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집 - 이용악 |
날로 밤으로 /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 대대손손에 물려줄 /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했니라
재를 넘어 무곡을 다니던 당나귀 / 항구로 가는 콩실이에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 지 오랜 / 외양간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털보네 간 곳은 아무도 모른다
찻길이 놓이기 전 / 노루 멧돼지 쪽제비 이런 것들이 / 앞뒤 산을 마음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털보의 셋째아들은 / 나의 싸리말 동무는 / 이 집 안방 짓두광주리 옆에서 / 첫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 송아지래두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 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 / 차거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 보냈다는 / 그날 밤 저릎등이 시름시름 타들어가고 / 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일층 붉더란다
갓주지 이야기와 / 무서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 / 나의 동무는 늘 마음 졸이며 자랐다 당나귀 몰고 간 애비 돌아오지 않는 밤 / 노랑고양이 울어 울어 / 종시 잠 이루지 못하는 밤이면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구석에서 / 나의 동무는 /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
그가 아홉살 되던 해 / 사냥개 꿩을 쫓아다니는 겨울 /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디론지 사라지고 이튿날 아침 / 북쪽을 향한 발자욱만 눈 위에 떨고 있었다
더러는 오랑캐령 쪽으로 갔으리라고 /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 /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 / 탐스럽게 열던 살구 / 살구나무도 글거리만 남았길래 꽃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울 안에 /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
‣ 요점 정리
갈래 : 자유시, 이야기시
성격 : 향토적 서사적, 사실적, 설화적, 회상적
제재 : 낡은 집
주제 : 일제 강점기의 유랑민의 비애
특징 : ① 액자식 구성으로 이루어짐
② 토속적인 시어를 사용함
③ 관찰자적 입장에서 시상을 전개함
④ 개인의 가족사를 통해 일제 강점기 농촌의 전형적인 삶의 모습을 드러냄
‣ 이해와 감상
이 시는 털보네의 비극적인 가족사적 일대기를 액자식 구성을 통해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일제의 수탈로 고향을 등지고 야반도주할 수밖에 없었던 털보네의 처지는 당시 우리 농민들의 비극적인 모습을 대변하고 있다.
이 시는 크게 외화(1, 2, 8연)와 내화(3~7연)로 나눌 수 있는데, 외화에서 화자는 ‘낡은 집’이 상징하는 우리 농촌의 황폐화된 모습을 묘사하고, 내화에서는 털보네의 가족사적 일대기를 직접 체험한 내용과 전해 들은 이야기로 표현함으로써 사실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 시는 독자로 하여금 당시 일제의 폭력성과 우리 농촌의 비극적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 보충 학습
☆ ‘낡은 집’의 의미 : ‘낡은 집’은 일제 강점기에 삶의 터전을 뿌리째 뽑힌 농촌 공동체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 가난을 이기지 못해 낯선 이국땅으로 도망칠 수밖에 없었던 털보네의 삶을 이야기 형식으로 전개함으로써 당시의 황폐화된 농촌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 시어 및 시구의 의미
낡은 집 |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이 겪어야 했던 비참한 삶의 모습 |
항구, 찻길 | 일제 식민에 의한 문명 개화를 상징하는 동시에 일제의 식민지 수탈의 상징적 공간 |
둥글소 | 일제의 수탈로 등이 굽을 정도로 비참하게 된 당대 민중의 모습 |
차가운 이야기 | 자식의 출생보다 생계를 더 중요시할 수밖에 없는 비극적인 삶 |
저릎등 | 속이 타들어 가는 민중들의 애타는 심정 |
글거리 | 피폐한 민족 현실 |
☆ ‘낡은 집’의 사실성을 부여하는 요소
- 화자가 주로 관찰자의 입장에서 털보네의 이야기에 관한 객관적 사실을 전달함
- ‘-고 한다’, ‘-란다’ 등의 인용 표현을 통해 털보네 가족사를 전달함
- 친구인 털보 아들을 3인칭 대명사인 ‘그’로 객관화하여 시적 대상과 거리를 둠
- 과거의 화자를 어린아이로 설정함으로써 화자의 직접적인 판단과 개입을 막고 시적 대상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표현함
≫≫ 결국 작품의 사실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당시의 농민들의 비극적인 삶과 일제의 폭력성을 효과적으로 폭로하는 효과를 주고 있다.
배경 | → | 항구, 찻길 : 원활한 물자 수탈과 운송을 위해 일제가 건설한 것 아라사 : 조선인이 많이 이주해 갔던 러시아의 다른 표기 | → | 일제 강점기 |
인물 | → | 대대손손 물려줄 / 은동곳도 산호 관자도 갖지 못했니라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 송아지래두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 어디론지 사라지고 이튿날 아침 / 북쪽을 향한 발자국만 눈 위에 떨고 있었다. | → | 가난하고 미천한 신분 |
|
| ↓ |
|
|
털보네 | → | 일제 강점기의 수탈을 이기지 못하고 만주나 러시아로 떠돌아야 했던 당시 우리 민족의 전형적인 모습 |
☆ ‘털보네’의 상징적 의미
☆ 이야기시의 정의와 특징
이야기시란 이야기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는 시로, 시인이 작품에 등장시킨 인물과 그 인물들이 만들어 가는 사건을 그대로 전달하려는 형식을 취한다. 특히 이 시는 일반적인 서정시와는 다르게 최대한 화자의 감정이 배제되어 있어 독자가 작품의 의미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공감의 폭을 높이고 있다.
'문학 이야기 > 현대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길에 서서 - 신석정 (0) | 2014.04.18 |
---|---|
길 - 윤동주 (0) | 2014.04.18 |
교목 - 이육사 (0) | 2014.04.18 |
새 - 박남수 (0) | 2014.04.17 |
나의 하나님 - 김춘수 (0) | 201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