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 - 김광균

반응형
728x90

1. 본문

비인 방에 호올로

대낮에 체경(體鏡)을 대하여 앉다.

 

슬픈 도시(都市)엔 일몰(日沒)이 오고
시계점(時計店) 지붕 위에 청동(靑銅) 비둘기
바람이 부는 날은 구구 울었다.

 

늘어선 고층(高層) 위에 서걱이는 갈대밭
열없는 표목(標木) 되어 조으는 가등(街燈)
소리도 없이 모색(暮色)에 젖어

 

엷은 베옷에 바람이 차다.
마음 한구석에 벌레가 운다.

 

황혼을 좇아 네거리에 달음질치다.
모자도 없이 광장(廣場)에 서다.

 

2. 핵심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회화적, 감각적
• 주제 : 도시 속에서 개인이 느끼는 고독과 불안
• 특징 :
 ① 시간의 흐름, 공간의 이동에 따라 시상을 전개함
 ②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정서를 드러냄
 ③ 시적 대상에 감정을 이입하여 화자의 쓸쓸한 내면을 드러냄
• 구성 :
1연: 대낮에 빈방에 홀로 있는 화자의 모습
2~3연: 일몰 무렵 도시의 삭막한 풍경
4연: 화자의 내면에 깃드는 고독감
5연: 도시 공간 속에 놓인 화자의 불안감

3. 작품 해설

 이 작품은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를 대표하는 김광균의 시집 『와사등』에 실린 시로, 현대 도시 문명 속에서 개인이 느끼는 정서를 회화적인 언어로 형상화하고 있다. ‘대낮’에서 ‘황혼’으로의 시간 이동과 ‘비인 방’에서 ‘광장’으로의 공간 이동이 시상 전개의 중심을 이루는 가운데, ‘청동 비둘기’, ‘고층’, ‘가등’ 등과 같은 도시의 정물들이 화자의 외롭고 쓸쓸한 내면을 드러내 준다. 또한 ‘네거리’의 ‘광장’에 선 화자의 모습은 도시에서 군중 속 개인이 겪는 불안과 방향 상실감을 환기하고 있다.

- 수능특강 해설 참고

4. 심화 내용 연구

1. 시간과 공간의 이동

 이 시는 1연에서 ‘대낯’, ‘비인 방’에 화자가 놓여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2연에서 5연으로 시상이 전개되면서 ‘일몰’, ‘슬픈 도시’, ‘광장’으로 시간이 흐르고 공간의 이동이 드러난다. 화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고독감과 불안감이 고조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2. 김광균의 대표적인 시집 ‘와사등’(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

 B6판, 68면. 1939년 남만서점(南蠻書店)에서 간행하였고, 1946년 정음사(正音社)에서 재판이 나왔다. 작자의 첫 시집으로 서문이나 발문은 없이 「오후(午後)의 구도(構圖)」·「해바라기의 감상(感傷)」·「외인촌(外人村)」·「와사등(瓦斯燈)」·「설야(雪夜)」 등 27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정음사 간행 재판본에는 「설야」가 빠져 26편이 실려 있다.

 『와사등』은 김광균의 대표적 시집인 동시에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modernism) 시운동(詩運動)의 결산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여기에 수록된 시 가운데서도 특히 「외인촌」·「와사등」·「설야」는 김광균의 초기의 특성을 뚜렷이 드러내고 있다.

 「외인촌」은 현란한 색채어와 공감각(共感覺) 이미지로 채색되어, 이미지의 제시는 선명하지만 그 이상의 것은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그와 같은 풍경을 조감(鳥瞰)하고 있는 시인의 고독한 시선이 느껴질 뿐이다.

 「와사등」의 경우는 군중 속에서 느끼는 고독이나 문명 비판적 목소리가 담겨 있어 주지시적 면모를 보이고는 있으나, 여기서도 역시 감상성(感傷性)은 극복되지 못하고 있다. 흔히, 김광균의 대표 시로 꼽히는 「설야」는 기지에 찬 비유나 현란한 이미지보다는 서정적 분위기의 표현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서정시인인 김광균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도 소재와 시인의 정감이 완전히 융합되지 못한 데에서 오는 시적 긴장감의 결여라든지, 비유의 남용으로 인한 의미의 불필요한 중첩 등 구조적 결함이 지적될 수 있다. 그러나 서정성과 현대성의 조화 내지 융합을 지향하는 김광균의 의식이 이 작품에서는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이 점을 감안할 때 이 시는 수사(修辭)의 남용이나 언어유희의 테두리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던 당대 모더니즘 운동이나 김광균 자신의 다른 시들에 비하여 퍽 이색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서정성과 현대성의 조화는 주지적(主知的) 서정시(抒情詩)라고 불리는 한국 현대시의 한 흐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와사등』을 평가함에 있어서 감상을 바탕으로 한 사이비 모더니즘이라는 부정적 관점보다는, 당대의 사회 현실을 새로운 서구시(西歐詩)의 수법으로 형상화시켰다고 하는 긍정적 관점에서 그 시사적 의미를 찾아야 할 것이다.

 

5. 작가 소개

김광균 –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2

100.daum.net/encyclopedia/view/60XX69100057

 

김광균

1930년대 초에 등장한 시문학파의 한 사람이던 김영랑의 시가 눈으로 부를 수 있는 노래라면, 1939년에 첫 시집 『와사등(瓦斯燈)』을 펴낸 김광균(金光均, 1914~1993)의

100.daum.net

김광균 - 광장.pdf
0.09MB

'문학 이야기 > 현대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라(修羅) - 백석  (0) 2021.07.26
대장간의 유혹 - 김광규  (0) 2021.04.08
다시 봄이 왔다 - 이성복  (0) 2021.04.06
신선 재곤이 - 서정주  (0) 2021.04.06
농무 - 신경림  (0) 2021.03.31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