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정표현 긍정 표현에 대하여 언어 내용의 의미를 부정하는 문법 기능을 부정(否定)이라고 한다. 부정 표현은 부정 부사 ‘안, 못’(짧은 부정, 단형 부정) 혹은 부정 용언 ‘아니하다, 못하다, 말다’(긴 부정, 장형 부정) 등이 사용된다.2015 개정 교육과정 공통 국어 영역에서는 부정 표현에 대해 다루지 않고, 심화과목인 ‘언어와 매체’ 영역에서 문법 요소의 개념과 표현 효과와 함께 다루고 있다. ■ ‘안’ 부정문 부정 부사 ‘아니(안)’와 부정의 뜻을 지닌 용언 ‘아니하다(않다), 아니다’에 의한 부정문은 ‘안 부정문’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안 부정문은 단순한 부정의 의미를 지니거나 주체의 의지가 반영된 의지 부정의 의미를 전달한다. ㄱ. 버스가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단순 부정] ㄴ. 오늘부터..
본 자료는 문장성분과 문장의 짜임에 관한 국어 수업 시간에 활용하기 위해 만든 자료입니다.수업용 자료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없습니다. 첨부파일을 다운 받아 활용하세요.
본 자료는 용언의 활용에 관한 국어 수업 시간에 활용하기 위해 만든 자료입니다.수업용 자료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없습니다. 첨부파일을 다운 받아 활용하세요.
본 자료는 품사의 종류에 관한 국어 수업 시간에 활용하기 위해 만든 자료입니다.수업용 자료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없습니다. 첨부파일을 다운 받아 활용하세요.
본 자료는 형태소와 단어의 형성에 관한 국어 수업 시간에 활용하기 위해 만든 자료입니다.수업용 자료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없습니다. 첨부파일을 다운 받아 활용하세요.
언어의 본질 > 언어의 특성 ■ 기호성(記號性) 언어는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과 그것을 나타내는 ‘형식’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언어의 특성을 기호성이라고 한다. 기호는 뜻과 그것을 나타내는 형식이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신호등의 빨간불은 멈추라는 의미와, 파란불은 건너라는 의미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신호등은 기호이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도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음성이나 문자 같은 형식과 결합하여 있는 것이므로 기호의 한 종류이다. 즉, 언어도 기호이기 때문에 형식과 의미로 분석되는 성질(이원성)을 지닌다는 것이다.❚기표(signifiant)와 기의(signifi) 소쉬르(Saussure, F.)는 언어의 ‘형식’을 기표(signifiant:시니피앙)로, 그것이 의미하는 ‘개념’..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