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 윤동주



길 윤동주

잃어버렸습니다.

↳ 상실의 상황

무얼 어디다 잃었는지 몰라

두 손의 호주머니를 더듬어

을 나갑니다.

↳ 자아탐색으로 나아가는 화자길은 자아성찰의 공간

 

돌과 돌과 돌이 끝없이 연달아

길은 돌담을 끼고 갑니다.

↳ 화자의 의지를 가로막는 장애물

 

담은 쇠문을 굳게 담아

↳ 차단단절의 이미지

길 위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길은 아침에서 저녁으로

저녁에서 아침으로 통했습니다.

↳ 계속된 자아 성찰시간의 지속성

 

돌담을 더듬어 눈물짓다

쳐다보면 하늘은 부끄럽게 푸릅니다.

↳ 성찰의 매개체자아반성을 하게 함.

 

풀 한 포기 없는 이 길을 걷는 것은

↳ 삭막한 현실절망적인 시대 상황 암시

담 저 쪽에 가 남아 있는 까닭이고

↳ 찾고자 하는 본질적인 자아.

 

가 사는 것은다만,

↳ 부끄러운 자아현실적 자아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 찾고자 하는 본질적인 자아.

‣ 요점 정리

2연 돌담을 끼고 가는 길

3연 굳게 잠긴 돌담길(닫힌 역사)

4연 길의 양면성(쇠락-번성)

5연 부끄러운 자아 인식

6연 역사에 갇힌 자아 확인

7연 자아와 역사 회복 의지

주제 자아와 역사 회복의 의지

특징 단어의 반복을 통해 주제를 강조하면서 의미의 긴밀성을 높이고 있다.

 

‣ 이해와 감상

1연에서 화자는 잃어버린 것을 찾아서 방황하는 자신을 이야기한다목적어가 생략된 채 대뜸'잃어버렸습니다'로 시작하는 서두의 그 급작한 어조 때문에 독자의 주의를 집중케 한다상실감을 찾고자하는 의지를 촉발시키고 찾고자 하는 의지에 의해 길을 가게 된다상실의 상황과 그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나온 행동인 주머니를 더듬어 내려가는 행동이 형상화되어 있다두 손으로 잃은 것을 찾는 행위는 두 발로 길을 걸어가는 행위와 대비된다두 손은 두발로주머니의 좁은 공간은 길이라는 확장된 공간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주머니는 길에 비해 작고 내밀한 공간으로 화자의 내면과 동일화될 수 있다두 손으로 주머니를 더듬는 행위는 곧 잃어버린 대상이 화자의 내면에 존재해 있던 대상임을 추정케 한다.

2연은 화자가 걸어가는 길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그것은 돌과 돌이 연이어 있고담이 있으며그 담을 끼고 길이 계속되고 있는 길이다돌담은 화자가 걸어가는 길을 안과 밖으로 갈라놓는 경계 역할을 하고 있다.

돌담을 경계로 하여 화자는 한쪽 세계를 볼 수 없게 된다그것은 화자가 잃어버린 세계이며 도달해야 할 세계이지만그 세계는 결코 도달할 수도 볼 수도 없는 것이다돌담이 계속되는 한 화자가 걸어가야 할 길은 계속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역으로 말해서 돌담과 같은 장애요소가 없다면 길의 존재 이유도 없는 것이다그러나길에서의 장애요소가 길 앞에 놓여진 것이라면 화자는 그 장애물을 뛰어 넘는다거나 깨뜨림으로써 고통의 세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자아에로의 지향을 뚜렷하게 나타낼 수 있다그러나 이 시에서의 장애 상황은 앞에 놓인 것이 아니라화자와 평행으로 놓여진 돌담으로 자아의 안과 밖현실과 이상을 구분하면서 끊임없이 계속되는 삶의 과정인 것이다.

