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난 풀잎 - 이문구

반응형
728x90

1. 본문

 예로부터 하늘과 땅은 어질지가 않다[天地不仁]는 말이 있다, 온갖 생물을 낳고 기르면서도 그 생물들 가운데 어느 것을 편들거나 어느 것을 떼치거나 하지 않고 자연에 그대로 맡긴다는 뜻이다. 서양의 한 자연주의 작가 역시 자연은 인간의 운명에 대해 관심을 두지 않는다고 말한 적이 있다. 이를테면 큰 잉어가 어린 붕어를 먹고, 큰 붕어가 어린 피라미를 먹고, 큰 피라미가 어린 송사리를 먹고, 큰 송사리가 어린 생이를 먹고 살더라도 말리지 않으며, 넓고 넓은 바닷가의 오막살이집에서 늙은 아비가 고기잡이를 하며 철모르는 딸과 함께 살다가 배가 뒤집혀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모르쇠를 댄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자연스럽다’라는 말처럼 매몰스럽고 정나미가 떨어지는 말도 드물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인간의 이기주의적인 생각에 지나지 않는다. 자연은 인간의 힘을 더하지 않은 채 우주 사이에 저절로 된 그대로 그냥 있는 것이 제 본성이기 때문이다.

 아무 데나 나는 풀도 이름이 없는 풀은 없다고 한다. 그러나 농부는 저마다 논밭에 심고 가꾸는 것이 아닌 것은 죄다 잡풀이라고 한다. 자기에게 필요할 때는 나물도 되고 화초도 되고 약초도 되고 목초도 되고 거름도 되고 하는 풀도 필요가 없을 때는 잡풀이 되는 것이다. 잡풀로 그치는 것만도 아니다. 논밭에 나서 서로가 살려고 작물과 경쟁을 할 때는 여지없이 농부의 원수가 되어 낫에 베이거나 호미에 뽑히거나 농약에 마르거나 하여 덧없이 죽어 가기 마련이다. 논밭의 작물은 주인의 발걸음 소리에 자란다는 말을 들을 때 잡풀의 서러움은 그 무엇에 견주어 말한대도 성에 찰 리가 없을 터이다.

 나는 장마 전에 시골집에 가서 고추밭과 집터서리에 뒤덮인 잡풀을 이틀에 걸쳐서 뽑고 베고 하였다. 장마가 지면 고추밭이 풀밭이 되고 울안의 빗물도 빠지지 않아서 나간 집이나 다름이 없어질 터이기 때문이었다. 풀을 뽑고 베는 동안에 팔과 다리에 ‘풀독’이 올랐다. 뽑히고 베일 때 성이 난 풀잎에 팔과 다리가 긁히더니 이윽고 벌겋게 부르트면서 옻이나 옴이 오른 것처럼 가렵고 따갑고 쓰라려서 안절부절못하게 된 거였다.

 약국에서는 접촉성 피부염이라면서 먹는 약과 바르는 약을 주었지만, 열흘이 지나고 보름이 지나도 가라앉지 않았다. 누구는 병원의 주사 한 방이면 직방으로 나을 텐데 미련을 떤다고 흉을 보기도 했다. 그러나 장마가 끝나도록 병원을 찾지 않았다.

 한갓 잡풀일망정 뽑히고 베일 때 왜 느낌이 없을 수 있겠는가. 느낌이 있다면 왜 가만히 있을 수 있겠는가. 자연스럽다는 것은 본디 인간의 뜻과 무관한 것이 아니었던가. 풀독은 근 달포나 되어서야 자연스럽게 가라앉았다.

