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녀춘향수절가(烈女春香守節歌) - 작자미상

반응형
728x90

1. 전체 줄거리(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남원 부사의 아들 이몽룡은 단옷날 광한루에서 그네 뛰는 춘향의 아름다운 모습에 반하고 춘향에게 구애하여 그녀와 백년가약을 맺는다. 부친이 남원 부사의 임기가 끝나 서울로 임지를 옮기게 되자 몽룡은 부친을 따라가게 되면서 춘향과 이별하게 된다. 남원에 새로 부임한 사또는 지조를 지키고 있는 춘향에게 수청을 강요한다. 춘향은 죽을 각오로 수청을 거절하다 옥고를 치른다. 그동안 몽룡은 과거에 급제하고 전라도 암행어사가 되어 남원으로 내려온다. 변 사또의 생일잔치에 몽룡은 암행어사 출도를 외치며 춘향을 구해 내고, 춘향 모녀를 서울로 데리고 가 춘향을 정실부인으로 삼아 평생을 행복하게 산다.

 

2. 핵심 정리

• 갈래 : 판소리계 소설
• 성격 : 해학적, 풍자적, 평민적
• 주제 : 춘향과 몽룡의 계급적 신분 의식을 초월한 사랑
• 특징 :
① 판소리계 소설로서의 운문체와 산문체가 혼용됨
② 비속어, 일상적인 구어, 양반들의 한문투 등 다양한 계층의 언어를 구사함
③ 편집자적 논평이 드러남
④ 다양한 비유적 표현을 활용함

 

 

 

 

3. 작품 해설

 이 작품은 「춘향전」의 대표적인 이본(異本)으로서 19세기 후반에 완판으로 「열녀춘향수절가」를 새 표제로 하여 출판된 것이다. 이 작품은 춘향의 열녀로서의 인간상을 내세우면서도, 유교 윤리를 단순히 관습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불의에 저항하는 한 인간의 참모습을 잘 나타내고 있다. 춘향의 신분이 성 참판의 서녀로 설정되었고 춘향과 월매, 향단의 인간상이 개성적으로 부각된 점, 판소리의 명창들에 의해 다듬어져 온 판소리 사설이 잘 반영되어 광대의 재담, 삽입가요가 포함됨으로써 흥겨움과 한스러움이 적절하게 조화된 점을 특징으로 한다.

- 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4. 작품 해설

 고전 「춘향전」의 대표적 이본(異本)으로, 완판 30장본 「별춘향전(別春香傳)」이 33장본으로 확대되면서 「열녀춘향수절가」라는 새 표제가 붙게 되었다. 이 대본이 독자의 호응을 받게 되자, 다시 84장본으로 재확대하면서도 「열녀춘향수절가」라는 표제는 그대로 유지하였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상권 45장, 하권 39장으로 된 완서계서포(完西溪書舖)판을 「열녀춘향수절가」로 부르고 있다.

 선행한 「별춘향전」 계통에 비해 춘향중심으로 줄거리가 전개되기 때문에, 춘향과 월매, 향단의 기능과 인간상이 특징 있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춘향의 출생 대목이 확대되면서, 춘향의 신분이나 사회적 계층도 크게 변모되었다.

 즉, “이 때 전라도 남원부의 월매라 하는 기생이 있으되 삼남의 명기로 일찍 퇴기하여 성가라 하는 양반을 데리고 세월을 보내되……”로 서술하면서, 춘향을 남원부사인 성참판(成參判)의 후생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신재효(申在孝)의 「남창춘향가」에서 성천총의 서녀로 설정되면서 시작된 비기생계(非妓生系) 「춘향전」의 출발이 「열녀춘향수절가」에서 확실한 자리를 잡게 되었다. 현대의 「춘향전」은 대개 성참판의 서녀로 춘향의 신분을 정하고 있다. 또, 월매의 인간적 꿈이 강화되어 춘향의 이별과 고난의 슬픔은 월매의 한(恨)의 정서와 상승작용을 하면서 「춘향전」의 예술적 기능을 높이게 되었다.

 이야기의 전체적 흐름에 나타난 변모는 춘향을 성참판의 서녀로 설정했기 때문에 광한루에서 춘향과 도령이 만날 때 자유연애적 분위기가 지배적이라는 점이다. 즉, 춘향은 스스로를 기생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도령이 광한루에서 불러도 이를 거역한다. 이로 인해 도령은 춘향에 대한 호기심이 더욱 자극되고, 춘향집을 찾은 도령도 춘향을 여염가에서 성장한 규수로 인정해주려고 한다.

 이에 반하여, 변부사는 춘향을 기생의 딸이므로 기생일 수밖에 없다는 일반 논리로 인식하기 때문에 춘향이 보여준 도령과 변부사에 대한 태도는 분열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은 기생 춘향과 기생 아닌 춘향의 갈등이 「열녀춘향수절가」에서 더욱 고조되게 된 원인이다. 또한 이러한 점이 이본다운 특징으로 부각되었기 때문에 「열녀춘향수절가」가 최고의 인기를 누릴 수 있었다.

