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가 - 이이



■ 본문

 고산의 아홉 굽이도는 계곡의 아름다움을 사람들이 모르더니, 

 풀을 베고 터를 잡아 집을 짓고 사니 벗님네 모두들 찾아오는구나. 

 아, 무이산에서 후학을 가르친 주자를 생각하고 주자를 배우리라 .


 첫 번째로 경치가 좋은 계곡은 어디인가? 관암에 해가 비친다.

 잡초가 우거진 들판에 안개가 걷히니 원근의 경치가 그림같이 아름답구나.

 소나무 사이에 술통을 놓고 벗이 찾아온 것처럼 바라보노라.


 두 번째로 경치가 좋은 계곡은 어디인가, 꽃핀 바위에 봄이 늦었구나.

 푸른 물에 꽃을 띄워 멀리 들판 밖으로 보내노라

 사람들이 이 경치 좋은 곳을 모르니, 알게 한들 어떠리.


 세 번째로 경치가 좋은 계곡은 어디인가, 푸른 병풍 같은 절벽에 녹음이 짙게 퍼졌다

 푸른 나무 사이로 봄새는 아래 위에서 지저귀는데

 키 작고 가로 퍼진 소나무가 바람에 흔들리는 것을 보니 여름 풍경이 아니구나.


 네 번째로 경치가 좋은 계곡은 어디인가, 소나무 절벽 위로 해가 넘어가는 구나

 깊은 물 가운데의 바위 그림자에는 온갖 빛이 잠겨 있구나.

 세상을 벗어난 선비가 숨어 사는 곳은 깊을수록 좋으니, 흥겨워 하노라.


 다섯 번째로 경치 좋은 계곡은 어디인가, 굽이지고 눈에 띄지 않는 병 같은 절벽이 보기도 좋구나.

 물가에 세워진 배우고 가르침을 위한 집은 맑고 깨끗하여 좋구나.

 여기서 글도 가르칠 뿐만 아니라 시도 지어 읊으면서 흥겹게 지내리라.


 여섯 번째로 경치가 좋은 계곡이 어디인가, 낚시질하기 좋은 좁은 골짜기에는 물이 많이 고여 있다

 이 골짜기에 나와서 고기와 내가 누가 더욱 즐길 수 있으랴.

 해가 저물거든 낚싯대를 메고 달빛을 받으며 돌아가리라.


 일곱 번째로 경치가 좋은 곳이 어디인가, 단풍으로 덮인 바위에 가을빛이 짙구나.

 깨끗한 서리가 엷게 덮이니 절벽이 수놓은 비단 같구나.

 바람맞이에 있는 맨 바위에 혼자 앉아 집에 돌아갈 일도 잊었구나.


 여덟 번째 경치가 좋은 계곡은 어디인가, 악기를 연주하는 시냇가에 달이 밝구나.

 아주 좋은 거문고로 몇 곡을 연주하면서

 옛 곡조를 알 사람이 없으니 혼자 즐기고 있노라.


 아홉 번째 경치가 좋은 계곡은 어디인가, 문산에 한 해가 저물도다. 

 기암괴석이 눈 속에 묻혔구나.

 사람들은 와 보지도 않고 볼 것이 없다고 하더라.


■ 핵심 정리

 연대 - 선조 10년. 지은이 42세 때

 내용 - 고산(高山)의 아홉 굽이 경치를 읊은 것으로, 서시(序詩)에 이어 관암(冠巖), 화암(花巖), 취병(翠屛), 송암(松巖), 은병(隱屛), 조협(釣峽), 풍암(風巖), 금탄(琴灘), 문산(文山)의 구곡을 노래하였는데, 그것은 지명이자 그에 대한 경관도 아울러 나타내어 중의적(重義的)인 수법이 되게 하였다.

 제재 - 석담(石潭) 수양산(首陽山)의 풍광(風光)

 주제 - 강학(講學)의 즐거움과 고산(高山)의 아름다운 경치

 의의 - 이황의 도산십이곡과 함께 성리학의 대가가 지은 작품으로 쌍벽을 이룬다.

 기타 - 주자(朱子)의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 만들었다.


■ 작품 해설 1

 작자는 주자가 무이산(武夷山)에 복거하여 제자들을 가르치며 공부했던 것을 본받아 황해도 해주의 구곡담에 머무르며 제자들의 교육과 학문에 힘쓰고자 했다. 이 때 지은 것이 ‘고산구곡가’이다. 자연에 묻혀 살면서 주자를 배우며 학문에 힘쓰고자 하는 작자의 마음이 잘 담겨 있다.

