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시인(詩人)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한 줄 시(詩)를 적어 볼까,
땀내와 사랑 내 포근히 품긴
보내 주신 학비 봉투(學費封套)를 받어
대학(大學) 노-트를 끼고
늙은 교수(敎授)의 강의 들으러 간다.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들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수(幄手).
■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고백적, 반성적, 의지적, 미래지향적, 저항적
제재 : 어두운 현실 속의 무기력한 삶
특징
① 고백적 어조를 통해 자기 성찰과 극복 의지를 보여줌
② 밝음과 어둠의 시각적 이미지를 대비시켜 부정적 현실과 그 극복의지를 부각시킴
③ 시행을 바꾸어 반복함으로써 현실 상황에 대한 화자의 인식을 제시함
주제 : 현실의 고뇌와 자기 성찰을 통한 극복의 의지
■ 작품 해설 1
이 시는 윤동주가 일본에 유학 중이던 1942년에 쓴 것으로 알려진 작품으로, 어두운 시대 현실에 대한 고뇌와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 그리고 그 부끄러움을 미래에 대한 희망과 의지로 극복하려는 마음이 잘 드러나 있는 시이다. 시인을 대변하는 인물이 이 시의 화자는 식민지 지식인으로 자신의 나라를 빼앗은 나라에서 현실에 안주하여 무기력한 삶을 살고 있음을 인식하고 부끄러워한다. 그리고 이 ‘부끄러움’을 통하여 ‘시대처럼 올 아침’을 생각하고 지금의 ‘어둠’을 조금이라도 몰아낼 ‘등불’을 밝히고자 하는 실천적인 지식인으로 거듭난다. 이에 악수를 통해 무기력한 현실적 자아와 어두운 현실을 떨치고자 하는 내면적 자아의 갈등 상황을 해소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보여준다.
- 지학사 T-Solution 문학 자료실 참고
■ 작품 해설 2
이 시는 시인이 일본에서 유학 중이던 1942년에 창작한 작품으로, 윤동주 시 문학의 일반적인 특징인 자기 성찰의 주제 의식을 잘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이 시의 1, 2연은 ‘육첩방’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화자의 처지가 나타나고 있다. 3~7연에서 화자는 의미 없는 유학생활을 하면서 쉽게 시나 쓰는 무기력한 자신의 모습에 회의적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화자가 스스로를 성찰하는 과정이자, 부끄러움에 대한 자각을 통해 현실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으로 볼 수 있다. 8~10연에 이르러 대립하던 현실적 자아와 내면적 자아는 서로 화해하고, 화자는 미래에 대한 희망적인 의지를 보이게 된다. 현실을 받아들이면서도 그것에 절망만 하지 않고 새로운 시대에 대한 전망을 통해 힘찬 삶을 살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는 것이다.
- 꿈을 담는 틀 교과서 전 작품 문학자습서 참고
■ 심화 내용 연구
1. 시상의 전개 방식
이 시는 타국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처지에 있는 화자가(1, 2연) 자신의 무기력한 삶에 회의하고(3~6연) 스스로를 반성하는 몸부림 끝에(7연), 미래에 대한 희망적인 의지를 떠올리며 갈등하는 두 자아를 화해시키고 현실의 고뇌와 갈등으로부터 벗어나는 일련의 과정을 중심으로 전체 구성이 짜여있다. 그런 점에서 시상 전개 방식이 ‘문제 상황제시-문제에 대한 인식-문제의 해결’이라는 틀에 맞춰져 있다고 볼 수 있다.
2. 1연과 8연의‘반복과 변조’
내용의 반복은 보통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표현상의 특징이다. 1연과 8연은 모두 공통적으로 화자의 ‘현실 인식’으로 볼 수 있으며, 반복을 통해 현실 인식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1연은 이어지는 2~7연에서 알 수 있듯이 ‘부정적 현실 인식’이며, 8연은 뒤의 9~10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현실의 자아와 내면적 자아가 화해하고 부정적 현실 극복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1연과는 다른 ‘현실의 재인식’이라는 차이점을 보인다.
3.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부끄러움’의 미학
자기 성찰에는 항상 ‘부끄러움’이 뒤따르는데, 이는 윤동주의 삶과 시를 지탱해 주는 근원적인 동력이다. 이 시에서도 화자는 자신에게 부끄러움을 느끼고 내적 갈등을 겪지만, 그 속에서 스스로를 다잡으며, 부끄러운 현재의 자아를 벗어나 새로운 자아로 나아가려 함으로써 갈등을 극복한다.
4. 화자의 내면적 갈등과 그 해결 과정
이 시에는 현실적 자아와 내면적 자아의 대립, 그리고 화해를 통한 갈등의 해소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 현실적 자아는 시나 지으며 살아가는 무력감에 부끄러워하는 자아이며, 내면적 자아는 성찰을 통해 도달한 성숙한 자아이다. 이 두 자아 사이에서 대립하고 갈등하던 화자는 ‘눈물과 위안’에 힘입어 두 자아로 하여금 ‘최초의 악수’를 하게 하는 화해의 단계에 이르게 된다.
■ 작가 소개
'문학 이야기 > 현대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날이 오면 - 심훈 (0) | 2016.03.09 |
---|---|
낙화 - 조지훈 (0) | 2016.03.08 |
등산 - 오세영 (1) | 2015.06.18 |
봄 - 이성부 (1) | 2015.05.29 |
내 마음 아실 이 - 김영랑 (0) | 201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