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마설 - 이곡


■ 본문

 나는 집이 가난해서 말이 없기 때문에 간혹 남의 말을 빌려서 타곤 한다. 그런데 노둔하고 야윈 말을 얻었을 경우에는 일이 아무리 급해도 감히 채찍을 대지 못한 채 금방이라도 쓰러지고 넘어질 것처럼 전전긍긍하기 일쑤요, 개천이나 도랑이라도 만나면 또 말에서 내리곤 한다. 그래서 후회하는 일이 거의 없다. 반면에 발굽이 높고 귀가 쫑긋하며 잘 달리는 준마를 얻었을 경우에는 의기양양하여 방자하게 채찍을 갈기기도 하고 고삐를 놓기도 하면서 언덕과 골짜기를 모두 평지로 간주한 채 매우 유쾌하게 질주하곤 한다. 그러나 간혹 위험하게 말에서 떨어지는 환란을 면하지 못한다.

▶말을 빌려 탄 경험

  아, 사람의 감정이라는 것이 어쩌면 이렇게까지 달라지고 뒤바뀔 수가 있단 말인가. 남의 물건을 빌려서 잠깐 동안 쓸 때에도 오히려 이와 같은데, 하물며 진짜로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경우야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자기 소유일 때의 심리 변화

  그렇긴 하지만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 가운데 남에게 빌리지 않은 것이 또 뭐가 있다고 하겠는가. 임금은 백성으로부터 힘을 빌려서 존귀하고 부유하게 되는 것이요, 신하는 임금으로부터 권세를 빌려서 총애를 받고 귀한 신분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자식은 어버이에게서, 지어미는 지아비에게서, 비복(婢僕)은 주인에게서 각각 빌리는 것이 또한 심하고도 많은데, 대부분 자기가 본래 가지고 있는 것처럼 여기기만 할 뿐 끝내 돌이켜 보려고 하지 않는다. 이 어찌 미혹된 일이 아니겠는가.

  그러다가 혹 잠깐 사이에 그동안 빌렸던 것을 돌려주는 일이 생기게 되면, 만방(萬邦)의 임금도 독부(獨夫)가 되고 백승(百乘)의 대부(大夫)도 고신(孤臣)이 되는 법인데, 더군다나 미천한 자의 경우야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맹자(孟子)가 말하기를 “오래도록 차용하고서 반환하지 않았으니, 그들이 자기의 소유가 아니라는 것을 어떻게 알았겠는가.”라고 하였다. 내가 이 말을 접하고서 느껴지는 바가 있기에, ‘차마설’을 지어서 그 뜻을 부연해 보았다.

▶잘못된 소유 관념에 대한 비판과 글 쓴 동기


■ 핵심 정리

• 갈래 : 고전 수필, 설(說)

• 성격 : 교훈적, 사색적, 체험적

• 제재 : 말을 빌린 경험

• 주제 : 올바른 삶의 자세, 무소유의 참뜻

• 특징 :

 ① 체험 내용을 일화로 들어 우의적으로 표현함.

 ② 설의법을 적절히 사용하여 주지하는 내용을 강조함.

 ③ 결론 부분에서 성현의 명구 인용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함.


■ 작품 해설 1

 이 글은 ‘말을 빌려 탄 경험〔借馬〕’이라는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경험으로부터 ‘소유에 대한 심리의 변화’와 ‘소유의 참뜻’에 대한 깨달음을 유추의 형태로 드러낸 고전 수필이다. 이 글에서 글쓴이는 ‘소유’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소유’란 결국 자신의 것이 아닌 것을 잠시 빌린 것이라는 인식을 통해 ‘왜곡된 소유관’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글쓴이는 ‘말’이라는 구체적 사물 혹은 ‘말을 빌려 탄 경험’을 ‘소유’ 혹은 ‘소유에의 욕망’이라는 추상적 대상으로 확장시키는 유추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 지학사 T-Solution 자료실 참고


■ 작품 해설 2

이 작품은 작가가 말을 빌려 탈 때 경험했던 심리의 변화를 사색의 실마리로 삼아 궁극적으로는 소유의 진정한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유에 근거한 인간 심리의 허망함과 그릇된 소유 관념을 비판하고 있다.

 고전 수필인 설(設)의 일반적인 형식대로 전반부에는 작가의 체험을, 후반부에는 그에 대한 사색의 내용을 담고 있다. 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던 자신의 태도를 반성하며 경솔한 태도를 경계한 것이 전반부에 해당한다면, 후반부는 진정한 소유의 의미를 말하고 있다.

 어찌 보면 단순하다고 할 수 있는 개인적 체험으로부터 유추를 통해 의미를 확장해 가는 방식은 이 작품의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중요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 꿈을 담는 틀, 꿈틀 문학 산문문학 참고


■ 심화 내용 연구

1. 글쓴이가 ‘맹자’의 말을 인용한 부분과 이유(지학사) 

 글쓴이가 마지막 구절에서 인용한 ‘맹자’의 말은 “맹자(孟子)”의 ‘진심장구(盡心章句)’ 상(上)에 ‘구가이불귀 오지기비유야(久假而不歸 烏知其非有也)’라는 구절을 인용한 것이다. 이는 ‘오래도록 빌리고 돌아가지 않았으니, 어찌 그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님을 알겠는가.’라는 의미인데, 인의(仁義)의 이름을 빌려 오랫동안 사적(私的)인 탐욕을 이루다 보면, 자신이 탐욕을 추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인의(仁義)를 추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이는 진정한 의미에서 인의(仁義)를 추구하는 것이 아님을 경계하면서, 이름을 훔치고 일생을 마쳐서 참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님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글쓴이는 이러한 구절의 의미를 ‘소유관’으로 변형, 적용함으로써, 소유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는 세상 사람들을 비판하고 소유의 허무함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렇게 글쓴이가 맹자의 말을 인용한 것은 자신이 드러내고자 하는 바를 좀 더 명료화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2. 2단 구성의 특징(지학사)

  보통의 경우 ‘기 - 서 - 결’ 또는 ‘처음 - 중간- 끝’의 3단 구성법을 사용하는데 비해, 2단 구성은 ‘사실(경험)의 제시’로부터 ‘글쓴이의 의견 개진’이라는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은 논리성보다는 직관적인 판단력을 중심으로 취하고 있어 논리적 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제한된 내용이기는 하나 압축적이고 명료하게 주제를 전달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3. ‘차마설’의 내용 생성 방법(지학사)

  • 연상에 따른 확장: 말을 빌린 경험을 통한 인식의 변화 → 소유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소유에 대한 세상 사람들의 어리석음 → 권력을 포함한 모든 것은 빌린 것이라는 인식과 겸허한 자세의 필요성 강조

  • 유추의 방법을 통한 글쓰기: 좋지 않은 말을 빌렸을 때에는 조심조심 다루어서 후회하는 일이 적었다. 그런데 좋은 말을 빌렸을 때에는 함부로 다루다가 후회하는 일이 많았다. 마찬가지로, 인생을 살아가면서도 자기 것이라고, 빌린 좋은 말보다 더 마음대로 다루다 보면, 좋은 말을 빌려서 탔을 때 낭패를 본 것보다 훨씬 더 큰 낭패를 볼 것이다.


■ 작가 소개

이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