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비 - 이수복

반응형
728x90

1. 본문

이 비 그치면

내 마음 강나루 긴 언덕에

서러운 풀빛이 짙어 오것다.

 

푸르른 보리밭 길

맑은 하늘에

종달새만 무에라고 지껄이것다.

 

이 비 그치면

시새워 벙글어질 고운 꽃밭 속

처녀 애들 짝하여 새로이 서고

 

임 앞에 타오르는

향연과 같이

땅에선 또 아지랑이 타오르것다..

 

2.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율격 : 내재율(3음보의 율격. 두운과 각운)

성격 : 낭만적. 관조적. 심미적. 상징적

심상 : 시각적 심상이 주조를 이룸

어조 : (봄비가 그치면 만물이 약동할 것을 기대하는) 희망적인 어조

구성 : 점층적 구성

    1연  풀빛이 짙어 올 강 언덕(기) - 슬픔과 애상의 정서

    2연  푸른 보리밭길 종달새(승) - 봄날의 풍경

    3연  처녀애들 짝하여 설 꽃밭(전) - 생명이 가득한 봄날

    4연  아지랑이 타오를 땅(결) - 죽은 임에 대한 애상과 슬픔

주제 : 봄비 오는 날의 애상적 정서 / 봄비가 그친 뒤의 봄의 서정

표현 : ① 봄비로 촉발되는 내면 풍경을 생동감 있게 묘사

      ② 대립적 이미지를 통해 주제를 전달

      ③ 변형된 3음보의 율격과 각운을 통해 운율을 형성 

      ④ ‘-것다’의 간접 화법의 반복으로 시적 상황을 간접적으로 제시하면서 관조적인 화자의 태도를 드러냄

의의 : 향토적 소재와 상상에 의한 감각적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

 

3. 작품 해설 1

  이 시는 봄비를 보며 곧 다가올 봄의 생명력을 노래하고 있다. 시적 화자는 대지를 적시는 봄비를 바라보며 비가 그치면 강나루 긴 언덕의 풀빛이 더욱 푸르러지고 종달새가 노래하며, 처녀애들의 화사한 얼굴과 꽃이 서로의 아름다움을 다툴 것이라고 그려 본다. 여기에서 화자가 그리는 강나루 언덕, 보리밭의 종달새, 꽃밭과 처녀애는 실재하는 대상이라기보다 화자의 마음속에 있는 것, 즉, 관념화된 대상일 뿐이다. 이것은 임과 이별한 화자가 겨우내 고통스러워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봄의 생명력을 지닌 풀빛이 서러운 것이나, 아지랑이가 임 앞의 향연과 같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시는 봄의 생명력에 대한 묘사를 통해 임과의 이별로 인한 애상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이는 데서 유사한 모티프의 한시 ‘송인’과 차별점을 지닌다.

- 지학사 T-Solution 자료실 참고

4. 작품 해설 2

 이 시는 토속적인 시어를 구사하여 향토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그리움의 정서를 자연스럽게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시적 화자는 신선하고 생동감 넘치는 시어를 구사하는 동시에 ‘강나루 → 보리밭 길 → 꽃밭 → 땅(들판)’으로 시선을 확대시킴으로써 봄의 생명력을 노래하고 있다. 그리고 으레 그러리라고 짐작되는 것을 다짐하여 말할 때 쓰는 ‘~것다’라는 종결 어미를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전달하고 있다. 이 시가 봄의 생명력을 예찬하는 작품이면서도 전통적 애상의 정서를 느끼게 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이 시에서 봄은 시적 화자에게 결코 즐거운 의미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마음속에 숨어 있던 임에 대한 그리움을 다시 일깨워 줌으로써, 강 언덕에 짙푸르게 솟아날 풀잎 같은 서러움을 맛볼 계기가 되는 것이다. 이런 애상적 정조는 4연에서 봄의 상징물인 아지랑이를 ‘임 앞에 타오르는 향연’으로 표현함으로써 화자가 서러움을 느끼는 이유가 ‘임의 부재(임과의 사별)’임을 분명히 밝혀 주고 있다.

 

5. 심화 내용 연구

1. ‘봄비’의 배경의 관념성

 이 시의 배경은 ‘내 마음 강나루 긴 언덕’이다. 따라서 이 시의 배경은 실재하는 자연이 아니라 관념화된 내면인 것이다. 그리고 이별의 정서를 표현하기 위한 배경인 ‘강나루’도 역시 구체적인 이별의 공간이라기보다는 정겨운 향토적 서경의 내면적 정서를 표현하기 위한 시어로 보아야 한다.

 

2. 정지상의 ‘송인(送人)’과 ‘봄비’의 비교

 ① 시적 발상 : ‘봄비’의 1연과 ‘송인’의 기(起)구에서 시적 발상이 동일하다. 시작 화자의 ‘슬픔’, ‘서러움’의 감정을 자연의 ‘푸른 빛’에 비유했다.

 ② 시적 발상의 효과 : 자연의 푸르름과 대비되어 시적 화자의 슬픔이 강조되고 있다.

 

6. 작가 소개

 이수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수복

해방 이후 『봄비』를 저술한 시인. [개설] 전라남도 함평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목포시 문태중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예과(豫科)를 마쳤다. 1950년대 중반 무렵 조선대학교에서 시간강

terms.naver.com

이수복 - 봄비.pdf
다운로드

'문학 이야기 > 현대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 시 - 최하림  (0) 2016.09.13
논개 - 변영로  (0) 2016.08.17
저문 강에 삽을 씻고 - 정희성  (0) 2016.06.29
저녁에 - 김광섭  (0) 2016.06.24
나비와 철조망 - 박봉우  (0) 2016.06.21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