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



■ 본문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나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워라. 말을 해 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 자국도 섰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쁘게나 가자.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 매던 그 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진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도록 밟어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웃어웁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 핵심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저항시, 상징시, 낭만시

• 어조 : 감상적, 낭만적 어조

• 성격 : 저항적, 상징적, 격정적, 현실참여적

• 제재 : 국권 상실의 현실과 봄의 들판

• 주제 : 국권을 빼앗긴 데 따른 비통한 우리 민족의 현실

• 특징 :

 ① '물음→확인 과정→답'의 순서로 내용이 전개되었다.[일종의 수미상관의 구성으로 질문과 대답의 형식]

 ② 시각 심상을 중심으로 향토적 소재가 많이 선택되었다.

 ③ 시의 형태가 연(聯) 단위로 가지런하게 정돈되어 있고, 3행으로 구성된 연들은 시행들이 점차 길어지는 점층       구조를 드러내고 있다.

 ④ 시적 자아의 갈등이 대칭 구조에 의해 효과적으로 표현되었다.

 ⑤ 함축적 시어. 향토적 시어. 격렬한 호흡을 사용


■ 작품 해설 1

 이 시의 화자는 친근하고 향토적인 정감을 주는 풍경 속을 거닐면서 봄의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그러면서 이들에게 ‘가르마같은 논길’, ‘삼단 같은 머리’,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에서처럼 여성적이고 모성적인 이미지를 부여하고 있다. 이는 이 땅이 우리에게 어머니 같은 소중한 존재라는 인식, 즉, 국토애를 표현하려는데 있다. 또한,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라는 부분에서 나타나듯이, 들판을 땀 흘리며 살아갈 소중한 삶의 터전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렇게 이 시는 소중한 국토를 잃었다는데 대한 슬픔과 분노를 표현함으로써 국권을 되찾으려는 의지를 북돋우려는 작품이다.

- 지학사 T-Solution 자료실 참고


■ 작품 해설 2

 이 시는 빼앗긴 들에도 참다운 삶이 가능한가 하는 질문을 던지고 이를 지속적으로 확인해 나간다. 삶의 원형으로서의 국토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뜨거운 애정을 표출해 보지만, 결국은 비극적 현실 인식에 도달하고 있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라는 제목은 이 시의 주제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는데, ‘빼앗긴 들’과 ‘봄’은 상반된 의미를 지닌다. ‘빼앗긴 들’은 시적 화자가 처한 현재 상황이며, ‘봄’은 시적 화자가 기다리는 상황이다. 그런데 시적 화자는 과연 그 봄이 오는가라며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시적 화자는 그 봄을 기다리지만 현재 상황으로 볼 때 오기는 어려울 것이라 회의하고 있는 것이다.

 ‘봄’은 자연 현상이지만, 역사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은 달라질 수 있다. 즉, 들을 빼앗겨도 자연의 봄은 여전히 오는데, 역사의 봄은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시적 화자의 절망감은 극대화된다.

 이 시에서는 1, 2연과 9, 10연이 서로 대응 관계에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1연에서 던진 질문을 마지막 연에서 찾아내고 대답하기까지의 시적 통찰의 과정이 이 시의 시적 구조이다. 2연은 이상이며 꿈의 세계이다. 반면에 9연은 현실이다. 온몸으로 대지의 생명력을 느끼며 시적 화자는 황홀함 속에 들판을 걸어가지만 그가 발견한 것은 동백 기름처럼 화려하고 값비싼 기름을 바른 아낙네가 아닌, 아주까리기름을 바른 여인을 발견할 뿐이다. 그는 몽환의 들판에서 깨어나기 시작하면서 호미를 쥐어 달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는 땀을 흘리고 싶다고 외친다. 그리고 마침내 현실에 대한 저항 의식이 깨어나게 된다.

- 윤희재, 전공국어 현대문학 참고


■ 심화 내용 연구

1. ‘빼앗긴 들’과 ‘봄’의 상징적 의미  

 이 작품이 발표된 1920년대는 일제 강점기 시대이다. 문학 작품에는 시대 상황과 작가의 사상이 반영되어 있음을 짐작할 때, 작가는 국토와 국권을 상실한 상태를 ‘빼앗긴 들’로 나타냈다. 그리고 자연에서의 ‘봄’과 빼앗긴 국토의 회복과 조국의 광복을 ‘봄’으로 상징함으로써 중의적으로 표현했다.


