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행복의 이야기 마을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푸른행복의 이야기 마을

  • 분류 전체보기 (666)
    • 행복 이야기 (55)
      • 일상다반사 (22)
      • 행복이 작품 (29)
      • 책과 음악과 사진과 행복이 (4)
    • 국어 이야기 (45)
      • 국어영역 입시 뉴스 (8)
      • 화법/작문/문법 (6)
      • 우리말 지킴이 (30)
    • 문학 이야기 (400)
      • 고전운문 (105)
      • 고전산문 (55)
      • 현대운문 (108)
      • 현대산문 (76)
      • 문학이론 (16)
    • 대입 이야기 (163)
      • 입시 자료 및 입시 뉴스 (60)
      • 논술 기출문제 (68)
      • 논술로 대학가기 (19)
    • 티스토리 초대장 배부 (0)
  • 처음으로
  • 행복이야기
  • 국어이야기
  • 문학이야기
  • 대입이야기
  • 방명록
  • 글쓰기
  • 관리자
황조가 - 유리왕

황조가 - 유리왕

■ 본문 훨훨 나는 저 꾀꼬리 翩翩黃鳥 (기) → 시적 화자의 서정을 불러일으키는 동기가 되는 제재인 꾀꼬리의 모습을 묘사하여 자신의 외로운 처지와 대비시키고 있다. 여기서 꾀꼬리는 시적 화자와 대조되어 외로움을 증폭시키는 존재이다. 암수 다정히 노니는데 雌雄相依 (승) → 꾀꼬리의 정다운 모습을 통해 자신의 고독하고 슬픈 정서를 환기시키고 있다. 제1구와 함께 이 노래의 배경 역할을 한다. 외로울사 이 내 몸은 念我之獨 (전) → 여기에서의 ‘독(獨)’은 임을 여읜 서정적 자아의 심정이 단적으로 집약된 단어이다. 시상이 객관적 상관물인 꾀꼬리에서 서정적 자아의 세계로 바뀌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뉘와 함께 돌아가리 誰其與歸 (결) → 함께 돌아갈 사람을 잃은 데서 오는 슬프고 고독한 감정이 절정에 이..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고전운문
  • · 2016. 12. 1.
  • textsms
저녁에 - 김광섭

저녁에 - 김광섭

■ 본문저렇게 많은 중에서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 밤이 깊을수록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나는 어둠 속에 사라진다. 이렇게 정다운너 하나 나 하나는어디서 무엇이 되어다시 만나랴. ■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서정적, 관조적, 사색적, 미래지향적, 명상적․ 어조 : 간절한 소망이 담겨 있는 사색적 어조․ 제재 : 별․ 주제 :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과 성찰․ 구성 : 선경후정의 방식(1, 2연 – 3연) 1연 : 별과 나와의 친밀한 교감 2연 : 친밀한 관계의 소멸과 인간의 고독 3연 : 다시 만나고 싶은 소망 ■ 작품 해설 1 1969년 11월 《월간중앙》(제20호)에 발표된 작품으로 1975년에 출판된 김광섭의 시집 《겨울..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현대운문
  • · 2016. 6. 24.
  • textsms
춘망(春望) - 두보

춘망(春望) - 두보

‣ 요점 정리작가 : 두보 형식 : 언해(원시는 오언율시) 연대 : 두보가 46세 때 표현 : 선경후정, 대구법, 과장법 구성 : 수함경미련으로 구성. 수련 1-2행 : 전란으로 인해 폐허가 된 모습 함련 3-4행 : 전란으로 인한 상심 경련 5-6행 : 가족에 대한 그리움 미련 7-8행 : 쇠약한 육신과 늙음에 대한 탄식 주제 : 전란의 비애 전란으로 인한 상심 ‣ 이해와 감상 두보의 나이 46세 때 봉선현에 기식하고 있는 가족을 만나러 갔다가 백수에게 안녹산 군에 사로잡혀 장안에 연금되어 있을 때 지은 작품으로, ‘안록산의 난’으로 함락된 장안에서 보고 느낀 전란의 처참한 현실에 비애를 읊고 있다. 난리로 폐허가 된 성 안의 외경과 처자를 그리며 늙어가는 자신의 비통한 심정을 그리고 있다. 선경후정의..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고전운문
  • · 2014. 4. 29.
  • textsms
절구(絶句) - 두보

