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느티나무 - 강신재

반응형
728x90

 

 

젊은 느티나무 - 강신재

줄거리

현규 오빠. 그러나 (숙희)’는 그를 오빠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 호칭은 부조리의 상징이므로. 그에게서는 늘 비누 냄새가 난다. 그리고 에게 가장 슬프고 괴로운 시간이 다가온 것을 깨닫는다.

는 젊고 아름다운 어머니와 함께 시골 외할아버지 댁에서 살았다.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없다. 어느 날, 어머니를 찾아온 서울 모 대학 교수(무슈 리)와 어머니가 재혼한 후 도 서울로 와 살게 되고, 그 곳에서 새아버지의 아들, 곧 이복오빠가 되는 대학생 현규를 만난다. 그는 생소하고 어색해하는 를 너그럽고 친절하게 대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는 차차 오누이 아닌 오누이의 관계에서, 현규를 오빠가 아닌 이성으로 느끼며 그를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그것은 모두의 파멸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우리사이가 혈육이 아닌, 단지 스물두 살의 청년과 열여덟 살의 소녀일 뿐이라는 사실을 부정해야만 하는 현실에 고뇌한다. 그러던 중 와 지수 사이를 오해하여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내 뺨을 때리는 현규에게서 는 오히려 에 대한 현규의 사랑을 확인하면서 기쁨을 느낀다.

둘은 행복감과 고뇌를 동시에 안은 채 오누이 관계에서 연인 관계로 깊어 간다. 어두운 밤, 숲 속에서 는 그에게 안겨 버린다. 그러나 엄마마저 무슈 리를 따라 미국으로 가게 되어 현규와 둘이서 집에 있게 될 상황에 놓이자 운명적 사건을 예감한 는 고민 끝에 서울을 떠나 시골로 간다. 그 곳에서 아픔의 나날을 보내고 있던 어느 날, 현규가 찾아와 진실된 감정을 지닌 채 서로를 더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서 미래를 기약하는 마음으로 각자 현재의 길을 걷자고 약속한다. ‘는 젊은 느티나무를 안고 울면서 웃고 있었다.

 

요점 정리

성격 : 낭만적

문체 : 간결체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배경 : 시간적 - 1950년대 후반 공간적 - 서울에서 떨어진 S촌과 느티나무가 있는 시골

구성

발단 : ‘는 어머니의 재혼으로 인해 이복 오빠인 현규를 만나게 된다.

전개 : ‘는 현규를 이성으로 느끼며 사랑의 감정을 갖기 시작한다.

위기 : 현규 친구로부터 에게 온 연애 편지에 대해 현규가 질투하는 모습을 보인다.

절정 : 괴로운 마음을 안고 시골로 간 에게 현규가 찾아온다

결말 :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고 먼 훗날을 약속하며 각자 현재의 길을 가기로 다짐한다.

등장인물

숙희 : 18세 여고생. 이복오빠 현규를 사랑. 이룰 수 없는 사랑으로 고뇌하지만, 진정한 연애의 기쁨에 젖기도 한다. 발랄하며 매우 감성적이다.

현규 : 22세 대학생. 이복동생 숙희를 이성으로 느끼며 사랑에 빠져 고민하나 순수한 감정을 유지한다. 지적이며 합리적이다.

엄마 : 젊어서 남편과 사별하고 지난날 혼담이 있었던 무슈 리와 재혼한다. 다소곳한 가정 주부.

무슈 리 : 현규의 아버지이자 숙희의 새아버지. 성격이 유하고 과묵한 사립 대학 경제학 교수

지수 : 현규의 친구이며 장관의 아들. 숙희를 좋아하여 연애 편지를 보낸 일로 현규의 질투심을 불러일 으킨다.

주제 : 현실의 굴레를 극복학고 순수한 사랑을 성취하는 젊은 남녀의 아름다운 모습

 

 

이해와 감상

1960<사상계>에 발표. 강신재 특유의 섬세한 여성적 필치가 돋보이는 낭만적 소설이다. 금지된 사랑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그 정서는 한없이 신선하고 아름답게 다가온다. 전처 소생의 아들과 후처가 데리고 온 딸, 그들 사이엔 아무런 혈연도 없다. 그렇다고 해서 남들처럼 평범한 사랑을 나눌 수도 없는 사이. 여기서 이들 남녀의 견디기 힘든 고뇌와 번민이 시작된다.

