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점 정리작자 : 두보형식 : 7언 절구연대 : 두보가 59세 때성격 : 애상적, 서정적표현 : 대구법구성 수련 - 화려했던 시절에 이구년을 만났던 기억 함련 - 이구년의 노래를 자주 들음 경련 - 봄 경치에 대한 애상 미련 - 늙어버린 이구년을 만남제재 : 이구년(당의 현종 때의 명창, 기왕은 현종의 아우)과 만남주제 : 옛친구를 만난 감회와 삶에 대한 인생무상(人生無常) ‣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두보가 죽은 해인 59세(770년) 때 지은 7언 절구이다. 지은이는 유랑 도중 강남에서 예전에 자주 소리를 들었던 명창 이구년을 만났다. 이제 나이가 들어 강남의 좋은 경치 속에 시인과 명창이 만났지만 하나는 방랑객이요, 하나는 떠돌이 악사이다. 안녹산의 난으로 나라가 기울어지면서 둘 다 좋았던 시절은..
安樂城中欲暮天 안락성중욕모천 關西孺子聳詩肩 관서유자용시견 村風厭客遲炊飯 촌풍염객지취반店俗慣人但索錢 점속관인단색전 虛腹曳雷頻有響 허복예뢰빈유향 破窓透冷更無穿 파창투냉갱무천 朝來一吸江山氣 조래일흡강산기試向人間벽穀仙 시향인간벽곡선 안락성 안에 날이 저무는데 관서지방 못난 것들이 시 짓는다고 우쭐대네. 마을 인심이 나그네를 싫어해 밥 짓기는 미루면서 주막 풍속도 야박해 돈부터 달라네. 빈 배에선 자주 천둥 소리가 들리는데 뚫릴 대로 뚫린 창문으로 냉기만 스며드네. 아침이 되어서야 강산의 정기를 한번 마셨으니 인간 세상에서 벽곡의 신선이 되려 시험하는가. ‣ 요점 정리작가 : 김병연형식 : 7언 율시성격 : 풍자적, 비판적, 고발적, 해학적어조 : 은근한 풍자와 비난의 목소리특징 : ① 해학적 표현과 과장법을 사..
浮浮我笠等虛舟 부부아립등허주 一着平生四十秋 일착평생사십추 牧堅輕裝隨野犢 목견경장수야독 漁翁本色伴沙鷗 어옹본색반사구 醉來脫掛看花樹 취래탈괘간화수 興到携登翫月樓 흥도휴등완월루 俗子依冠皆外飾 속자의관개외식 滿天風雨獨無愁 만천풍우독무수 가뿐한 내 삿갓이 빈 배와 같아 한번 썼다가 사십 년 평생 쓰게 되었네. 목동은 가벼운 삿갓 차림으로 소 먹이러 나가고 어부는 갈매기 따라 삿갓으로 본색을 나타냈지. 취하면 벗어서 구경하던 꽃나무에 걸고 흥겨우면 들고서 다락에 올라 달구경하네. 인(俗人)들의 의관은 모두 겉치장이지만 하늘 가득 비바람 쳐도 나만은 걱정이 없네. ‣ 요점 정리작가 : 김병연형식 : 7언 율시성격 : 상징적, 낭만적, 탈속적, 비판적어조 : 삶에 대한 달관과 긍정의 어조특징 : ① 대조적인 표현을 구..
四脚松盤粥一器 사각송반죽일기 天光雲影共排徊 천광운영공배회 主人莫道無顔色 주인막도무안색 吾愛靑山倒水來 오애청산도수래 네 다리 소반 위에 멀건 죽 한 그릇. 하늘에 뜬 구름 그림자가 그 속에서 함께 떠도네. 주인이여, 면목이 없다고 말하지 마오. 물 속에 비치는 청산을 내 좋아한다오. ‣ 요점 정리 작가 : 김병연(김삿갓)형식 : 7언절구성격 : 해학적, 긍정적, 은유적구성 : 기 - 농민의 따스한 인정과 가난 승 - 방랑하는 시적 화자의 처지 전 - 가난한 농민에 대한 연민 결 - 안빈낙도하는 유유자적한 삶표현 : 은유적 표현으로 이 작품에서 작자는 방랑 생활 속에서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적 인식을 ‘하늘에 뜬 구름 그림자’로 비유하는 한편, ‘물 속에 비치는 청산’을 좋아한다고 말함으로써 자연을 벗삼아 ..
