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작품은 2014년 EBS 수능완성 B형 실전편, 2015년 수능특강 A형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줄거리
명나라 때 이부시랑 홍무는 나이 사십이 되도록 자녀가 없어 고민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부인 양씨의 꿈에 선녀가 나타난 후 태기가 있어 무남독녀 계월을 얻는데, 그 아이가 대단히 총명하였다.
계월이 다섯 살 때, 장사랑의 반란으로 아버지와 헤어지고, 수적 장맹길을 만나 어머니와도 헤어진다. 자리에 싸여 강에 던져진 계월은 무릉포에 사는 여공이라는 사람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는데 여공은 계월의 이름을 평국이라 고친 후 동갑인 아들 보국과 함께 곽 도사에게 보내 공부하게 한다. 이후 계월과 보국은 과거에 나란히 급제한다.
이때 오랑캐가 중원을 침범하자 천자의 명에 따라 계월은 원수로, 보국은 부원수가 되어 출정한다. 보국이 계월의 말을 듣지 않고 호기를 부리며 나가 싸우다가 대패하자 계월은 이를 처벌하려다 여러 장수들의 만류로 용서하고 자신이 직접 나가 적을 무찌른다. 이 과정에서 계월은 헤어졌던 부모와 상봉한다. 이후 계월이 병이 나자 천자는 어의(御醫)를 보내는데, 어의의 진맥 과정에서 계월이 여자임이 밝혀진다. 계월은 상소를 올려 천자를 속인 죄를 청하나 천자는 이를 너그럽게 용서하며 계월의 벼슬을 그대로 둔 채 보국과의 혼인을 중매한다. 천자의 명에 따라 결혼하게 된 계월은 보국과 갈등을 겪는다. 이때 오왕과 초왕이 반란하여 쳐들어오자 계월은 다시 원수로, 보국은 부원수로 출정하여 적을 물리친다. 이 과정에서 보국은 모든 면에서 자신보다 월등한 계월의 우위를 인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그들의 갈등은 해소된다. 이후 천자는 홍무를 초왕에, 여공을 오왕에 봉하고 보국은 승상이 되어 계월과 더불어 행복한 삶을 산다.
‣ 요점 정리
• 지은이 : 미상
• 시대 : 조선 시대
• 갈래 : 고대 소설. 여성 영웅 소설. 군담 소설
• 배경 : 중국(공간) 명나라 때(시간)
• 성격 : 전기적, 우연적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제재 : 홍계월의 영웅적 면모
• 특징
① 영웅 소설의 서사 구조임.
② 남성보다 우월한 여성이 등장함.
③ 남장(男裝) 모티브가 담겨 있음.
• 주제 : 여성 영웅의 수난과 극복 /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한 비판
• 구성 : 7회의 장회소설(章回小說)
발단 - 홍 시랑의 딸로 태어난 계월은 장사랑의 난으로 다섯 살 되던 해에 부모와 헤어짐
전개 - 여공에 의해 구조되어 그의 아들 보국과 함께 성장한 후, 전쟁에 나가 공을 세우고 헤어졌던 부모와도 만남.
위기 - 남장 사실이 밝혀지나 천자에게 용서받고 보국과 혼인한 후 갈등을 겪음.
절정 - 전쟁에 출정하여 천자와 보국의 목숨을 구하고 원수인 맹길을 죽임
결말 - 보국과의 갈등이 해소되고 홍무는 초왕에 여공은 오왕에 보국은 승상이 되어 함께 행복하게 삶.
‣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중국 명(明)나라를 배경으로 주인공인 여장군(女將軍)의 고행(苦行)과 무용담(武勇談)을 엮어 나간 영웅 소설로, 여성이 스스로의 노력과 의지로 공적인 영역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지위를 획득하며, 나아가 가정에서 남편과 동등한 관계를 지향해 나가려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홍계월전’은 실리와 능력을 중시하기 시작한 당대 사람들, 특히 여성들의 의식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여성의 능력을 인정하고 여성이 사회로 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여성 독자들의 소망에 부응하는 한편, 남녀가 평등한 사회로 변화하는 데 일익을 담당했다고 할 수 있다.
‣ 이해와 감상 2
7회의 장회소설(章回小說)로서, 중국 명(明)나라를 배경으로 주인공인 여장군(女將軍)의 고행(苦行)과 무용담(武勇談)을 엮어 나간 영웅 소설이다.
