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문체

소설의 문체

 

문체란 글을 쓰는 스타일을 말한다. 즉 글쓴이의 개성적 문장 표현을 의미하는 것으로 문장에 드러난 글쓴이만의 개성이나 고유한 문장의 특성을 말하는 것으로서 다른 문장과의 단순한 차이점이나 특성을 의미한다. 이것은 똑같은 의미의 말을 할지라도 다른 사람과 서로 다른 태도로, 다른 목소리로, 다른 기교를 부려서 말을 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문체는 소설가 각자가 자기 스타일대로 글을 쓰기 때문에 생긴다. 즉 작가마다 단어의 선택, 문장의 길이, 해학성, 구체성, 비유 등과 같이 언어사용이 다르고, 여러 표현기법을 섞어 쓰는 취향이 다름에 따라 문체의 차이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에서 생기기도 한다. 그래서 채만식의 문체와 전광용의 문체가 서로 다르고, 서정인의 문체와 김승옥의 문체가 서로 다른 것이다.

 

(1) 문체의 요소

- 서술(敍述 ; narration) : 설명하는 문장. 인물, 배경 등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해설적이고 추상적이며 요약적임. 서술만 가지고는 구체적이고 형상화된 소설을 이루기 어렵다.

- 묘사(描寫 ; description) : 작가가 객관적인 위치에서 인물, 배경, 장면 등을 구체적으로 그려냄. 독자에게 구체적인 이미지를 생생하게 재현시켜 줄 수 있다. 고대 소설이 서술 중심이라면, 근대 소설의 특징은 묘사 수법에 있다.

- 대화(對話 ; dialogue) : 등장인물의 말로서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행동 및 심리를 묘사하는 기능을 지닌다. 대화는 스토리와 유기적으로 결합해야 하고 화자의 성격 및 말하는 경우(환경)에 일치해야하며 자연스럽고 극적이어야 한다. 간결하고 암시적인 대화는 사건의 전개에 결정적 영향을 주며, 사투리나 특이한 구어체의 사용은 독특한 느낌을 준다.

 

(2) 문체의 유형

1) 간결체 :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내용에 비해 적은 어휘로써 표현하여 압축되어 있는 표현의 글을 말한다. 적은 어휘를 사용하기 때문에 긴축미가 있고, 선명한 인상을 주는 효과가 생긴다. 대체로 문장의 길이가 짧고, 어미나 조사가 많이 생략되는 글이다.

 

2) 만연체 : 표현하려는 내용에 비해 많은 어휘를 사용하여 자세하게 표현하는 글이다. 앞서의 간결체가 비교적 짧게 쓰는 단문이라면, 만연체는 문장의 길이가 길다. 나타내고자하는 내용을 자세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관형어와 부사어를 많이 사용하여 표현하기 때문에 자세하고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긴다. 그러나 어떤 면에서는 문장이 너무 길어져서 긴장감이 떨어지고, 잘못하면 중언부언 잔소리로 느껴져서 맥빠진 글이 되기 쉽다.

 

3) 건조체 : 부사어, 관형어 등의 수식어를 거의 쓰지 않고 중심 내용과 중심 어구만으로 간단명료하게 표현하는 글이다. 내용 전달을 위주로 하는 지적인 글로서, 내용을 축약해서 표현하므로 글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좋으나, 이런 글을 오래 읽다보면 무미건조하여 딱딱한 느낌을 받게 된다.

 

4) 화려체 : 미사여구(美辭麗句)를 동원하여 글을 아름답게 꾸미는 데에 정성을 쏟는 글이다. 따라서 동사, 형용사, 관형어, 부사어를 주로 동원하여 화려하게 표현하며, 비유나 수식이 많고 색채감이 짙으며, 회화적인 느낌이 강하게 나타난다. 미묘하고 아름다운 정감을 드러내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자칫하면 겉만 번지르르하고 속이 비었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다.

 

5) 강건체 : 강한 남성미를 느낄 수 있는 글이다. 주로 연설조의 논설문에 많이 나타나는 문체로서 한자어가 많이 사용되고 호소력이 강하다는 특성이 있다.

 

6) 우유체 : 글의 흐름이 부드럽고 우아하며 섬세한 느낌을 주는 글로서 여성다움을 느낄 수 있는 글이다. 그래서 독자에게 여유와 친밀감을 주게 된다.

 

7) 개성적 문체 : 특정한 작가에게서 지속적인 리듬감이나 반복적인 문장 형태, 특별한 어법, 어조 등이 발견된다면, 이를 작가의 개성적 문체라고 한다. 다시 말해 어떤 표현의 특수성이 유형을 띠지 아니하고 독자성을 지니고 있는 경우의 문체를 뜻한다.

 

8) 유형적 문체 : 한 시대나 지역, 사회 구조, 사회 집단, 어휘, 어법, 수사법 등의 일정한 유형을 지니고 표현되는 문체를 유형적 문체라고 한다.

 

 

728x90

'문학 이야기 > 문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설의 본질  (0) 2014.04.21
소설의 배경  (0) 2014.04.21
소설의 구성  (0) 2014.04.21
문학 용어 개념 정리  (0) 2014.04.21
시의 정의와 특성  (0) 2014.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