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목 - 이육사

교목(喬木) - 이육사(2007 기출)

푸른 하늘에 닿을 듯이 (직유법)

이상과 염원의 세계

세월에 불타고 우뚝 남아 서서 (의인법)

혹독한 현실 굳은 의지상승 이미지

차리리 봄도 꽃피진 말아라.

부정 명령형(강한 의지 표명)

- 1연 어떤 시련이나 고난에도 굽히지 않겠다는 의지와 신념

낡은 거미집 휘두르고

암담한 현실

끝없는 꿈길에 혼자 설레이는

자유와 독립의 길투쟁의 길

마음은 아예 뉘우침 아니라.

자신이 선택한 길을 후회하지 않겠다는 다짐과 결의

- 2연 암담한 현실에 굴하지 않고 이상을 추구하겠다는 삶의 의지를 다짐

검은 그림자 쓸쓸하면,

암울한 시대 상황

마침내 호수(湖水) 속 깊이 거꾸러져

죽음의 이미지 하강 이미지=죽음의 결의

차마 바람도 흔들진 못해라.

바람이라는 탄압에도 흔들지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

- 3연 죽음마저 불사하는 단호한 의지와 결단

‣ 요점 정리

어조 강인하고 의지적인 어조

제재 교목

특징 :

① 절제된 언어를 사용함

② 상징에 의한 암시적 표현을 사용함

③ 각 연을 부정어로 종결시켜 강한 저항 의지를 보임

주제 불의한 현실에도 굽히지 않는 저항의지

 

‣ 이해와 감상

이 시의 제재 교목은 높게 우뚝 서 있는 나무로서일제의 억압 속에서 굽힘 없이 살고자 한 시인의 자세를 드러내기 위한 대상이다이 시는 밖을 향한 목소리가 아니라 시인의 내면을 향한 다짐의 목소리어떠한 어려움이나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겠다는 강인한 저항 정신을 교목의 곧고 꿋꿋한 이미지에 초점을 맞추어 노래하고 있다.

먼저 1연에서 시적 화자는 모진 세월 속에 수난을 당하지만, ‘우뚝 남아 서서’ 끝까지 당당하게 버티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차라리 봄도 꽃피진 말아라라고 하며 비굴하게 자신의 의지를 굽히면서까지 개인의 영화(榮華)를 누리지는 않겠다는 결연하고 비장한 의지를 단호한 목소리로 표현하고 있다.

2연에서 시적 화자는 낡은 거미집으로 표상되는암울하고 암담한 현실 상황 및 자신의 나태하고 나약하며 소극적인 삶의 태도와 정신 자세를치열하고 준엄하게 반성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이러한 반성은 끝없는 꿈길로 이어지고 있는데이것은 시적 화자가 꿈에도 간절히 바라마지 않았던 밝고 희망찬 미래(조국의 광복)를 개척해 나가는 투쟁의 길(과정)을 의미한다.

3연에서는 시적 화자의 굳건한 의지를 다시 강조하고 있다. ‘검은 그림자로 표상되는 절망적 상황을 극복하고 호수로 상징되는 부정적 현실을 이겨 내며, ‘바람으로 표상되는 가혹한 현실적 탄압이나 시련에 당당하게 맞서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다가혹한 현실의 고난의 시간(세월)에 맞서 기꺼이 자신의 모든 정렬을 불태우며 조국 광복과 민족 해방을 향해 나가는 시적 화자의 의지는죽음마저 두려워하지 않는 담대함으로 단련되고 있다.

 

‣ 형식과 기법상의 특징

교목이라는 자연물과 화자의 내면 세계가 동일시되고 있다.

상징성이 두드러진 시어와 시구를 활용하는 한편간결한 짜임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 ‘차라리아예마침내차마’ 등 단호한 의미로 전달하는 부사와 말아라아니라못해라’ 등 부정형의 종결 어미를 통해 저항 의식을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다.