, 이 작품의 기본 골격은 만남떠남’, 그리고 만남의 가능성으로 요약된다. 열여덟 살의 민감한 감수성을 지닌 숙희는 이복 오빠로 만난 현규에게서 비누 냄새처럼 상큼하고 순수한 사랑의 감정을 느끼지만, 그것은 사회적으로 금지된 사랑이기에 그의 곁을 떠난다. 현규가 숙희를 찾아가서 이들은 또 만나지만, 자신들의 사랑을 지속시키기 위해 다시 떠날 것을 약속한다. 그것은 또 다른 만남을 위한 떠남이며 그래서 기쁨을 품은 슬픈 약속인 것이다. 젊은 느티나무는 두 연인의 약속을 듣는 중인이 되며, 꿈을 잃지 않는 젊음을 상징한다.

이 작품은 사회 규범상 용납할 수 없는 사랑에 빠진 청춘 남녀의 갈등을 윤리적 차원에서 해결하려기 보다는 인물들이 그러한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해소해 가는가에 초점을 두고, 사회 규범을 초월하는 사랑의 순수성을 보여 주고 있다. 끝까지 맑고 청순한 사랑의 감정을 깨뜨리지 않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현실의 아픔을 현명하게 받아들이는 숙희와 현규의 의지가 감동을 준다.

이 작품의 구심점은 오빠인 현구를 사랑하면서도 괴로워 하는 의 내면 세계라 할 수 있다. ‘나는 책상 앞에 돌아 앉아서 꼼짝도 하지 않고 있더라도라는 부분은 구심적(求心的)인 또는 내향적(內向的)인 자기 자신에 대한 반작용(反作用)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윤리 의식에서 오는 심각한 고민 같은 것이 없다. 그는 선()보다는 미()를 우위에 놓는 작가이다. ‘그에서는 언제나 비누 냄새가 난다는 말로써 시작되는 이 작품은 그런 사소한 감각적인 이미지를 통하여 한 인물을 부각(浮刻)시키는 그의 기법(技法)이 가장 잘 드러난 단편 중의 하나이다.

 

보충 학습

1. ‘젊은 느티나무가 무엇을 상징하고 있는 것인가?

바람 앞에 굳건히 서 있는 느티나무는 사회적 통념에 굴하지 않는 젊은 남녀의 순수한 사랑을 상징한다. 숙희가 시골에서 자주 찾는 느티나무는 자연의 생명력과 젊음의 열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2. 이 작품에서 공간 배경인 서울 S촌과 시골 할머니 댁이 암시하는 것은 무엇인가?

서울 S촌은 사랑과 갈등의 공간이고 시골 할머니댁은 도피의 공간이자, 희망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3. 현규에게 나는 비누 냄새가 숙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그에게서는 언제나 비누 냄새가 난다.’는 표현에는 숙희의 민감한 감수성이 잘 드러난다. 이 냄새는 실제로 맡을 수도 있지만 가슴 속에서만 느끼는 것일 수도 있다. 나는 그를 비누 향기와 같은 아련한 존재로 여기면서 첫사랑의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이복 남매라는 운명을 떠올린다. 따라서 비누 냄새는 숙희의 사랑의 아픔을 대변해 주고 있다.

 

4. 이 작품 중, “그래, 숙희, 그 나무를 놓지 말어. 놓지 말고 내 말을 들어.”에 나타난 현규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젊은 느티나무를 꼭 붙들라는 현규의 당부는 자신들의 진실을 놓치지 말자는 다짐을 나타낸다.

 

 

 

상세보기

'문학 이야기 > 현대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 이야기 - 채만식  (0) 2014.04.22
잔인한 도시 - 이청준  (0) 2014.04.18
꺼삐딴 리 - 전광용  (0) 2014.04.18
불신시대 - 박경리  (0) 2014.04.17
역사(力士) - 김승옥  (0) 2014.04.17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