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 박남수

 

 

- 박남수

1

하늘에 깔아 논

바람의 여울터에서나

자연의 세계, 바람이 불어 지나가는 곳

속삭이듯 서걱이는

나무의 그늘에서나, 는 노래한다.

의도나 가식 없는 자연 그대로의 순수 상징. 생명.

그것이 노래인 줄도 모르면서

생명, 사랑, 순수의 노래

 

새는 그것이 사랑인 줄도 모르면서

두 놈이 부리를

서로의 죽지에 파묻고

따스한 체온을 나누어 가진다.

사랑, 노래

- 순수하고 아름다운 사랑, 노래

 

2

새는 울어

을 만들지 않고

가식, 인위성

지어서 교태(嬌態)

가식으로

사랑을 가식(假飾)하지 않는다.

- 의미를 붙이거나 가식하지 않는 새의 사랑, 순수성

 

3

포수는 한 덩이 으로 비정함, 물질 문명, 잔혹성

인간, 새와 대립되는 이미지, 파괴자

순수(純粹)를 겨냥하지만, : 순수한 가치에 대한 추구

원관념 :

매양 쏘는 것은

한 마리 ()한 새에 지나지 않는다.

인간에 의해 파괴된 순수, 실체가 사라진 순수

- 삶의 순수성 파괴 - 인간의 비정함

요점 정리

운율 : 내재율

어조 : 차분하고 이지적인 어조

성격 : 주지적, 문명 비판적, 시각적, 감각적

제재 : (의도와 가식이 없는 순수의 표상)

표현법 : 이미지를 선명하게 형상화 -

(1)에서는 이미지스트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 주고,

(3)에서는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로 지적인 면을 보여 준다.

특징 : 인간 문명에 대한 비판이 드러남

인간과 새의 대립을 통한 논리적 이미지를 선명하게 형상화함

관념적인 내용을 선명한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제시함

주제 : 인간의 비정함에 대한 자연의 순수성, 순수 가치의 옹호와 추구, 자연의 순수성을 파괴하는 인 간문명의 비정함

의의 : 박남수의 대표작이며 인간 문명에 대한 비판과 현대인의 물질문명에 경종을 울리는 작품

포수

자연의 세계

생명성

사랑, 노래, 체온, 순수 등

인간의 세계

공격성(비생명성)

욕심, 인위, 가식, 파괴, 폭력, 교태 등

대립적 시어 :

 

이해와 감상

새로 상징되는 훼손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과 인간으로 상징되는 파괴적 본성을 대립시켜 문명 비판적 주제를 제시한 작품이다. , 자연적 생명의 순수함과 아름다움을 인간의 비정성, 파괴성과 대비시킴으로써 현대의 물질 문명을 비판하고 있다.

새는 그저 울고 싶어서 우는 것일 뿐 무슨 특별한 뜻을 염두에 두고 울지 않으며, 마음 속으로부터 우러나 체온을 나눌 뿐이지 억지로 사랑을 꾸미지도 않는다. 시인은 그것을 순수라고 명명한다. 그러나 그 순수를 의도적으로 겨냥할 때, 그것을 잡았다고 생각하는 순간, 순수는 사라져 버리고 남는 것은 피에 젖은 한 마리 상한 새’, 즉 순수의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 자연스럽지 않고, 의도된 모든 것은 비순수라는 생각이 자리잡고 있다고 하겠다. 여기서 우리는 순수를 지향하는 시인의 인생관과 시작 태도를 엿볼 수 있으며, 인간의 비정함이 삶의 순수성을 어떻게 파괴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 주는 것이라 하겠다.

 

다양한 해석

를 순수한 시로, ‘포수를 시답지 못하게 하는 환경으로 보는 경우

- 새를 죽이는 포수를 등장시켜 시를 그냥 시 자체의 아름다움으로 보지 않고 억지로 꾸미고 풀이하 거나 시에 어떤 목적성을 지닌 이데올로기를 담으려고 하는 풍토를 비판하고 있다. 노래인 줄도 모르고 부르는 순수한 노래를 진정한 시라고 이해했던 시인의 견해에 주목할 때 설득력을 갖는다.

를 존재의 본질인 순수로, ‘포수를 현상에만 집착하는 인간의 어리석음으로 보는 경우

- 인식의 대상을 새로, 인식의 주체를 포수로 볼 때, ‘한 마리 상한 새만 남는다는 것은 존재의 본 질을 알려는 인간의 의도가 항상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의도된 모든 것은 비순수를 낳고 비순수를 통해서는 존재의 현상에만 머물뿐 결코 존재의 본질에 도달할 수 없기 때 문이다.

를 자연으로, ‘포수를 인간의 무분별한 욕망으로 보는 경우

- 포수가 총으로 새를 죽이는 것은 인간이 자연을 소유하기 위해 현대 기계 문명을 이용해 자연을 파괴하는 것을 상징한다.

 

 

신동집의 시 오렌지와의 비교

불순한 인간의 의도가 자연의 본질인 순수를 항상 파괴해 왔음을 비판한다. 그래서 인간은 총으로 상징되는 그 스스로의 한계와 잘못 때문에 결코 순수를 알 수도, 잡을 수도 없게 되고 만다. 결국 순수를 겨냥하면서도 인간이 얻는 것은 피에 젖은 한 마리 상한 새에 불과한 것이다. 이는 신동집이 오렌지에서 손을 대는 순간 오렌지는 이미 오렌지가 이니고 만다라고 노래하며 존재의 본질을 파악하려는 인간의 의도는 오히려 그 본질을 파괴할 수 있음을 드러낸 것과 같다. 김춘수 역시 꽃을 위한 서시에서 나의 손이 닿으면 너는 미지의 까마득한 어둠이 된다’, ‘얼굴을 가리운 나의 신부여라는 시구로 존재의 본질을 알 수 없는 안타까움을 노래하고 있다.

 

박남수의 성북동 비둘기의 비교

1) 공통적인 의미

문명비판적 시각 : 자연 파괴에 대한 자각, 문명의 한계에 대한 인식

- 인위적인 문명에 대한 비판

성북동 비둘기 - 자연을 파괴하는 문명에 대한 비판

새가 궁극적으로 의미하는 것 : 둘 다 자연을 의미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한 방법 : 대조

시적 자아에게 있어서의 의미 : 간직해야 할 고귀한 가치를 지닌 대상

- 순수

성북동 비둘기 - 사랑과 평화

 

2) 차이점

: ‘포수로 설정된 인간과 처음부터 대립의 관계에 있음

성북동 비둘기 : ‘비둘기는 본래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던 사랑과 평화의 새로 나중에 인간에 의해 그 관계가 깨어짐

 

 

상세보기

'문학 이야기 > 현대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낡은 집 - 이용악  (0) 2014.04.18
교목 - 이육사  (0) 2014.04.18
나의 하나님 - 김춘수  (0) 2014.04.17
어머니의 물감상자 - 강우식  (0) 2014.04.17
정지용 - 향수  (0) 2013.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