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흥 - 윤선도

■ 본문
㉮ 산슈간 바회 아래 뛰집을 짓노라 하니 
그 모론 남들은 웃는다 한다마는 
어리고 햐암의 ᄯᅳᆺ의는 내 分(분)인가 하노라. <제1수>
▶ 분수를 지키며 자연 속에서 삶

㉯ 보리밥 풋나물을 알마초 먹근 後(후)에,
바흿긋 믉가에 슬카지 노니노라.
그나믄 녀나믄 일이야 부릴 줄이 이시랴. <제2수>
▶ 자연에서 안빈낙도하는 삶

㉰ 잔 들고 혼자 안자 먼 뫼흘 바라보니
그리던 님이 오다 반가옴이 이러하랴.
말삼도 우움도 아녀도 몯내 됴아하노라. <제3수>
▶ 자연과 동화되어 물아일체의 경지를 즐기는 삶

㉱ 누고셔 三公(삼공)도곤 낫다하더니 萬乘(만승)이 이만하랴.
이제로 헤어든 巢父許由(소부허유)ㅣ 냑돗더라.
아마도 林泉閑興(임천한흥)을 비길 곳이 업세라. <제4수>
▶ 속세의 공명을 버리고 자연 속에 은거하고자 하는 삶

㉲ 내셩이 게으르더니 하날히 아라실샤 
人間萬事(인간만사)랄 할 일도 아니 맛뎌 
다만당 다토리 업슨 江山(강산)을 딕히라 하시도다. <제5수>
▶ 자연에 귀의하는 삶

㉳ 江山(강산)이 됴타 한들 내 分(분)으로 누얻나냐  
님군 恩惠(은혜)랄 더옥 아노이다 
아므리 갑고쟈 하야도 해올 일이 업세라. <제6수>
▶ 임금의 은혜에 감사한 삶

■ 현대어 풀이

㉮ 산수 간 바위 아래에 띠풀로 이은 초가집을 지으려 하니, / 그것(나의 뜻)을 모르는 남들은 비웃는다지만, / 어리석고 시골에 사는 세상 물정 모르는 내 생각에는 (이것이) 내 분수인가 하노라.
㉯ 보리밥, 풋나물을 알맞게 먹은 후에 / 바위 끝 물가에서 실컷 노니로나. / 그 나머지 다른 일이야 부러워할 것이 있으랴
㉰ 잔 들고 혼자 앉아 먼 산을 바라보니 / 그리워하던 임이 온다고 힌들 반가움이 이러하랴(이 정도이랴) / 말도 웃음도 아니하지만 마냥 좋아 하노라.
㉱ 누가 (자연이) 삼공보다 낫다더니 만승천자가 이만하겠느냐 / 이제 생각해 보니 소부와 허유가 영리하도다. / 아마도 자연 속에서 느끼는 한가한 흥취는 비할 데가 없으리라.
㉲ 내 천성이 게으른 것을 하늘이 아셔서 / 세상의 많은 일 가운데 하나도 맡기지 않으시고 / 다만 다툴 상대가 없는 자연을 지키라고 하셨도다.
㉳ 강산이 좋다고 한들 나의 분수로 (이렇게 편안히) 누워 있겠는가 / (이 모두가) 임금의 은혜인 것을 이제 더욱 알겠도다. / (하지만) 아무리 갚고자 하여도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없구나.

 

■ 핵심 정리

• 갈래 : 연시조(전6수)
• 성격 : 자연 친화적, 한정가
• 연대 : 조선 후기
• 제재 : 자연에서의 삶
• 주제 : 자연에 묻혀 살아가는 삶의 즐거움
• 특징 :
 ① 설의적인 표현을 활용하여 주제를 강조함.
 ②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의 자세와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자연관이 드러남.

 

■ 작품 해설 1

 전체 6수로 된 연시조로, 작가가 병자호란 때 임금을 따르며 모시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상도 영덕에서 귀양살이를 하다 풀려난 후, 고향인 해남에 은거하면서 지은 작품이다. 자연에 묻혀 지내는 한가롭고 흥겨운 심정을 읊으면서도 임금의 은혜를 잊지 않는 것은 조선 초기 사대부의 시가적 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자연을 단순한 음풍농월의 대상으로 그리지 않고 현실과 대비되는 이상적인 공간으로 설정하고 작가와 혼연일체를 이루는 경지를 설정한 점에서 자연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 속에서 자연과 친화하며 사는 삶은 조선 시대 선비의 이상인 안빈낙도의 정신과 관련 있다.  

