠 속에 곱게 풍화작용하는 백골을 들여다보며 눈물짓는 것이 내가 우는 것이냐 백골이 우는 것이냐 아름다운 혼이 우는 것이냐 지조 높은 개는 밤을 새워 어둠을 짖는다. 어둠을 짖는 개는 나를 쫓는 것일 게다. 가자 가자 쫓기우는 사람처럼 가자 백골 몰래 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에 가자. 2. 핵심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성찰적, 상징적, 의지적 • 제재 : 고향의 상실 • 주제 : 이상 세계에 대한 동경과 자아 분열의 극복 의지 • 특징 : ① 자아 분열로 인한 자아의 대립과 그로 인한 갈등 구조가 나타남 ② 상징적인 시어를 활용함 ③ 절망과 반성의 현..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1. 10. 13.
  • textsms
성탄제 - 김종길

성탄제 - 김종길

1. 본문 어두운 방 안엔 빠알간 숯불이 피고, 외로이 늙으신 할머니가 애처로이 잦아드는 어린 목숨을 지키고 계시었다. 이윽고 눈 속을 아버지가 약(藥)을 가지고 돌아오시었다. 아, 아버지가 눈을 헤치고 따 오신 그 붉은 산수유(山茱萸) 열매 — 나는 한 마리 어린 짐생, 젊은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에 열로 상기한 볼을 말없이 부비는 것이었다. 이따금 뒷문을 눈이 치고 있었다. 그날 밤이 어쩌면 성탄제의 밤이었을지도 모른다. 어느새 나도 그때의 아버지만큼 나이를 먹었다. 옛것이라곤 찾아볼 길 없는 성탄제 가까운 도시에는 이제 반가운 그 옛날의 것이 내리는데, 서러운 서른 살 나의 이마에 불현듯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을 느끼는 것은, 눈 속에 따 오신 산수유 붉은 알알이 아직도 내 혈액 속에 녹아 흐르는 ..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1. 8. 1.
  • textsms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 - 이용악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 - 이용악

1. 본문 우리 집도 아니고 일갓집도 아닌 집 고향은 더욱 아닌 곳에서 아버지의 침상(寢床) 없는 최후 최후(最後)의 밤은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 노령(露領)을 다니면서까지 애써 자래운 아들과 딸에게 한마디 남겨 두는 말도 없었고 아무을만(灣)의 파선도 설룽한 니코리스크의 밤도 완전히 잊으셨다 목침을 반듯이 벤 채 다시 뜨시잖는 두 눈에 피지 못한 꿈의 꽃봉오리가 깔앉고 얼음장에 누우신 듯 손발은 식어 갈 뿐 입술은 심장의 영원한 정지(停止)를 가르쳤다 때늦은 의원(醫員)이 아모 말 없이 돌아간 뒤 이웃 늙은이 손으로 눈빛 미명은 고요히 낯을 덮었다 우리는 머리맡에 엎디어 있는 대로의 울음을 다아 울었고 아버지의 침상(寢床) 없는 최후 최후(最後)의 밤은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 2. 핵심 정리..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1. 8. 1.
  • textsms
광야(廣野) - 이육사

광야(廣野) - 이육사

1. 본문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디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戀募)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犯)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光陰)을 부지런한 계절(季節)이 피어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梅花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白馬)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이 광야(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2. 핵심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저항적, 의지적, 미래 지향적, 상징적 • 제재 : 광야 • 주제 : 조국 광복에 대한 의지와 염원 • 특징 : ① ‘과거-현재-미래’라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② 상징적 시어를 활..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21. 8. 1.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
  • 9
  • navigate_next
공지사항
  •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문학 작품 목록
  • 푸른행복의 이야기 마을은...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666)
    • 행복 이야기 (55)
      • 일상다반사 (22)
      • 행복이 작품 (29)
      • 책과 음악과 사진과 행복이 (4)
    • 국어 이야기 (45)
      • 국어영역 입시 뉴스 (8)
      • 화법/작문/문법 (6)
      • 우리말 지킴이 (30)
    • 문학 이야기 (400)
      • 고전운문 (105)
      • 고전산문 (55)
      • 현대운문 (108)
      • 현대산문 (76)
      • 문학이론 (16)
    • 대입 이야기 (163)
      • 입시 자료 및 입시 뉴스 (60)
      • 논술 기출문제 (68)
      • 논술로 대학가기 (19)
    • 티스토리 초대장 배부 (0)
최근 댓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