2. 이 시의 시상 전개 방식

 1연과 11연이 질문과 대답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2연과 10연, 3연과 9연이 각각 대칭 구조를 보이며, 질문으로부터 대답에 이르기까지 화자의 의식의 변화 과정을 드러내고 있다. 4~6연은 눈앞에 모든 사물이 활기찬 모습으로 되살아나고 있는 아름다운 봄의 정경이 전개된다. 7~8연은 자연 속에서의 시적 화자의 국토에 대한 애정이 드러난다.


3. 빼앗긴 ‘들’과 빼앗긴 ‘광야’

 땅이 인간 존재와 상관없이 객관화된 보통 명사라면 시인에게 들은 인간의 손길과 애정이 깃들여지고 또 농사를 통해 곡물이 생산되고 삶이 존재하는 토전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육사의 시 ‘광야’는 ‘텅 비어 있는 들판’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그 속에 채워야 할 우리의 삶과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광야가 어디까지나 한학(漢學)으로 단련된 이육사의 관념 속에서 발견한 보편적 역사의 타당성을 지니는 데 비하여, 이상화의 ‘빼앗긴 들’은 ‘들을 빼앗아간 존재’를 함축한다. 들은 단순한 땅이 아니라 우리의 삶이며 역사이며 생존인 것이다. 시인은 1920년대의 구체적이며 시대적인 질곡(桎梏)속에서 고민하는 자신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4. 이상화 작품의 이해

  호 상화(尙火). 본관 경주. 대구(大邱) 출생. 1919년 서울 중앙고보를 3년 수료하고 3·1운동이 일어나자 대구학생시위운동을 지휘하였다. 1922년 문예지 《백조(白潮)》 동인, 〈말세(末世)의 희탄(嘆)〉, 〈단조(單調)〉, 〈가을의 풍경〉, 〈나의 침실로〉, 〈이중(二重)의 사망〉 등을 발표하고 이듬해 일본의 아테네 프랑세에서 프랑스어 및 프랑스문학을 공부하고 1924년 귀국했다. 《개벽》지를 중심으로 시·소설·평론 등을 발표하고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발표하면서 신경향파에 가담하였으며 1935년부터 2년간 중국을 방랑하고 1937년 조선일보사 경북총국을 맡아 경영하기도 했다. 그후 교남학교(嶠南學校) 교원으로 영어와 작문을 지도했고 1940년 이후 독서와 연구에 몰두 《춘향전》 영역, 《국문학사》 등의 집필을 기획했으나 이루지 못했다. 작품으로 위에 적은 외에 《비음의 서사》 《마음의 꽃》 《조소(嘲笑)》 등 다수가 있다.

  그의 시는 여러 가지 경향을 나타냈으며 초기에는 주로 상징적 퇴폐적 경향의 낭만주의 시를 썼다. 그리고 그 바탕에는 민족주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 크게 3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1기는 감상적 낭만주의의 시이다. <말세의 회탄>, <나의 침실로> 등 감상, 도피, 퇴폐적이고 병적인 경향을 보였다. 제2기는 저항적 민족주의의 시이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역천> 등 민족적 울분과 일제의 침탈에 대한 저항 의식을 표현하였다. 제3기는 민족적 비애와 국토 예찬의 시이다. <금강송가>, <비 갠 아침>, <반딧불> 등 자연에 대한 사랑과 예찬을 주제로 하여 제1기 시에서 보인 감상, 허무주의적 경향으로부터 민족주의적 경향으로 시적 전환을 시도하였으며, 이 시기부터는 향토의 자연에서 취한 소재로 시를 썼다.


■ 작가 소개

 이상화 – 한국현대문학대사전



'문학 이야기 > 현대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빙의 아버지 - 이수익  (0) 2017.04.18
바다와 나비 - 김기림  (0) 2017.04.17
꽃 - 김춘수  (0) 2017.03.22
아침 시 - 최하림  (0) 2016.09.13
논개 - 변영로  (0) 2016.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