 부분적으로는 춘향과 도령이 광한루에서 만난 날이 오월 단오일이고, 이별시에 서로 신물(信物)을 받는 장면이 없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신관이 서울 자하골 변학도이고, 도령은 왕의 제수(除授)에 의해 전라어사로 내려가게 되는 점 등도 특징적이다.

 이 「춘향전」은 순조·헌종·고종의 삼대에 걸친 판소리 전성시대의 여러 명창들에 의해 다듬어진 판소리 사설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광대의 재담을 비롯한 풍부한 삽입가요가 흥겨운 분위기와 한스러운 분위기를 적절하게 조화시키게 되었다. 또, 표면적으로는 춘향의 열녀로서의 인간상을 내세우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단순한 유교윤리의 관습적 수용만이 아닌 불의에 저항하는 살아 있는 인간의 참모습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춘향의 사랑과 고난과 그 보상이라는 전통 「춘향전」의 의미를 최대한 수용하면서도, 당시의 시대감각에 어울리는 새 문체를 발전시킨 점이 「열녀춘향수절가」가 「춘향전」의 예술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 공로로 평가된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

5. 심화 내용 연구

1. ‘춘향전’의 근원 설화

* 염정 설화 : 양반 자제와 기생의 사랑 이야기 (예) 성세창 설화
* 열녀 설화 : 여자가 고난과 시련을 이겨 내고 정절을 지킨 이야기 (예) 지리산녀 설화
* 관탈 민녀 설화 : 임금이나 관리가 평민의 여자를 빼앗는 이야기 (예) 도미 설화, 우렁 각시 설화
* 신원 설화 : 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의 원한을 풀어 주는 이야기 (예) 남원 추녀 설화, 박색녀 설화, 아랑의 전설
* 암행어사 설화 : 암행어사가 권력자나 부자의 횡포를 징벌하고 약자의 한을 풀어 주는 이야기 (예) 박문수 설화, 성이성 설화, 노진 설화

2. ‘춘향’의 양면성(수능특강 사용설명사 참고)

 작품 속에서 ‘춘향’은 양면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우선 ‘관능적이며 당돌’하다. 치맛자락을 펄럭이며 그네를 탄다거나 양반이 몽룡의 전갈을 가지고 온 방자에게 비속어를 사용하여 거절하는 모습에서 자유분방한 기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면에 ‘조신하고 순종적’인 모습도 보인다. 이몽룡 앞에서 수줍어하며 얌전한 자세로 단정하게 앉아 있는 모습에서 사대부가의 아녀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3. 작품의 이중적 주제 의식과 독자층별 수용 양상(수능특강 사용설명사 참고)

 이 작품의 표면적 주제는 충(忠)과 열(烈)의 유교적 봉건 윤리의 이념을 추구하고 여성의 굳은 정절을 드러내고 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제는 당시 주로 양반 계층의 공감과 그들의 대리 만족을 불러온다.

 하지만 이면적으로 살펴볼 때 신분적 한계를 극복한 남녀 간의 자유로운 사랑이나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저항, 신분 상승의 욕망을 주제로도 볼 수 있다. 이는 주로 당시 서민 계층의 공감과 그들의 대리 만족을 불러온다.

 판소리계 소설들은 오랜 세월에 걸쳐 많은 사람들에 의해 개작된 적층 문학의 성격을 갖고 있고, 개작의 과정에서 다양한 계층의 욕망이 반영되기 때문에 이렇듯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와 이면적으로 드러나는 주제라는 이중적 주제 의식을 갖는다.

 

4. ‘춘향전’의 이본과 그 특징(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춘향전은 이본이 120여 종에 이른다. 이본에 따라 형태는 물론 작품의 제목을 달리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단일 작품이 아닌 작품군으로 보는 것이 더 합당하다. 각 이본들은 ‘만화본춘향가’와 같이 한시로 된 것에서부터 판소리나 창극의 대본, ‘남원고사’와 같은 고전 소설, ‘옥중화’와 같은 신소설 등 다양한 장르와 형태에 걸쳐 있다. 소설 형태의 경우 경판본, 완판본, 안성판본 등의 방각본과 필사본으로 전한다. 경판본 ‘남원고사’는 문장체 소설에 가깝고, 춘향의 신분이 기생으로 나타나 남성 중심주의 유교 이념에 충실한 것에 반하여 완판본 계열의 ‘열녀춘향수절가’는 판소리 사설에 가까우며, 춘향이 양반가 성 참판의 서녀라는 사실이 강조되며 적극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등장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5. ‘춘향전’의 배경 사상

 ‘춘향전’은 양반과 기생이라는 신분을 초월한 사랑을 바탕으로, 이들의 사랑을 방해하는 탐관오리 변학도의 횡포가 갈등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갈등과 해결의 과정 속에 반영된 여러 사상들이 있다.

 • 열녀불경이부(烈女不更二夫) 사상: 춘향의 지조와 정절
 • 인간 평등 사상: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한 계급 타파 의식
 • 자유 연애 사상: 봉건 사회의 도덕률을 파괴한 남녀 간의 자유 의지에 의한 만남
 • 사회 개혁 사상: 탐관오리의 횡포에 대한 징계

 

열녀춘향수절가 - 작자미상.pdf
0.11MB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