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체 줄거리(미래엔 참고)
김 승상 부부는 아이를 갖지 못하다가 어렵게 아들을 얻게 되는데 아이는 태어났을 때 수박처럼 둥글고 괴이한 모습이었다. 부부는 눈과 코가 없는 아기를 보고 놀라며 ‘원’이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 10년이 지난 어느 날 선관(仙官)이 찾아와 원이 원래 천상의 남두성이며 죄를 지어 인간계로 왔으나 이제 죗값을 다 치렀다고 하며 인간의 모습으로 바꿔준다. 김 승상 부부는 이런 원의 모습을 보고 매우 기뻐한다.
천마산에서 무예를 닦던 김원은 우연히 아귀가 세 공주를 납치해 가는 것을 보고, 황제의 명을 받아 공주를 구하러 간다. 도술을 부려 아귀를 물리친 김원은 세 공주를 구하지만, 부하들의 배신으로 아귀 소굴에서 탈출하지 못하다가 우연히 나무에 묶인 용자(용왕의 아들)를 구해 용궁에 가게된다. 용왕은 아들을 구해 준 김원과 자신의 딸을 결혼시키고, 모든 소원을 다 들어주는 신비한 연적을 선물로 준다. 용녀와 지상으로 돌아온 김원은 어느 가게 주인에게 살해되는 동시에 연적을 빼앗기고, 용녀는 고양이로 변신해 겨우 도망쳐서 대명국 셋째 공주에게 가게 된다. 이후 고양이가 된 용녀는 다시 연적을 훔쳐서 셋째 공주에게 가져다주고, 공주는 그것을 황제에게 바친다. 황제는 연적의 주인을 찾다가 가게 주인의 악행을 알게 되고 그를 엄벌에 처한 뒤 김원의 시체가 있는 곳으로 사람을 보내게 된다. 다시 인간의 모습으로 변신한 용녀의 도움으로 김원은 살아나게 되고 그동안 있었던 일을 듣고 김원의 공을 인정한 황제는 김원을 크게 칭찬하며 사위로 삼는다. 이후 김원은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공주, 용녀와 함께 신선이 된다.
2. 핵심 정리
• 갈래 : 영웅 소설, 괴담 소설, 국문 소설, 고전 소설, 전기 소설, 적강 소설
• 성격 : 비현실적, 전기적
• 주제 : 요괴로부터 공주를 구출해 내는 김원의 영웅적 활약
• 특징
①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용궁 설화, 이물 탄생 설화 등 다양한 설화를 모티프로 활용하고 있음.
② 영웅 서사 구조를 활용하고 있음.
③ 적강 화소의 특징이 드러남.
3. 작품 해설
이 작품은 작자와 창작 연대가 알려지지 않은 국문 소설로,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를 비롯한 다양한 설화를 바탕으로 완성된 소설이다. 괴상한 모습으로 태어난 주인공은 자신의 본래 모습을 회복한 후, 황제의 명을 받아 요괴에게 납치된 공주를 구출하고 용왕의 사위가 되어 부귀영화를 누리게 된다. 천상적 존재가 적강한 것으로 그려져 있다는 점, 주인공이 비인간의 형태로 태어나 고통을 감내하고 능력을 발휘하여 인간의 모습을 찾는 서사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금방울전」과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 EBS, 수능 기출 해설 참고
4. 심화 내용 연구
1. 김원의 영웅적 일대기(미래엔 참고)
김원은 원래 천상계의 인물로 죄를 짓고 인간 세상에 내려오게 되었다.(고귀한 혈통) 인간의 모습이 아닌 수박처럼 둥근 모양으로 태어난 김원은 부모나 주변 인물들에게 환영받지 못했다.(비정상적 출생, 어린 시절의 시련) 10년 후에 죗값을 치르고 인간의 모습을 찾은 김원은 부모와 함께 낙향하여 천마산에서 무예를 닦는다.(조력자의 도움) 이후 황제의 명을 받아 아귀에게서 공주를 구했으나, 부하들의 배신으로 굴에 갇힌다.(투쟁으로 공을 세움, 또 다른 시련) 용왕의 도움으로 지상으로 돌아온 후, 살해당했으나 다시 살아나 부마의 자리에 오른다.(시련을 극복하고 고귀한 지위를 획득)
2. 김원전에 영향을 준 다양한 설화들
· 이물 탄생 설화 : 인간의 모습이 아닌 괴이한 형체의 아이가 태어난다는 설화
· 탈각 설화 : 괴이한 모습에서 아름다운 모습으로 변신한다는 설화
· 잉어의 보은 설화(연적 설화) : 용왕의 아들을 구하고 보물을 얻는다는 설화
· 재생 설화 : 인물이 죽었다가 다시 태어난다는 설화
·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 지하국에 사는 괴물을 퇴치하고 납치된 여자를 구하여 혼인한다는 설화
'문학 이야기 > 고전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잊음을 논함 - 유한준 (0) | 2024.08.25 |
---|---|
심청전 - 작자 미상 (4) | 2024.08.20 |
수오재기(守吾齋記) - 정약용 (0) | 2021.10.26 |
유충렬전(劉忠烈傳) - 작자미상 (0) | 2021.07.14 |
국순전(麴醇傳) - 임춘 (0) | 202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