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체 줄거리
심청은 태어난 지 7일 만에 어머니를 여의고, 눈 먼 부친 심 봉사 밑에서 자란다. 심청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를 극진히 부양했다. 그러던 어느 날 심 봉사는 공양미 삼백 석을 시주하면 눈을 뜰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공양미를 시주하겠노라고 약속한 뒤 전전긍긍한다. 이에 심청은 남경 상인에게 공양미 삼백 석을 받고 자신의 몸을 팔아 인당수에 몸을 던진다. 물에 빠진 심청은 용궁에서 어머니를 만난 뒤 전생의 일과 앞으로의 운명을 전해 듣고 연꽃에 둘러싸인 채 인당수 물 위로 오른다. 이때 남경 상인들이 돌아오다가 인당수에 떠 있는 연꽃을 발견해 이를 왕에게 바쳤는데, 왕은 연꽃에서 심청을 발견하고 새 왕비로 맞아들였다. 심청은 심 봉사의 일이 궁금하여 왕에게 맹인 잔치를 열도록 권한다. 맹인 잔치에서 심청과 심 봉사는 다시 만나게 되고, 딸을 만난 기쁨에 심 봉사는 눈을 뜬다.
2. 핵심 정리
• 갈래 : 판소리계 소설, 윤리 소설, 설화 소설
• 성격 : 교훈적, 비현실적, 환상적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배경 : 중국 송나라 말 황주 도화동
• 제재 : 심청의 효(孝)
• 주제 : 부모에 대한 지극한 효심, 인과응보(因果應報)
• 특징 :
① 전래 설화에서 판소리로 가창되다가 고대 소설로 정착됨.
② 유불선(儒佛仙) 사상이 복합적으로 담겨 있음.
③ 현실 세계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전반부와 환상적인 이야기 중심의 후반부로 내용이 구분됨.
3. 작품 해설
이 작품은 판소리 열두 마당 중의 하나인 ‘심청가’가 소설로 정착된 판소리계 소설이다. 다양한 판본이 있고, 1912년에는 신소설 작가 이해조에 의해 ‘강상련(江上蓮)’이라는 제목으로 개작되기도 했다. 작품의 구조는 크게 현실 세계가 중심을 이루는 전반부와 환상의 세계가 중심을 이루는 후반부로 나뉜다. 전반부는 심청이 공양미 삼백 석에 팔려 인당수에 빠질 때까지로, 심청의 지극한 효성이 중심 내용을 이루면서 부모에 대한 효성이라는 윤리적 가치가 부각된다. 후반부는 인당수에 빠진 심청이 용궁에서 죽은 어머니를 만나 다시 현실 세계로 돌아가고, 결국 왕비가 되어 아버지와 상봉하고 이에 심 봉사가 눈을 뜨게 된다는 이야기가 중심 내용이다. 이 작품에는 유교의 ‘효(孝)’, 불교의 인과응보(因果應報), 도교의 신선 사상, 민간 신앙이 복합적으로 드러나며, 가난하고 미천한 신분의 심청이 자기희생과 효행에 대한 보답으로 고귀한 신분에 이르는 모습에서는 당시 민중의 욕구가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지학사, T-Solution 참고
4. 작품 해설
‘심청전’은 판소리 ‘심청가’가 소설로 정착된 판소리계 소설로, ‘효녀 지은 설화’, ‘거타지 설화’, ‘인신공희 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심청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심청의 희생과 환생, 심 봉사의 개안(開眼)이라는 내용 전개를 통해 유교적 관념인 ‘효(孝)’를 형상화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죽음과 재생이라는 화소를 통해 현실성과 초월성이라는 두 세계를 접합하면서 작품을 전개하고 있다. 그리고 심청이 황후가 되어 부귀영화를 누리게 되는 것은 가난하고 미천한 사람도 자기 희생이나 효행에 대한 보상으로 고귀한 신분에까지 오를 수 있다는 민중들의 신분 상승 욕구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천재교육, 해법 문학 참고
5. 심화 내용 연구
1. ‘심청전’의 사상적 배경(천재교육 참고)
① 유교 사상 :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심청의 효를 강조함.
② 불교 사상 : 부처님의 신통력으로 심 봉사가 눈을 뜨게 하기 위해 공양미 삼백 석을 바침.
③ 도교 사상 : 옥황상제와 선녀, 용왕이 등장함.
④ 민간 신앙 : 뱃길의 안전을 기원하기 위해 사람을 제물로 바침.
2. ‘심청전’의 갈등 구조(천재교육 참고)
고전 소설의 일반적 특징 중 하나는 주동 인물과 반동 인물의 ‘선-악’ 갈등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심청전’에는 주인공 심청과 대립하는 적대적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다. ‘심청전’은 첨예한 인물 간의 갈등 구조 대신 절대적 궁핍이아는 현실의 가혹함과 그 극복 과정을 보여 줌으로써 독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인당수에 몸을 던지기 전까지 심청은 어머니를 잃고 눈먼 아버지와 험난한 생활을 묵묵하게 살아갈 뿐이었다. 이렇듯 문전걸식과 품팔이 드으로 연명하는 심청 부녀의 비참한 삶은 경제적으로 궁핍했던 당대 민중의 일상적인 삶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자기 희생의 보상 차원에서 어든 경제적 풍요와 신분의 상승은 궁핍의 극복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민중의 꿈을 대변해 준다고 할 수 있다.
3. 심청전의 주제의식(미래엔)
<심청전>의 주제는 심청의 ‘효(孝)’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러나 효의 성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논의가 있다. <심청전>이 표면적으로는 ‘효’라는 인간의 보편적인 덕목이자 유교의 덕목을 긍정하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이러한 이념을 부정하고 비판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심청이 목숨을 버리려 한 것은 아버지에 대한 효성 때문인데 실상 목숨을 버리는 것이야말로 가장 큰 불효에 해당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런 역설을 통해 ‘효’라는 유교 윤리를 드러내는 대신 당시 하층민이 겪어야 했던 가난과 평범한 의미의 효도조차 할 수 없었던 상황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려 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특히 완판본 <심청전>에서 잘 나타난다. 완판본 <심청전>은 현실적이고 물질 지향적인 인물인 뺑덕어미를 통해 유교 윤리를 비판하고, 심봉사를 매우 세속적이고 희극적인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인물 설정은 <심청전>이 전통적인 유교 윤리를 옹호하고 있다는 사실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오히려 <심청전>이 전통적인 윤리를 부정하고 현실을 긍정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런가 하면 심청은 물에 빠졌다가 거듭나기 때문에 그 제의(祭儀)적 의미 역시 중요하게 해석되기도 한다. 이처럼 이 작품의 주제는 논란거리인 만큼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고, 그 현대적 의미도 거듭 평가되고 있다.
6. 엮어 읽기
1994학년도 2차 대학수학능력시험
판소리계 소설(춘향전, 흥보전 등)
'문학 이야기 > 고전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잊음을 논함 - 유한준 (0) | 2024.08.25 |
---|---|
김원전 - 작지 미상 (0) | 2024.08.22 |
수오재기(守吾齋記) - 정약용 (0) | 2021.10.26 |
유충렬전(劉忠烈傳) - 작자미상 (0) | 2021.07.14 |
국순전(麴醇傳) - 임춘 (0) | 202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