 ‘고산구곡가’는 10수로 된 연시조이다. 서시를 1수로 하고 관암(冠巖), 화암(花巖), 취병(翠屛), 송애(松崖), 은병(隱屛), 조협(釣峽), 풍암(楓巖), 금탄(琴灘), 문산(文山)의 구곡을 노래하였다. 이 구곡은 각 지명과 아울러 중의적(重意的)인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이 작품은 ‘무이도가’를 본떠서 지었다고 하나, 두 작품의 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단순한 모방작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조선조 주자학적 지식인들이 무이도가를 수용한 데 있어서 거의 한시로 차운(次韻)한 데 반해 작자는 시조의 형태로 변용하였다.


■ 작품 해설 2

   <고산구곡가>는 이이가 선조 10년 42세의 나이로 해주로 퇴거하여 선적봉과 진암산 두산 사이를 흐르는 구곡 유수의 제오곡인 고산 석담에 복거하고 그 다음해 여기에 은병정사를 세워 은거하면서 주희의 <무이도가>를 본떠서 지었다는 총 10수로 된 연시조이다. 

   16세기 사림파들은 성리학적 이념에 근거하여 조선조를 개혁코자 하였는데 그 실천 요강은 주자에 집약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정치적 의지가 좌절되면 서슴없이 강호로 돌아 갔는데 그들에게는 주자의 삶과 그의 학문, 그리고 그의 문학이 하나의 이상으로 받아들여졌다. 따라서 주자의 무이구곡에서의 삶이 동격의 대상이 되었고, 그가 지은 <무이도가> 등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무이도가>는 지고의 시로 인식되어 깊은 천착이 있었는데, 이황은 <무이도가>에서 차음하여 <한거독무이지차구곡자가운>을 지었고, 율곡 이이는 시조의 형식을 빌어 <산구곡가>를 지었다. 조선조의 주자학적 지식인들이 <무이도가>를 수용함에 있어 이황의 경우처럼 거의 한시로 차음한데 반해 이이는 시조의 형태로 변용하였다는 사실을 높이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고산구곡가>는 연시조의 유산중 구조와 내용에 있어서 매우 특이한 작품인데 같은 강호 자연을 노래한 퇴계의 <도산십이곡>이나 입암의 직립불기, 높은 기상과 강건함, 묵묵한 기상을 읊어 자연에의 몰입을 추구하면서도 그 속에서 '머도록'과 '먼 빗치'의 갈등을 드러내고 있는 고산의 <어부사시사>와도 다르다. 

   <고산구곡가>는 첫수를 서사로 시작하여 1곡에서 9곡까지 노래하는 구곡체 시가라 할 수 있는데, 퇴계.율곡 이후 17세기 송시열을 비롯한 주자학적 지식인들에게 계승되어 애송되기도 하고, 자연을 소재로 한 많은 한시 창작에 영향을 미쳐 20세기 초엽까지 많은 구곡체 시가가 지어졌다. 그러나 한문 구곡체 시가의 작품 수는 많으나 국문 구곡체 시가는 율곡의 <고산구곡가>와 이것의 영향을 직접 받은 권섭의 <황강구곡가>, 가사 형태의 시가인 채헌의 <석문정구곡도가> 등 몇 편에 불과하다. 

   구곡체 시가 가운데 <고산구곡가>는 형태상 구곡을 읊었다는 점에서 <무이도가>의 영향을 받았으나 의미상 구조나 내용에 있어서는 독창적인 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 심화 내용 연구

1. ‘고산구곡가’의 시간, 공간적 배경




2. 각 수에 대한 상세 설명 

 1연은 고산구곡가의 서시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아름다운 자연을 벗하며 주자학을 연찬하겠다는 학구적 열의를 노래한 것이다. 고산에 있는 석담 구곡을 사람들이 몰랐는데, 내가 풀을 베고 집터를 닦아 정사를 지어 놓으니 그제야 많 제자들이 모여든다. 옛날 주자가 무이산에서 정사를 짓고 학문을 닦았듯이 나도 여기서 주자의 학문을 배우겠다는 것이다. 중장의 '벗님네 다 오신다'의 '벗님네'는 학문에 뜻을 두고 모여둔 '후학들'을 가리키는 것이며 '무이를 상상하고'는 무이산에서 정사를 짓고 후학을 가르친 주자를 생각한다는 것으로 이 작품이 주자의 '무이구곡가'를 본떠 지은 것임을 암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주자학을 연구하고자 하는 결의


 2연은 고산구곡가의 둘 째 수로 관암의 아침 경치를 묘사하고 이를 즐기는 심회를 노래한 것이다. 관암에 아침 해가 돋고 아침 안개가 걷히니 온 들판에 울굿불굿 피어난 꽃동산이 한눈에 들어와 원근이 한 폭의 그림 같은 아름다운 정경을 이룬다(원근이 그림이로다). 이 아름다운 경치 속에서 맛있는 술을 마련하고 벗이 오기를 기다리는 지은이의 풍류와 운치가 잘 나타나 있다. 

