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 - 이정록

1. 본문

병원에 갈 채비를 하며

어머니께서

한 소식 던지신다

 

허리가 아프니까

세상이 다 의자로 보여야

꽃도 열매도, 그게 다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여

 

주말엔

아버지 산소 좀 다녀와라

그래도 큰애 네가

아버지한테는 좋은 의자 아녔냐

 

이따가 침 맞고 와서는

참외밭에 지푸라기도 깔고

호박에 똬리도 받쳐야겠다

그것들도 식군데 의자를 내줘야지

 

싸우지 말고 살아라

결혼하고 애 낳고 사는 게 별거냐

그늘 좋고 풍경 좋은 데다가

의자 몇 개 내놓는 거여

 

2. 핵심 정리

• 갈래 : 서정시, 자유시

• 성격 : 상징적, 사색적, 교훈적

• 주제 : 서로 배려하고 의지하며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

• 특징 :

 ① 화자의 어머니가 화자에게 직접 말하는 듯한 시적 상황을 설정하여 시상을 전개함

 ② 사투리를 사용하여 인물의 특성을 드러내고 시적 상황에 생생함을 부여함.

 ③ ‘의자’라는 일상적 소재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여 주제 의식을 담아냄.

 ④ ‘의자’에 대한 화자의 생각이나 태도는 직접 드러나 있지 않음.

3. 작품 해설 1

 이 작품은 어머니의 말씀을 그대로 인용하여 화자가 그 말씀을 통해 깨달은 바를 독자에게 전달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자는 어머니의 말씀을 통해 고달픈 삶을 사는 연약한 존재들에게는 나름의 안식처가 존재함을, 그리고 그러한 존재들은 결국 서로를 의지하고 사는 처지임을 알게 된다. 더 나아가 인생이란 서로에게 의자와 같이 편안한 존재가 되어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 수능특강 해설 참고

4. 작품 해설 2

 이 시는 화자의 어머니가 화자에게 건네는 말을 중심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화자의 생각이나 느낌은 직접 나타나지 않으며, 단지 어머니의 말을 통해 화자의 생각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화자의 어머니는 허리가 아픈 경험을 통해 얻은 깨달음과 세상의 이치를 화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그 깨달음이란 세상의 모든 존재가 서로에게 의자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서로 몸과 마음을 기대며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래서 어머니는 화자에게도 아버지의 산소에 다녀오라고 한다. 화자 역시 아버지에게 의자와 같은 존재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참외와 호박이라는 자연물에까지 그 인식을 확장시킨다. 사람뿐만 아니라 자연의 모든 존재도 이 세상을 같이 살아가는 동등한 인격체로 보고 배려한 것이다. 이를 통해 세상의 모든 존재는 서로 기댈 수 있는 의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역설하고 있다.

- 천재교육, 해법문학 현대시 참고

5. 심화 내용 연구

1. ‘의자’의 특성과 주제 의식(천재교육 참고)

 의자는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만든 기구이다. 사람들은 의자에 앉아서 일하기도 하지만, 몸을 기대고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이 시에서 의자가 상징하는 것은 몸과 마음을 기댈 수 있는 대상이다. 아버지에게는 화자가, 참외와 호박에게는 지푸라기와 똬리가 의자인 것이다. 마지막 연에서 어머니는 화자에게 인생이란 의자 몇 개를 내놓는 것처럼 서로 의지하며 함께 살아가는 것이고 말한다. 이는 서로에게 마음의 안정과 휴식을 줄 수 있는 의자와 같은 존재가 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이 시의 주제를 전달하는 것이기도 하다.

 

2. ‘의자’의 원관념과 상징적 의미(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2연의 ‘세상’ : 허리가 아픈 어머니가 기댈 수 있는 것

 3연의 ‘큰애(화자)’ : 돌아가신 아버지가 믿고 의지하던 사람

 4연의 ‘지푸라기, 똬리’ : 참외와 호박이 상하지 않고 잘 자랄 수 있게 해 주는 것

 

3. 시상 전개(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1연 : 어머니가 던지신 한 소식

 2연 : 세상이 다 의자로 보임(자연과 사물과의 교감)

 3연 : 아버지에게는 큰애가 의자였음(인간과 인간의 교감)

 4연 : 식구인 참외, 호박에게 의자를 내줄 것임(자연과 사물과의 교감)

 5연 : 결혼은 그늘 좋고 풍경 좋은 곳에 의자를 내놓는 것과 같음(인간과 인간의 교감)

 

6. 작가 소개

이정록 – 위키백과

 

이정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생 1964년 9월 5일(1964-09-05) (56세)[1]충청남도 홍성군 직업 작가,교육인 국적 대한민국 장르 시 이정록(李楨錄, 1964년 음력 7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ko.wikipedia.org

이정록 - 의자.pdf
0.07MB

'문학 이야기 > 현대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섶섬이 보이는 방 - 이중섭의 방에 와서 - 나희덕  (0) 2021.03.26
가을 집 짓기 - 홍윤숙  (0) 2021.03.26
까치밥 - 송수권  (0) 2021.03.23
폭포 - 이형기  (0) 2021.03.17
폭포 - 김수영  (0) 2021.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