거북아, 거북아, 龜何龜何 (부름)(동양에서 용이나 거북은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동물들로 알려져 왔다. 즉, 특히 용은 상상 속의 동물이지만 현실 속에 존재하는 '거북'이 가져다 주는 이미지는 '신령스러운 것'이고 '장수하는 동물'이다. '龜何'는 이러한 거북을 부른 것인데, 주술적인 노래에서는 이를 ‘신격(神格)의 호명(呼名)’이라고 한다. 소원을 들어 줄 대상신을 먼저 불러 모신 뒤에 소원을 말하는 것이 순서이기 때문에 주술적 노래에서는 대개 첫머리에 호명이 놓인다.)머리를 내어라. 首其現也 (명령)(수(首)라는 글자는 거북의 머리, 우두머리[君主] , 산등성 마루 등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 노래를 수로왕 강림(降臨)신화의 삽입 가요로 볼 때, 수로(首露 : 머리를 드러내다)는 首現(수현)과 상통하다..
‣ 요점 정리 지은이 : 광덕 연대 : 문무왕(661-681) 갈래 : 10구체 향가, 기원가(祈願歌), 불교 신앙의 노래 성격 : 기원적, 불교적 구성 : 기(1 - 4행) : 달님에 대한 당부 - 달님에게 기원(간접 청원) 서(5 - 8행) : 극락왕생에 대한 간절한 염원 - 극락왕생 염원(직접 청원) 결(9-10행) : 소원미성취에 대한 염려 - 소원 성취에 대한 염려(청원의 심화 확대) 제재 : 극락에서 다시 태어나기를 바라는 마음, 달 표현 : 비유법, 상징법, 설의법, 돈호법, 숭고미(절대자에 대한 인간의 종교적 외경심을 형상화하는 미의식) 의의 : * 아미타 신앙을 바탕으로 하여 서방 정토에의 왕생을 염원한 서정 가요 * 기원가의 한 전형을 보여 줌 주제 : 아미타불에게 귀의하고자 하는 간절..
‣ 요점 정리작자 : 어느 소끄는 노인(견우노옹)시대 : 신라 성덕왕 때갈래 : 4구체 민요적 향가성격 : 연가적, 찬미적, 서정적표현 : 가정법, 상징법, 도치법제재 : 꽃을 바침주제 : 꽃을 꺾어 바치는 사랑의 노래(헌화), 나이와 신분의 차이를 넘어선 연정의의 : ① 배경 설화의 등장 인물(수로부인)이 고대가요 ‘해가’와 같음 ② 민요가 정착된 향가 ③ 적극적 애정 표현이 나타난 향가 ‣ 이해와 감상 이 노래는 민요 형식을 본받은 4구로 된 서정적 향가로, 소를 몰고 가던 노인이 수로 부인에게 철쭉꽃을 꺾어 바치면서 불렀다는 노래이다. 배경설화와 함께 『삼국유사』에 노랫말이 향찰로 표기되어 전하고 있는데, 아름다운 여인에게 꽃을 바치는 노인의 심정이 붉은 바위의 색깔 이미지에 조응되어 선명하게 묘사..
‣ 요점 정리작자 : 황진이(黃眞伊)갈래 : 평시조성격 : 감상적, 애상적, 여성적 편향, 연정가, 이별가표현 : 도치법. 영탄법특징 : 중의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정서가 드러남 우리말의 절묘한 구사를 통해 정서를 섬세하게 드러냄제재 : 임을 보내고 그리워하는 정주제 :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출천 : ‣ 지상 강의 자존심과 연정의 사이에서 겪는 오묘한 심리적 갈등이 우리말로 절묘하게 표현된 작품으로 임을 떠나 보낸 후의 회한(悔恨)을 진솔하게 나타내고 있는데, 애틋한 심리를 섬세하게 포착하여 정결하게 표현하였다. 겉으로는 강한 척하지만 속으로는 외롭고 약한 서정적 자아의 마음이 깊은 공감을 불러 일으킨다. 황진이의 시조는 기녀(妓女)들의 시조가 애정을 노래함으로써 시조의 영역이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
이화우(梨花雨 )흣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離別)한 님추풍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생각난가천리(千里)에 외로온 꿈만 오락가락하노매 배꽃이 흩날리던 때에 손 잡고 울며 불며 헤어진 임가을 바람에 낙엽 지는 것을 보며 나를 생각하여 주실까?천 리 길 머나먼 곳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는구나. ‣ 요점 정리 작가 : 계랑(桂娘) 연대 : 조선 전기 갈래 : 평시조, 연정가, 이별가 성격 : 감상적, 애상적, 여성적 편향, 표현 : 은유법 제재 : 이별과 그리움 주제 : 임을 그리는 마음 출전 : 청구영언(靑丘永言) ‣ 이해와 감상 임과 헤어진 뒤의 시간적 거리감과 임과 멀리 떨어져 있다는 공간적 거리감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작품으로 초장은 봄바람에 배꽃이 떨어지듯 이별한 임에 대해 직설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