절구(絶句) - 두보

‣ 요점 정리작가 : 두보 형식 : 5언 절구 연대 : 두보 나이 43세 때 성격 : 애상적 표현 : 수련과 함련의 대구, 색채의 대조, 선경후정 구성 : 수련 - 봄날의 강과 새 함련 - 봄날의 산과 꽃 경련 - 봄이 또 지나감 미련 - 고향이 그리움 제재 : 강가의 새와 산에 핀 꽃 주제 : 향수,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간절한 마음 ‣ 이해와 감상 전란에 휩쓸려 방랑 생활을 해야 했던 두보가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멀리 떨어진 타향에서 또 헛되이 봄을 보내야 하는 안타까움을 토로하고 있는 작품이다. 특히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자신의 심정을 아름다운 자연의 정경과 대비시켜 부각시키고 있는 것이 일품이다. 율격면에서는 3(4). 4조의 4음보 율격을 통해 리듬감을 살리고자 하였고, 표현면에서는 미..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고전운문
  • · 2014. 4. 29.
  • textsms
만흥(漫興) - 두보

만흥(漫興) - 두보

‣ 요점 정리작가 : 두보형식 : 7언 절구소재 : 봄, 수양버들구성 : 선경후정의 시상 전개 수, 함련 : 외계의 자연물 경, 미련 : 자연물에서 연유한 심회주제 : 봄의 흥취와 서정 ‣ 이해와 감상 761년, 두보의 나이 50세 때의 작품으로, 성도의 초당에 있으면서 지은 ‘만흥’ 9수 중의 하나로 ‘미친 바람이 가장 긴 가지를 잡아 당기어 끊어버린다.’의 결구에서 무르익은 봄의 서경과 대립되는 봄의 시샘을 가장 강하게 드러내고 있고, 버들을 열다섯 살 어린 여자의 허리같다고 표현한 것등은 상당히 감각적인 표현이고, 봄의 흥취와 서정을 읊은 작품으로 봄날의 느낌을 감각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다.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고전운문
  • · 2014. 4. 29.
  • textsms
등고 - 두보

등고 - 두보

‣ 요점 정리작가 : 두보 형식 : 7언 율시 연대 : 두보가 56세 때 표현 : 대구법, 선경후정 성격 : 애상적, 영탄적 구성 : 수련 1-2행 : 가을의 적막한 정경 함련 3-4행 : 강가의 쓸쓸한 모습 경련 5-6행 : 외로운 나그네의 슬픔 미련 7-8행 : 노경의 처량한 탄식 제재 : 중앙절의 등고 주제 : 인생무상과 노년의 쓸쓸하고 처량한 심회 ‣ 이해와 감상 작자가 중앙절을 맞아 싸늘한 가을 바람에 낙엽이 떨어지는 높은 언덕에 앉아, 늙고 병든 몸으로 슬픔을 한잔 술로 달래면서 늙음에서 오는 한탄의 정서를 독백조로 노래하고 있는 작품이다. 자연의 흐름 속에 비춰진 인생의 무상함이 대구법과 선명한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진 선경후정의 묘사를 통해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절실히 느껴지..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고전운문
  • · 2014. 4. 28.
  • textsms
강촌(江村) - 두보

강촌(江村) - 두보

‣ 요점 정리작가 : 두보형식 : 7언 율시성격 : 서정적, 한정적표현 : 대구, 대조, 풍자, 상징, 선경후정, 원근법, 세태풍자주제 : 긴 여름 강촌의 삶, 지족(知足)의 삶, 한가로운 자연에서 누리는 삶에 대한 만족감 ‣ 이해와 감상 두보가 49세 되던 해에 성도(成道)에서 지은 작품이다. 여름날 강촌 마을에서 욕심 없이 살아가는 강호한정(江湖閑情)을 노래하였다. 수련에서는 긴 여름 강촌의 한가로운 모습을, 함련에서는 주변의 정경을, 경련에서는 사람 사는 모습을, 미련에서는 이러한 생활에 자족하는 시적 화자의 여유로운 모습을 그리고 있다. 맑은 강이 마을을 안아 흐르고, 제비와 갈매기가 날고, 아내는 종이에다 장기판을 그리며 아들은 고기 잡을 낚시를 만들고 있다. 병을 다스릴 약만 있다면 더 이상 ..

  • format_list_bulleted 문학 이야기/고전운문
  • · 2014. 4. 23.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navigate_next
공지사항
  •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문학 작품 목록
  • 푸른행복의 이야기 마을은...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666)
    • 행복 이야기 (55)
      • 일상다반사 (22)
      • 행복이 작품 (29)
      • 책과 음악과 사진과 행복이 (4)
    • 국어 이야기 (45)
      • 국어영역 입시 뉴스 (8)
      • 화법/작문/문법 (6)
      • 우리말 지킴이 (30)
    • 문학 이야기 (400)
      • 고전운문 (105)
      • 고전산문 (55)
      • 현대운문 (108)
      • 현대산문 (76)
      • 문학이론 (16)
    • 대입 이야기 (163)
      • 입시 자료 및 입시 뉴스 (60)
      • 논술 기출문제 (68)
      • 논술로 대학가기 (19)
    • 티스토리 초대장 배부 (0)
최근 댓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