- 관암의 아침 경치


 3연은 '고산구곡가'의 셋째 수로 화암의 늦봄의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하고, 이 아름다운 승지를 널리 알리고 싶은 심정을 노래한 부분이다.  화암의 늦봄은 온갖 꽃이 만발하고 계곡에서는 맑은 물이 흘러 그야말로 선경과 같은 절경을 이룬다. 이 아름다운 곳을 어찌 나 혼자서만 즐길 수 있겠는가? 벽파에 꽃을 띄워 야외에 보내어서 세상 사람에게 널리 알리고 싶다는 내용이다.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무릉도원을 연상하게 하는 작품이다. 

- 화암의 늦봄의 아름다운 경치


 4연은 '고산구곡가'의 넷째 수로 소나무 가지에 맑은 바람이 부는 취병의 시원한 정경을 읊은 부분이다. 푸른 병풍을 둘러친 듯한 절벽에 녹음이 우거졌다, 우거진 녹음 속에서 들려오는 새 소리, 물 소리를 들으며 여름을 시원하게 보낸다는 것이다. '반송이 수청풍한이 녀름 경이 업세'라는 여름도 여름 같지 않은 시원한 선경임을 자랑한 것이다. 

- 반송에 맑은 바람이 부는 절벽에서 시원한 바람으로 여름을 보내는 한가로운 정경


 5연은 '고산구곡가'의 다섯째 수로 맑은 물에 산 그림자가 잠기는 송애의 저녁 경치를 읊었다. '담심암영은 온갖 빗치 잠겻셰라'의 '온갖 빛'은 무엇일까? 우거진 푸른 소나무, 만산을 수놓은 단풍, 첩첩이 겹쳐진 바위, 넘어가는 저녁 햇빛, 푸르른 하늘···'이런 것이 한 폭의 그림처럼 조화를 이루어 어려있는 모습일 것이다. 임천은 깊을수록 좋으니 흥을 이기지 못하겠다고 자연에 묻혀 사는 은사의 흥취를 노래하고 있다.  

- 소나무가 늘어선 낭떠러지의 저녁 풍경을 묘사


 6연은 '고산구곡가'의 여섯째 수로 작자가 거처하는 석담정사의 주변과 거기에서의 생활을 노래한 것이다. 바위가 병풍같이 늘어선 은병의 아름다운 경치를 뒤로 하고 앞에는 맑은 물이 흐르고 있는 조촐한 모옥인 석담정사-여기서 강학도하고 영월음풍도 하는 유학자다운 풍류 생활의 운치를 읊은 것이다. 

- 물가에서 정사를 짓고 학문을 가르치면서 음풍영월하는 생활을 그림


 7연은 '고산구곡가'의 일곱째 수로 도협에서 낚시질을 하며 유유자적으로 하는 생활의 운치를 읊은 것이다. 조협깊은 물에 낚싯대를 드리우고 유유히 강심을 바라보는 지은이의 모습은 고기 잡는 어옹의 모습이 아니라 고기와 더불어 장난치며 즐기는 물심일여의 무심자의 모습이다. 그래서 작자는 '나와 고기와 뉘야 더욱 즑이는고'라고 읊고 있는 것이다. 황혼에 달빛을 받으며 정사로 돌아오는 종장에서는 자연과 혼연일체가 되어 유유자적하는 풍모가 한 폭의 그림자처럼 그려졌다. 

- 저녁에 낚시대를 메고 달빛을 받으면서 돌아오는 유유자적한 모습


 8연은 '고산구곡가'의 여덟 번 째 수로 가을빛이 무르익은 풍암의 경치와 찬 바위에 혼자 앉아서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잊고 자연에 몰입하는 생활을 보여준다. 

-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잊고 자연에 몰입하는 생활을 보여준다.


 9연은 '고산구곡가'의 아홉 번째 수로 가야금 소리 같은 물소리로 흐르는 계곡의 달밤을 노래하고 있다. 썩 좋은 거문고로 타는 노래와 같이 극 곡조를 듣고 있으면 옛 노래를 듣고 있는 듯하다는 작자의 풍류와 운치가 잘 나타나 있다. 

-금탄에서 흐르는 물소리에 맞추어 노래 부르며 혼자 즐기는 멋을 자랑


 10연은 '고산구곡가'의 열 번째의 수로 기암괴석이 뒤섞인 흰 눈이 쌓여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이 경치를 보지 않고는 그 아름다움을 말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그 묘미를 깨닫지 못하는 세인을 안타까워한다. 

- 아름다운 경치의 묘미를 깨닫지 못하는 세인들을 안타까워함


■ 작가 소개 : 이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문학 이야기 > 고전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싀어머님 며느라기 - 작자미상  (0) 2016.04.28
나모도 돌도 - 작자미상  (0) 2016.04.28
견회요 - 윤선도  (0) 2016.04.07
어부단가 - 이현보  (0) 2016.03.31
감군은 - 상진  (0) 2016.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