 

‣ 부정어 사용의 효과

이 시를 보면각 연마다 부정 서술어(말아라아니라못해라)를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이렇게 부정 서술어를 일관되게 사용함으로써 시적 화자의 부정적 현실 상황에 대한 거부 태도 및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강인한 의지 그리고 밝고 희망찬 미래를 열고자 하는 간절한 바람을 강조하고 있다특히명령형의 부정 서술어를 사용함으로써 훨씬 단호하고 의지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 봄에 대한 거부

봄에는 꽃이 피는 것이 자연의 섭리인데이 시의 시적 화자는 차라리 꽃이 피지 말라고 이야기한다이는 으로 표상되는 현실적 유혹이나 육신의 안일함에 빠지지 않으려는 시적 화자의 준엄하고 강인한 의지의 표출로 이해할 수 있다다소 어법에 맞지 않는 듯한 부자연스러운 표현인 바이는 시적 효과를 위한 의도적 문법 일탈 표현으로 볼 수 있다.

 

‣ 이육사와 유치환의 의지적인 자세

이육사의 교목과 유치환의 바위의 중심 소재는 의지의 응결체라는 점에서 그 성격이 비슷하다이육사는 굳고 꼿꼿한 교목의 자태에유치환은 견고하고 투박하면서 고정적인 바위에 자신의 신념과 의지를 결합시켰다그런데 이육사가 바람도 흔들지 못하도록 기꺼이 호수 속 깊이 거꾸러지는 교목으로 실전적인 의지를 분출시켰다면유치환은 한결같은 모습을 간직하는 바위에다 온갖 흔들림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는 관념적인 의지를 투영하였다.

 

‣ 이육사의 시 세계

현실 극복 의식 시를 통해 초극 의지를 실현함으로써 일제 치하의 민족적 현실을 극복개척해 나가려는 시를 많이 남겼다. ‘시와 행동의 일치라고 평가받는 저항시에는 절정’, ‘’ 등이 있다.

이상 세계에 대한 기다림 미래에 실현될 이상 세계를 시의 세계 속에서 미리 전망하는 성향을 보여 주는 작품들을 남겼는데향토적인 서정성을 배경으로 항일 정신을 노래한 청포도가 대표적이다.

미래 지향의 역사 의식 초인 사상과 선구자의 정신에 바탕하여 미래 지향의 역사관을 웅장하게 노래했는데밝고 희망찬 미래의 도래를 예언한 광야’ 등이 있다.

 

‣ 이육사 시의 자연물들

광야의 매화 향기는 눈으로 압축되는 시련과 고난의 상황에 응전할 수 있는 고귀한 기개를 의미한다또 의 꽃 맹아리는 깊은 얼음 속에서도 생명을 간직하는 존재로 봄이 곧 찾아올 것을 예고하는 존재이다한편 청포도의 청포도는 시인의 꿈과 소망을 노래할 수 있는 매개물로 작용한다이렇게 육사의 시에 나타나는 자연물들은 육사의 지사적인 기질과 투철한 의지를 외적으로 잘 형상화하고그의 저항성에 서정의 색채를 입히면서 시의 분위기를 세련되게 꾸며준다.

‣ 시어의 상징적 의미들

현실 인식적 기능 낡은 거미집검은 그림자바람 등의 시어를 통해 시인이 처한 암울하고 탄압적인 현실을 반성하고 있다이 시를 읽고 일제 강점기의 암울했던 역사적사회적시대적 현실에 대해 인식할 수 있다.

미적 기능 : 1연 3, 3연 9행의 형태적 균제미와 함께상징적 소재 속에 담긴 함축적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미적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문학 이야기 > 현대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 - 윤동주  (0) 2014.04.18
낡은 집 - 이용악  (0) 2014.04.18
새 - 박남수  (0) 2014.04.17
나의 하나님 - 김춘수  (0) 2014.04.17
어머니의 물감상자 - 강우식  (0) 201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