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라(修羅) - 백석

반응형
728x90

1. 본문

거미 새끼 하나 방바닥에 나린 것을 나는 아무 생각 없이 문밖으로 쓸어 버린다
차디찬 밤이다

어니젠가 새끼 거미 쓸려 나간 곳에 큰 거미가 왔다
나는 가슴이 짜릿한다
나는 또 큰 거미를 쓸어 문밖으로 버리며
찬 밖이라도 새끼 있는 데로 가라고 하며 서러워한다

이렇게 해서 아린 가슴이 싹기도 전이다
어데서 좁쌀알만 한 알에서 가제 깨인 듯한 발이 채 서지도 못한 무척 작은 새끼 거미가 이번엔 큰 거미 없어진 곳으로 와서 아물거린다
나는 가슴이 메이는 듯하다
내 손에 오르기라도 하라고 나는 손을 내어 미나 분명히 울고불고할 이 작은 것은 나를 무서우이 달아나 버리며 나를 서럽게 한다
나는 이 작은 것을 고이 보드라운 종이에 받아 또 문밖으로 버리며
이것의 엄마와 누나나 형이 가까이 이것의 걱정을 하며 있다가 쉬이 만나기나 했으면 좋으련만 하고 슬퍼한다.

 

2. 핵심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일상적, 감상적
• 제재 : 거미 가족을 문밖으로 쓸어 버린 경험
• 주제 : 해체된 가족 공동체의 비극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
• 특징 : 
 ① 시적 대상에 대한 화자의 정서가 점층적으로 심화되고 있음.
 ② 시적 대상을 의인화하여 포현함.
 ③ 화자의 반복된 행동을 통해 시상이 전개됨.
• 구성 :
 1연: 거미 새끼 하나를 문밖으로 버림.
 2연: 큰 거미를 새끼 있는 데로 가라고 문밖으로 버림.
 3연: 무척 작은 새끼 거미를 제 가족을 만나라고 종이에 받아 문밖으로 버림.

 

3. 작품 해설

 이 작품은 가족이 뿔뿔이 헤어져야 했던 1930년대 우리 민족의 비극적 현실을 ‘거미 새끼’와 ‘큰 거미’, ‘무척 작은 새끼 거미’가 서로 헤어지게 된 상황에 빗대고 있다. 거미 가족이 헤어지는 상황을 통해 가족 공동체가 해체되는 우리의 현실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한 가족이 함께 지내지 못하는 눈물겨운 상황을 하늘에서 쫓겨난 사람들의 세계, 눈 뜨고 볼 수 없을 만큼 끔찍하게 흩어져 있는 현장이라는 뜻의 수라(修羅) 혹은 아수라(阿修羅)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 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4. 작품 해설

 이 시는 거미 가족의 모습을 통해 붕괴된 가족 공동체의 아픔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거미 새끼 한 마리가 방바닥에 내려오자 화자는 무심히 쓸어 버린다. 이어 새끼 거미를 찾아온 어미 거미를 발견한 화자는 ‘가슴이 짜릿’해지고, 어미 거미를 새끼 거미가 있는 곳으로 쓸어 버리며 서러움을 느낀다. 그러고 나서 화자는 작은 새끼 거미가 어미 거미가 없어진 곳으로 오는 것을 보고 ‘가슴이 메이는 듯’하여 거미 가족이 다시 만나기를 바라면서 작은 새끼 거미도 문밖으로 쓸어 버린다. 이처럼 화자는 거미를 밖으로 버리는 행위를 반복하면서 정서의 변화를 겪는데, 처음에 무심했던 정서가 점차 연민과 슬픔의 정서로 심화되고 있다. 이 시가 창작된 시기를 고려할 때, 거미 가족은 일제 강점으로 해체된 우리 민족의 가족 공동체라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결국 이 시는 거미 가족의 모습을 통해 가족 공동체마저 파괴되어 ‘아수라’와 같은 상황에 처한 우리 민족의 아픔을 우회적으로 표현하면서 공동체적인 삶의 회복에 대한 소망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 천재교육, 해법 문학 참고

5. 심화 내용 연구

1. 이 시의 시상 전개 방식(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이 시에서 시적 대상인 ‘거미’를 ‘의인화’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 ‘거미’에 대해 시적 화자가 하는 행동을 통해 연이 거듭될수록 화자의 정서적 반응이 점층적으로 심화되고 있으며 시적 대상에 대한 묘사와 진술이 연이 진행되면서 상세화되고 있다. 시적 화자는 우의적인 대상을 통해 인간의 삶이 처한 현실을 우회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제목 ‘수라(修羅)’의 의미(천재교육 참고)

 ‘수라(修羅)’는 불교에서 중생이 자신의 업보에 따라 윤회하게 되는 여섯 세계, 즉 ‘천상, 인간, 아수라, 아귀, 축생, 지옥’의 여섯 세계 가운데 ‘아수라’를 달리 부르는 말이다. ‘아수라’는 ‘하늘에서 쫓겨난 사람들의 세계’, ‘눈뜨고 볼 수 없을 만큼 끔찍하게 흩어져 있는 현장’을 의미한다. 시인은 외부 환경에 의해 차가운 바깥으로 쫓겨나, 한 가족이 함께 지내지 못하는 비극적인 상황을 상징적으로 ‘수라’라고 표현한 것이다.

 

3. 시적 공간의 기능(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시를 감상할 때 독자는 시인이 작품 속에 감추어 놓은 여러 장치를 발견해 내는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다. 시적 공간은 시인이 주제를 형상화하기 위해 설정한 곳으로, 일상적 경험을 통해 지각하는 공간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사인은 시적 공간을 우리가 일상에서 볼 수 없는 공간으로 설정하기도 하고,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공간과는 다른 의미의 공간으로 설정하기도 하며, 동일한 공간도 한 편의 시에서 다른 의미를 담은 공간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시적 공간은 시간이 살아온 삶과 가치관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리고 독자가 주체적으로 체득한 공간에 대한 인식도 중요하다. 이처럼 시적 공간은 감상의 실마리가 되며 나아가 창조적 의미를 구성하는 요소로 기능하기도 한다.

 

6. 작가 소개

백석 –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2

 

백석

국토 분단은 우리에게서 많은 것을 앗아간다. 한국 현대사에서 분단이야말로 한반도 사람들의 피할 수 없는 상처이며, 비극의 원체험인 것이다. 분단은 온갖 상실과 망각, 이산의 고통으

100.daum.net

 

백석 - 수라.pdf
0.08MB

'문학 이야기 > 현대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야(廣野) - 이육사  (0) 2021.08.01
사평역에서 - 곽재구  (0) 2021.07.26
대장간의 유혹 - 김광규  (0) 2021.04.08
광장 - 김광균  (0) 2021.04.08
다시 봄이 왔다 - 이성복  (0) 2021.04.06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