3연에서는 담 저쪽으로 갈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고 있는데그것은 굳게 닫힌 쇠문으로 그려지고 있다이를 통해 담의 견고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희망보다는 절망 쪽으로 기울게 한다.' 길 위에 긴 그림자'는 어둡고 암울한 분위기를 암시한다이 시에서 '길다'는 형용사는 1연의 길게 나아가는 화자, 2연의 돌담을 끼고 연달아 있는 길, 3연의 긴 그림자 등 길이라는 공간어의 선()의 개념과 연관된다그것은 길의 진행곧 시간의 경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아침에서 저녁으로저녁에서 다시 아침으로 연속되어 이어지는 시간의 지속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과정과 일치된다길을 걷는 것은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이며산다는 것은 잃은 것을 찾는 탐색의 일종인 것이다그것은 계속되는 방황과 고통을 함유하며,그러한 시간의 깊이는 윤리적 가치의 깊이와 중복되어 있다.

5연에서는 '돌담을 더듬어 눈물짓는화자의 슬픈 모습을 볼 수 있다여기서 새로운 공간으로 푸른 하늘이 등장하고 있는데하늘은 화자의 부끄러운 무능과 대조되는무한한 능력을 가진 초월적 공간으로 윤동주 시에 자주 등장하는 중심어 중의 하나이다하늘은 비본질적 자아를 일깨워주는 지고(至高)한 존재이다존재 각성은 부끄러움이라는 행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부끄러움 또한 윤동주 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시어로 준엄한 자아성찰의 모습을 집약하고 있다.

6,7연에서는 삶에 대한 화자의 총괄적인 태도가 집약되고 있다시인은 그림자가 드리우고풀 한 포기 나지 않는 부정적인 조건에도 불구하고 모든 비참함을 넘어서 끊임없이 가야 하는데이는 잃어버린 자기 자신이 여전히 담 저쪽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담 저쪽에 남아 있는 자아는 화자가 잃어버린 참된 자아이기 때문이다그러므로 방황과 갈등 그리고 이쪽(담 밖)과 저쪽(담 안)의 선택을 의미하는 길 위에서 화자는 저쪽(담 안)의 세계를 선택함으로써이쪽(담 밖세계의 고통과 방황을 맞게 되는 것이다그것은 외관을 넘어서 존재의 본질현재 잊고 있는 존재의 무엇인지 알 수 없는 먼 역사를 찾아가는 것이다.

마지막 연에서의 '내가 사는 것'과 '잃은 것을 찾는것의 동일화가 바로 그것을 암시하고 있다길의 행위 서술어인 '가다'의 의미는 마지막 연에서는 '살다'의 행위로 전환되고 있다., 1연 4행의 '길게 나아갑니다', 2연 2행의 '돌담을 끼고 갑니다', 6연 1행의 '이 길을 걷는 것'에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서술어 '가다'는 인간의 실존적 조건 자체가 길의 과정여로임을 인식시키고 있다그리하여 잃어버린 나를 찾는 행위는 '가다'라는 서술어로 나타나며그것은 금방 도달할 수 있는 세계가 아니다그러므로 시인은 '풀 한 포기 없는'불모의 길을 가는 것이며고통에 굴하지 않고 끊임없는 길의 선택을 계속할 의지를 보이고 있다그것은 '내가 사는 것은다만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이며이러한 결의나 다짐의 태도는 윤동주 시의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길은 보편적인 의미에서 탐색의 과정을 상징하는 것으로 그것은 무위의 공간이 아니라 생명의 끊임없는 움직임즉 동성(動性)을 자극하는 요소를 지닌다또한 길은 출발과 도착의 과정을 지닌 행위의 공간이기도 한데항상 도달해야 할 목적지를 내포하고 있다윤동주의 <>은 바로 그 목적지를 향해 가는 과정으로서의 길이며목적지에 다다르기 위해 시련을 극복해야 하는 정신적인 세계로서의 길이다결국 윤동주의 <>은 깊은 자아성찰에의 지향성을 가지며본래의 자아를 회복하려는 형이상학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 한국 현대시 작품연구(김현자민음사) p. 154-159 발췌 요약

 

 