 

■ 작품 해설 2

 작가가 고향인 전라남도 해남의 금쇄동에 은거하고 있을 때 지은 전 6수의 연시조이다. 부귀공명과 같은 세속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삶보다 자연에 묻혀 소박하게 사는 자연 친화적인 삶이 더 낫다는 가치관을 한문투의 표현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우리말을 잘 살려 표현한 작품이다.
 1수~5수에서는 세속적인 삶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안분지족․안빈낙도하는 삶의 태도, 자연과 물아일체된 경지, 유유자적한 생활 속에서 느끼는 한가로운 정취 등을 노래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6수에서는 화자 자신이 자연에서 이러한 삶을 살 수 있는 것이 임금의 은혜 덕분이라고 말하면서 유교적 충의를 잊지 않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 꿈을 담는 틀, 운문 문학 참고

 

■ 심화 내용 연구 

1. ‘보리밥 풋나물을~’에서 ‘녀나믄 일’의 의미(지학사 참고)

 ‘만흥’의 작가인 윤선도는 1616년 당시 집권 세력의 비리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오히려 그들의 모함을 받아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고, 그 이듬해 경상도 기장으로 유배되었다. 오랜 유배 생활을 하면서 윤선도가 느꼈을 현실 세계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끊임없이 다투는 부정적인 공간이었을 것이다. 결국, 1623년 인조반정으로 유배에서 풀려난 윤선도는 벼슬길을 마다하고 고향인 전라남도 해남의 금쇄동에 은거하였는데, 이때 지은 작품이 ‘만흥’이다. 이러한 작가의 삶을 바탕으로 할 때, ‘녀나믄 일’이란 자연과 대비되는 세속의 일, 즉 속세에서의 벼슬이나 권력, 부귀공명을 의미하는 표현임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에는 부귀공명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현실의 삶보다 자연 속에 묻혀 산수를 즐기며 유유자적하게 사는 은자(隱者)의 삶이 더 즐거운 삶이라는 인식이 잘 나타나 있다.


2. ‘만흥’에 사용된 대유적인 표현(지학사 참고)

  ‘대유’란 특정 단어가, 그 단어가 가지고 있는 전체적인 속성을 대표하는 비유적 표현을 말한다. 제2수의 ‘보리밥과 풋나물’은 그 자체로서 사실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다. 문맥적으로 볼 때, 자연의 삶을 즐기며 먹을 수 있는 소박한 음식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단어는 소박한 음식, 안빈낙도의 삶을 의미하는 대유적 표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4수에 쓰인 ‘삼공(三公), 만승(萬乘), 소부허유(巢父許由)’도 대유적인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삼공’의 경우 삼정승을 뜻하지만 높은 벼슬자리를 대표하고 있고, ‘만승’은 황제의 지위를 가리키지만 힘이 강한 권력을 대표하고 있으며, ‘소부허유’도 소부와 허유라는 특정 인물을 가리키지만 자연에 은거하며 지내는 사람들을 대표해서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단어들은 고전 문학작품에서 자주 사용되면서 그 대표적 의미가 굳어져 관습적인 표현이 되기도 한다.


3. ‘만흥’에 나타난 ‘자연’과 ‘속세’의 대립(천재교육 참고)

 이 작품에서 작가는 벼슬하지 않고 자연 속에서 사는 것이 자신의 분수에 맞는 일이라고 자위하며 자연 속에서 자연과 친화하며 사는 삶을 노래하고 있다. 이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와 조선 시대 선비의 이상인 안빈낙도(安貧樂道)의 태도와 관련된다. 반면 속세는 작가가 지향하는 공간인 자연과 대립되는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작가에게 속세란 좌절감을 안겨 준 벼슬길을 의미한다. 따라서 벼슬글에서 많은 좌절을 맛본 작가가 속세를 벗어나 자연 속에 은거하고자 하는 소망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

 

■ 작가 소개

윤선도 -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윤선도 - 만흥.pdf
0.1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