홍시랑(洪侍郞)의 무남독녀(無男獨女)로 태어난 계월(桂月)이 난리통에 부모를 잃고 여공(呂公)의 구조를 받는데, 여공의 아들 보국(輔國)과는 형제처럼 지내게 된다. 남장(男裝)한 계월이 보국과 함께 과거에 장원 급제하고, 계월은 대원수, 보국은 부원수가 된다. 계월이 싸움터에서 부모를 찾고 개선하지만, 변장이 탄로되어 보국과 결혼하는데 그는 아내의 직위가 높은 데 불만을 품고 애첩 영춘(永春)을 아낀다. 그러나 계월의 슬기로 남편과의 갈등을 극복하고 부부가 다시 화합한다는 줄거리이다. 다른 고대 소설인 <여장군전(女將軍傳)>과 그 구성이 거의 비슷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여주인공의 부모와의 이별과 만남, 남녀 간의 애정을 다룬 영웅 소설, 군담 소설에 해당한다. 이 작품은 남성보다 우월한 여성, 혹은 여성 장군을 등장시키고 있다. 특히 다른 영웅 소설과는 다르게 이 작품은 남편이 아내의 지배를 받고, 군법을 위반하여 엄벌을 받기도 한다. 또한 회군(回軍)한 뒤 여자의 벼슬을 회수하지 않고 그대로 부여해 두는 점도 이 작품의 독특한 점이다.
‣ 이해와 감상 3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 필사본. 1913년 신구서림에서 간행하였다. 이 작품은 여주인공이 부모와 헤어졌다가 결합을 다루면서 남녀간의 애정 · 능력 등을 함께 다룬 영웅소설 · 군담소설 · 여장군소설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면에서 〈정수정전〉이나 그 이본인 〈여장군전〉등과 궤를 같이한다. 물론, 〈옥루몽〉이나 〈황운전〉 같은 소설도 남성보다 더 우위에 있는 ‘ 여성 · 여장군 ’ 을 등장시키고는 있다. 그러나 이들은 이 작품처럼 남편이 아내의 지배를 받고 군법을 위반하였다고 해서 엄벌을 받고 있지는 않다. 또한, 회군한 뒤 여자의 벼슬을 회수하지 않고 그대로 부여해두는 점도 특이하다. 이와 같은 특징들은 이 작품이 독자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접근이 가능함을 시사해준다.
‣ 보충 학습
‘홍계월전’의 영웅 서사 구조
영웅 소설의 서사 구조 | ‘홍계월전’의 서사 구조 |
고귀한 혈통 | 명문 거족인 이부시랑 홍무의 딸로 태어남. |
비정상적 출생 | 어머니 양씨가 선녀 꿈을 꿈. |
비범한 능력 | 어릴 적부터 비범한 능력을 보임. |
어렸을 때의 위기 | 장사랑의 반란으로 부모와 헤어짐. |
구출·양육 | • 여공의 도움으로 죽을 고비를 넘김. • 여공에 의해 평국으로 개명된 후, 보국과 함께 양육됨. |
성장 후의 위기 | • 국난이 잦음. • 남장 사실이 발각됨. • 보국과 갈등이 있음. |
고난 극복과 행복한 결말 | • 계월이 출정하여 적을 물리침. • 모든 면에서 우위에 있는 평국을 보국이 인정하여 둘 사이의 갈등이 해소됨. • 이후 대대손손 부귀영화를 누림. |
■참고 자료
1. ‘홍계월전’의 의의
‘홍계월전’은 첫째, 여성 영웅 소설의 대표적 작품으로 19세기 말에 창작되어 20세기 중반까지 읽힘으로써 영웅 소설과 여성 소설의 맥을 잇고 후대의 신소설에까지 영향을 끼쳤으며, 둘째, 여성을 주인공으로 삼아 소재의 영역을 확대했으며, 셋째, 여성의 한계를 극복하여 남성과 대등한 여성 의식을 고취함으로써 여권 신장, 여성 출세, 남녀 평등에 기여한 작품이다.
2. ‘계월’의 남장이 지닌 의미
주인공 계월은 어릴 때부터 남장을 하고 자라는데 계월의 남장은 작품에서 여러 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우선 계월이 남장을 하고 활동했을 때에는 계월의 영웅적인 활약이 사회적으로 전혀 문제되지 않고 있다. 과거 시험에서 수많은 남성들과 경쟁하고,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 전쟁을 승리로 이끌 때 계월은 누구에게나 칭송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계월이 여자임이 밝혀지면서 능력 있는 여성과 그 능력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 질서와의 갈등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3. ‘계월’과 ‘보국’의 갈등
자신보다 능력이 뒤떨어진 보국과 결혼하는 것이 마땅치 않았던 계월은 보국에게 자신의 우월한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명령을 내린다. 그러나 보국은 이에 불만을 갖고 명령을 거부한다. 계월은 이것을 군령으로 엄하게 다스리고자 하고, 또 보국의 애첩을 죽여 자신의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다. 보국은 이 일로 불만을 품고 계월을 찾지 않는다.
계월과 보국의 갈등은 자신의 능력으로 얻은 사회적 지위를 포기하지 않고 가정에서도 동등한 관계를 이루고자 하는 계월의 태도와, 당시의 전통적인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따라 남녀의 역할을 구분하고 여기서 벗어나는 여성의 활약에 대해서 인정하지 않으려는 보국의 태도에서 나온 갈등이다.
'문학 이야기 > 고전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방전(孔方傳) - 임춘 (0) | 2015.05.19 |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김시습 (0) | 2015.04.02 |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 김시습 (0) | 2014.11.05 |
이춘풍전 - 작자 미상 (0) | 2014.10.29 |
숙향전-작자미상 (3) | 201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