<이해와 감상2>

연희 전문학교 3학년에 재학하던 1941년 9월에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이 시는 진정한 삶을 추구하는 식민지 지식인의 결연한 자세를 보여 주는 작품이다윤동주의 시는 대부분 자아 성찰을 통한 자기 완성을 지향하는 특징을 갖는데그 자아 성찰의 공간으로 등장하는 것이 주로 ''·'우물'·'등의 이미지이다. ''은 탐색의 과정과출발과 도착의 과정을 지닌 행위의 공간이므로 ''의 공간성은 항상 도달해야 할 목적지를 지닌다그러나 그 목적지를 향해 가는 과정으로의 ''에는 반드시 겪어야 할 시련이 존재한다그러므로 ''은 시련의 극복이라는 정신적인 세계의 의미를 갖게 된다이 시에서의 ''은 자기 성찰과 자기 수련을 통해 식민지 시대를 극복하고 본질적 자아를 회복하는 과정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1연에서는 상실의 상황과 그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나온 행동을 형상화하고 있다화자는 무엇인가를 잃어버렸지만그것이 무엇인지또한 어디에서 잃어버렸는지 몰라 두 손으로 주머니를 더듬으며 길을 나서고 있다여기서 주머니를 더듬는 행위는 길을 나서는 행위와 대비되는 것으로결국 두 손은 두 발로주머니는 길이라는 확장된 공간으로 점차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주머니는 길에 비해 작고 내밀한 공간으로 화자의 내면과 상통한다그러므로 두 손으로 주머니를 더듬는 화자의 행위는 곧 잃어버린 대상이 자신의 내면에 존재해 있던 것이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2연에서는 화자가 걸어가는 길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그 길은 돌이 끝없이 연달아 이어져 있는 돌담을 끼고 가는 길이다여기에서 돌담이 길을 안쪽과 바깥쪽으로 갈라 놓았기 때문에 그 길을 걷고 있는 화자로서는 결코 돌담 안쪽을 들여다 볼 수 없다그 곳은 바로 화자가 회복해야 할 이상적 자아의 세계이지만돌담이 그 길과 평행 상태로 끝없이 어어져 있기 때문에 화자는 그 곳에 도저히 도달할 수 없다따라서 돌담은 자아의 안과 밖현실과 이상을 갈라 놓으며 끝없이 계속되는 우리네 삶의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3연에서는 돌담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고 있지만그것이 긴 그림자를 드리운 채 쇠문으로 굳게 닫혀 있다고 함으로써 절망적 상황임을 암시해 준다.

4연에서는 시간 속에서 시간과 함께 살아가는 삶의 과정으로서의 길의 의미를 형상화하고 있다길의 진행은 곧 시간의 경과를 의미하는 것으로길을 걷는다는 것은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이며또한 산다는 것은 화자처럼 잃어버린 자아를 찾는 탐색 과정인 것이다.

5연에서는 부끄러움을 통한 자아의 갈등과 각성을 형상화하고 있다이상적 자아를 회복할 수 없음을 깨달은 화자가 쳐다본 하늘은 현실적 자아를 일깨워 주는 지고(至高)한 존재로 그에게 부끄러운 마음을 갖게 한다이 부끄러움이야말로 윤동주 시 세계의 기본 바탕을 이루는 것으로준엄한 자기 성찰을 통한 자기 완성을 지향하게 해 주는 원동력인 것이다.

6·7연에서는 삶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풀 한 포기 없는불모의 길을 걷는 것은 담 저 쪽에 존재해 있는 잃어버린 자아즉 본질적 자아를 찾기 위함이다. '긴 그림자가 드리운돌담 같은 어둡고 절망적인 현실 상황 속에서도, '내가 사는 것은다만, / 잃은 것을 찾'기 위함이라는 독백을 하는 화자에게서 우리는 진정한 인간적 삶을 추구하기 위해 악랄한 식민지 상황에도 굴하지 않고 끊임없이 자아 회복의 길을 걷던 윤동주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문원각의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문학 이야기 > 현대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님의 침묵 - 한용운  (0) 2014.04.22
들길에 서서 - 신석정  (0) 2014.04.18
낡은 집 - 이용악  (0) 2014.04.18
교목 - 이육사  (0) 2014.04.18
새 - 박남수  (0) 201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