 

2. 핵심 정리

• 갈래 : 현대수필
• 성격 : 사색적, 교훈적
• 제재 : 풀독이 오른 경험
• 주제 : 인간 중심적 사고에 대한 성찰과 반성
• 특징 :
 ⓵ ‘풀독’이 오른 글쓴이의 경험을 통해 인식의 변화를 드러냄.
 ⓶ 자연의 본성과 관련된 다른 사람의 말을 인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함.
 ⓷ 구체적인 예를 활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내요을 쉽게 설명함.
 ⓸ 설의적 표현을 통해 글쓴이의 태도를 드러냄.
• 구성 :
 처음 : 자연의 본성에 대해 인식함
 중간 : 풀독이 올라서 고통스러웠지만 병원을 찾지 않음
 끝 : 약을 먹지 않고 자연스럽게 풀독이 가라앉음

3. 작품 해설 1

 이 작품은 풀독이 올라 고생했던 글쓴이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인간 중심적인 사고에 대한 반성과 깨달음을 담은 수필이다. 글쓴이는 작고 쓸모 없다고 생각하는 ‘잡풀’에 대한 자신으 인식을 성찰하면서 인간 중심적인 가치관을 비판하고 있다. 글쓴이의 이러한 태도는 독자에게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혀 주고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는 문학의 인식적 기능과 관련된다. 또한 독자는 이 작품을 통해 자신의 삶과 사회에 대해 성찰하면서 바람직한 삶의 자세를 정립할 수 있다. 이는 문학의 윤리적 기능과 관련된다.

- 미래엔 문학 지도서 참고

4. 작품 해설 2

 잡풀은 필요가 없으므로 뽑고 베어 내야 한다고 생각하던 글쓴이는 풀독이 오른 경험을 한 뒤, 이기주의적, 인간 중심적 사고 방식에 대해 반성을 하고, 잡풀도 인간과 동등한 존재라는 이타주의적 깨달음을 얻게 된다.

- 미래엔 버블티 참고

5. 심화 내용 연구

1. 글쓴이가 병원을 끝내 찾지 않은 이유(미래엔 교과서)

 글쓴이는 잡풀을 억지로 뽑으려 했던 인간 중심적 생각 때문에 풀독이 올랐음을 깨닫는다. 그래서 풀독의 상처를 약이나 주사와 같은 인위적인 방법이 아니라 자연의 순리대로 치유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여 병원을 찾지 않았다.

 

2. ‘자연스럽다’의 의미(미래엔 지도서)

 ‘자연스럽다’의 사전적 의미는 ‘억지로 꾸미지 아니하며 이상함이 없다. 순리에 맞고 당연하다. 힘들이거나 애쓰지 아니하고 저절로 된 듯하다’이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는 1) 인간의 의지나 노력과 무관하며, 인위적인 조작이 개입하지 않음. 2) 자연과 인간을 비롯한 모든 존재가 근원적으로 동등함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3. ‘농부’와 ‘나’의 ‘잡풀’에 대한 관점 차이
 농부는 논밭에 심고 가꾸는 것이 아닌 것은 죄다 잡풀이라고 본다. 오직 인간에게 이로운지 해로운지만을 중심으로 어떤 상황이나 사태를 파악하는 관점, 즉 이기주의, 인간 중심 사상의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나는 한갓 잡풀일망정 뽑히고 베일 때 왜 느낌이 없을 수 없다라고 본다. 인간 중심적 사고를 벗어나 대상의 입장을 헤아려서 어떤 상황이나 사태를 파악하는 관점, 즉 이타주의, 생명 존중 사상의 관점을 보여준다.

 

6. 작가 소개

 

이문구

5·16정변 직후 박정희 군사 정권은 쿠데타를 정당화하고 민심을 붙잡기 위해 절대 빈곤의 해결 방안으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한다. 박 정권은 이에 필요한 자산과 자본을 자

100.daum.net

 

7. 엮어 읽기

- 작가의 다른 작품 : 이문구, 《관촌수필》
- 주제가 유사한 작품 : 이규보의 <슬견설>, 오봉옥의 <등불>

이문구 - 성난 풀잎.pdf
0.10MB

'문학 이야기 > 현대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파산 - 염상섭  (0) 2023.06.22
복덕방 - 이태준  (1) 2023.06.16
곡예사 - 황순원  (0) 2021.10.26
소문의 벽 - 이청준  (0) 2021.10.19
나상 - 이호철  (0) 2021.07.26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