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단가 - 이현보


■ 본문

이 듕에 시름업스니 漁父(어부)의 生涯(생애)이로다.

一葉片舟(일엽편주)를 萬頃波(만경파)에 워 두고,

人世(인세)를 다 니젯거니 날 가 주를 안가. <제1수>


구버 千尋綠水(천심녹수) 도라보니 萬疊靑山(만첩청산)

十丈紅塵(십장홍진)이 언매나 롓고,

江湖(강호)얘 月白(월백)거든 더옥 無心(무심)얘라. <제2수>


靑荷(청하)애 바 고 綠柳(녹류)에 고기 여

蘆荻花叢(노적 화총)에  야 두고

一般淸意味(일반청의미)를 어 부니 아실고. <제3수>


山頭(산두)에 閑雲(한운)이 起(기)고 水中(수중)에 白鷗(백구)이 飛(비)이라.

無心(무심)코 多情(다정)니 이 두 거시로다.

一生(일생)애 시르믈 닛고 너를 조차 노로리라. <제4수>


長安(장안)을 도라보니 北闕(북궐)이 千里(천리)로다.

漁舟(어주)에 누어신니즌 스치 이시랴.

두어라, 내 시름 아니라 濟世賢(제세현)이 업스랴. <제5수>


■ 핵심 정리

갈래 : 연시조

성격 : 풍류적, 자연친화적

특징

 ① 고려 때부터 전해 오던 ‘어부가’를 고쳐 만든 연시조

 ② 설의법, 대구법, 의인법 등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함

 ③ 시적 화자를 어부로 설정하여 어부 생활의 흥취를 표현하고 있음.

 ④ 상투적 한자어를 많이 써서 정경 묘사가 추상적이고 관념적임.

주제 : 자연을 벗하는 어부(漁父)의 한정(閑情)


■ 현대어 풀이

이러한 생활 속에 근심 걱정할 것 없으니 어부의 생활이로다.

조그마한 쪽배를 끝없이 넓은 바다 위에 띄워 두고,

인간 세상의 일을 다 잊었거니 세월 가는 줄을 알랴.


아래로 굽어보니 천 길이나 되는 깊고 푸른 물이며, 돌아보니 겹겹이 쌓인 푸른 산이로다.

열 길이나 되는 붉은 먼지는 얼마나 가려 있는고.

강호에 밝은 달이 비치니 더욱 무심하구나.


푸른 연잎에다 밥을 싸고 푸른 버들가지에 잡은 물고기를 꿰어,

갈대꽃이 우거진 곳에 배를 매어 두니,

자연의 참된 의미를 어느 사람이 알 것인가.


산머리에는 한가로운 구름이 일고 물 위에는 갈매기가 날고 있네.

아무런 사심 없이 다정한 것으로는 이 두 가지뿐이로다.

한평생의 근심 걱정을 잊어버리고 너희들과 더불어 놀리라.


멀리 서울을 돌아보니 경복궁이 천 리로다.

고깃배에 누워 있은들 (나랏일을) 잊을 새가 있으랴.

두어라, 나의 걱정이 아닌들 세상을 건져 낼 위인이 없겠느냐?


■ 작품 해설

  ‘어부가(漁父歌)’는 일찍이 고려 때부터 12장으로 된 장가(長歌)와 10장으로 된 단가(短歌)로 전해져 왔는데, 농암 이현보가 이를 개작하여 9장의 장가, 5장의 단가로 만들었다. 이는 후에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로 이어져 자연을 벗하며 고기잡이를 하는 풍류적인 생활을 그린 작품으로 우리 선인들의 운치 있는 삶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어부’는 굴원의 ‘어부사’ 이래로 우리 문학 작품이나 그림에 자주 등장해 왔다. 여기에서의 ‘어부’는 고기잡이를 생업으로 하는 어부가 아니라 세속과 정치 현실에서 벗어난 은자(隱者)의 상징으로, 자연 속에서 풍류를 즐기며 사는 가어옹(假漁翁)일 뿐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관념적인 어부의 상을 빌려 세속에서 벗어나 한가하고 느긋한 삶을 살고 싶은 욕망을 노래한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이현보가 살았던 16세기는 사림파와 훈구파가 주도권을 다투던 혼란한 시기였기에 강호에 있으면서도 정치 현실을 완전히 망각하고 안주할 수 없었다. 이는 임금에 대한 충성심과 국사에 대한 걱정을 내용으로 하고 있는 5수에 단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강호의 삶과 즐거움을 노래하면서도 지나친 자연미에 대한 감흥은 억제되어 있다.

- 지학사 T-Solution 자료실 참고


■ 심화 내용 연구

1. 화자의 정서 파악

 이 작품의 시적화자는 자연과 일체를 이루는 즐거움, 나라에 대한 근심 사이에서 심리적으로 갈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 2수에서 시적화자는 속세를 잊고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함께 사는 삶의 즐거움을 이야기 한다. 더 나아가 제3수에서는 자연을 벗하며 사는 삶의 참된 의미를 언급하고, 제4수에서는 자연과 동화되어 물아일체의 경지까지 나아간다. 하지만 제5수에서 시적화자는 우국충정과 연군지정을 느끼며 임금에 대한 충성심과 나랏일에 대한 걱정를 드러내고 있다.


2. 자연과 속세의 대비

 ‘만경파, 강호, 한운, 백구’ 등으로 대표되는 ‘자연’은 시름이 없는 공간, 긍정적인 공간인 반면에 ‘인세, 십장홍진’으로 대표되는 ‘속세’는 시름이 있는 공간, 부정적인 공간으로 표현되고 있다. 


■ 작가 소개

이현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문학 이야기 > 고전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산구곡가 - 이이  (1) 2016.04.07
견회요 - 윤선도  (0) 2016.04.07
감군은 - 상진  (0) 2016.03.28
용비어천가 - 정인지 외  (0) 2016.03.28
동동 - 작자미상  (0) 2016.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