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전 - 송지양

반응형
728x90

1.전체 줄거리

 다모 김조이는 포도청에 소속되어 치안 및 범법자 단속과 관련한 일을 하는 인물이다. 어느 날 신고를 받고 단속을 나가 법을 어기고 밀주를 빚은 몰락 양반가의 주인 할머니를 검거했으나 병든 남편의 병구완을 위해서였다는 딱한 사정을 듣고 눈감아 준다. 그 대신 포상금을 노리고 형수를 밀고한 시동생(젊은 생원)을 찾아가 뺨을 때리고 그 부도덕함을 꾸짖는다. 주부는 주인 할머니의 죄를 숨겨 준 죄목으로 다모를 태형에 처하나, 그녀의 의협심을 가상히 여겨 나중에 몰래 상금을 주며 칭찬한다. 다모는 그 상금을 모두 주인 할머니에게 주며 다시는 밀주를 빚지 말라고 당부한다.

 

2. 핵심 정리

• 갈래 : 한문소설, 야담
• 성격 : 사실적, 현실 비판적
• 배경 : 조선 후기 한성
• 주제 : 불쌍한 할머니의 잘못을 눈감아 주고, 부도덕한 양반을 꾸짖는 다모의 인품과 덕성
• 특징 :
 ① 한 인물의 행적을 구체적으로 담음
 ② 대립되는 가치관을 바탕으로 올바른 인간성을 제시함

 

3. 작품 해설 

 조선 후기의 문인 송지양이 지은 작품으로, 다모 김조이의 의로운 행적을 서술한 글이다. 조선 시대에는 상층 여성이 지은 범죄를 남자 관리들이 맡아 처리하기가 곤란했기 때문에 한성부나 포도청에서 똑똑한 다모를 뽑아 여성 수사관의 임무를 맡기기도 했다. 작품의 주인공인 김조이는 다모라는 비천한 신분의 관리이지만 정의심이 강하고 자신의 관점이 분명한 주체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김조이는 법의 엄정한 집행이라는 공적인 책무와 불쌍한 인간에 대한 연민과 동정이라는 개인의 양심 사이에서 양심의 명령에 따르는데, 이는 법을 위반한 행동이 분명하지만 한편으로는 인의(仁義)를 실천하기 위한 노력으로도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주인공 김조이를 통해 본받을 만한 바람직한 인간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소설이다.

- 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4. 심화 내용 연구

1. 등장인물(야담 <다모전(茶母傳)>의 교육적 의의. 논문 참고)
 - 다모 : 한성부 다모 김씨는 천민이자 여성으로서 봉건적인 조선시대에서 신분적으로나 성적으로 열등한 존재이다. 그러나 실정법(實定法)보다는 인륜과 인정을 중요시하는 의인(義人)으로 조선 후기의 새로운 인간상의 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 젊은 생원(시동생) : 밀주를 빚은 주인 할미의 시동생인 젊은 생원은 금전적 이익을 위해 형수를 한성부에 고발한 양반이다. 패륜을 저지른 부정적인 인물로, 의롭고 의협심 강한 다모의 인물형과는 대립된다.
 - 주부 : 한성부의 주부는 법 기강을 바로 세우면서도 인정을 버리지 않는 모범적인 관리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규율과 법도를 지키는 엄격함과 동시에 백성을 따뜻한 마음으로 굽어 살피는 어진 마음을 지닌 긍정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2. 다모(야담 <다모전(茶母傳)>의 교육적 의의. 논문 참고)
다모란 일반적으로 조선 시대 관아에서 차를 끓이는 일을 하는 관비를 말한다. 혜민국, 장흥고와 같은 중앙관청뿐 아니라 지방관청에도 여러 명의 다모를 두고 차 심부름과 그 밖의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심지어 사대부의 개인 집에도 다모를 두고 차 심부름과 잡일을 하도록 하였고, 마을에는 차를 잘 다루는 다모가 있어 찻집을 경영하기도 하였다. 조선후기로 가면 다모는 관비로서 기생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천한 신분인데다가 사대부 여자들과 달리 남자를 대면할 일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한편 1746년(영조 22)에는 한성부 소속인 포도청에 다모를 두어 도적이나 범죄자를 잡는 일을 담당하기도 하였으며, 사헌부나 의금부 등에도 다모가 있어 사대부의 집 내정에 들어가 염탐, 수색을 하거나 여자가 연관된 범죄를 다루는 형사의 역할까지도 수행하였다.

3. 주인 할머니의 밀주 행위를 대하는 다모와 아전의 상이한 반응
 주인 할머니의 밀주 행위는 법적으로는 잘못된 행위이나 그럴 수밖에 없었던 불가피한 사정이 있었음을 감안할 때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동이라 하기는 어렵다. 이 문제에 관해 다모는 법질서나 개인의 이해타산보다 인정과 정의를 중시하여 그에 따라 행동하지만 아전은 그 반대의 태도를 보인다. 여기서 독자는 작품의 배경이 되었던 당시에 금주령을 두고 벌어졌던 실정법과 인정 사이의 갈등을 확인하게 된다. 아울러 삭막한 세태 속에서 인간에 대한 연민과 사랑, 정의의 가치가 더욱 소중해졌던 조선 후기 상황을 짐작해 볼 수 있다. 

 

5. 작가 소개

송지양 – 향토문화전자대전

 

송지양

[정의]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가계]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호연(浩然), 호는 낭산(郎山). 좌승지 설촌(雪村) 송시철(宋時喆)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송보명(宋普明

terms.naver.com

6. 엮어 읽기

 * 박씨전 – 작자 미상 ; 여성 주인공의 활약상

 

다모전 - 송지양.pdf
0.11MB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