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 2014학년도 논술우수자 전형 기출문제
2014학년도 경희대학교 논술 우수자 전형 기출문제입니다.
- 논술 기출문제
- · 2014. 4. 15.
교목(喬木) - 이육사(2007 기출)푸른 하늘에 닿을 듯이 (직유법)이상과 염원의 세계세월에 불타고 우뚝 남아 서서 (의인법)혹독한 현실 굳은 의지, 상승 이미지차리리 봄도 꽃피진 말아라.부정 명령형(강한 의지 표명)- 1연 어떤 시련이나 고난에도 굽히지 않겠다는 의지와 신념낡은 거미집 휘두르고암담한 현실끝없는 꿈길에 혼자 설레이는자유와 독립의 길, 투쟁의 길마음은 아예 뉘우침 아니라.자신이 선택한 길을 후회하지 않겠다는 다짐과 결의- 2연 암담한 현실에 굴하지 않고 이상을 추구하겠다는 삶의 의지를 다짐검은 그림자 쓸쓸하면,암울한 시대 상황마침내 호수(湖水) 속 깊이 거꾸러져죽음의 이미지 하강 이미지=죽음의 결의차마 바람도 흔들진 못해라.‘바람’이라는 탄압에도 흔들지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 3연 죽음마..
잔인한 도시 - 이청준줄거리어처구니없는 이유로 첫 번째 감옥살이를 한 후로 덫에 걸린 사람처럼 감옥을 드나들었던 늙은 사내. 12년간의 교도소 생활을 막 풀려나온다. 교도소 근처 공원 입구에 ‘방생의 집’이라는 작은 가게가 있다. 문자 그대로 출소의 기쁨을 느끼는 곳이다. 거기서 젊은 사내가 새장 속에 든 새를 판다. 사내는 비상하는 새의 모습을 감동 어린 눈으로 지켜 본다. 사내는 새 장수에게 다가가지만 호주머니를 만지작거리며 망설이기만 한다.사내는 아들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효성 지극한 아들이 아버지의 출감 날짜에 맞춰 마중나올 터이나 아마도 편지가 늦게 도착한 모양이라고 생각한다.사내는 그 날 밤을 공원 숲에서 보낸다. 다음 날, 공원 모래밭에 떨어진 동전들을 모아 새를 사서 날린다. 자신과 감..
꺼삐딴 리 - 전광용 줄거리 이인국 박사는 종합 병원을 운영하는 외과 전문의다. 병원은 매우 정결하지만, 치료비가 다른 병원보다 갑절이나 비싸다. 그는 양면 진단(병의 증세보다 경제적 능력을 판단)을 통해 철저히 부를 추구한다. 또한, 경력을 화려하게 할 셈으로 도미할 계획도 세운다. 어느 가을 날, 미 대사관의 브라운과 만날 시간을 맞추려고 회중시계를 꺼내 보다가 30년 전 과거를 회상한다. 그는 일제 강점기 시대 제국 대학을 졸업할 때, 회중시계를 부상으로 받는다. 잠꼬대도 일본어로 할 정도로 완전한 황국 신민으로 동화되어 철저히 일본인으로 살아왔다. ‘國語常用(국어상용)의 家(가)’란 액자도 받았다. 광복 후의 격변기 북한에서 그는 소련군 점령하에 민족 반역자로 낙인찍혀 감옥 생활을 하게 된다. 여..
새 - 박남수 1 하늘에 깔아 논 바람의 여울터에서나 ↳ 자연의 세계, 바람이 불어 지나가는 곳 속삭이듯 서걱이는 나무의 그늘에서나, 새는 노래한다. ↳ 의도나 가식 없는 자연 그대로의 순수 상징. 생명. 그것이 노래인 줄도 모르면서 ↳ 생명, 사랑, 순수의 노래 새는 그것이 사랑인 줄도 모르면서 두 놈이 부리를 서로의 죽지에 파묻고 따스한 체온을 나누어 가진다. ↳ 사랑, 노래 - 순수하고 아름다운 사랑, 노래 2 새는 울어 뜻을 만들지 않고 ↳ 가식, 인위성 지어서 교태(嬌態)로 ↳ 가식으로 사랑을 가식(假飾)하지 않는다. - 의미를 붙이거나 가식하지 않는 새의 사랑, 순수성 3 ―포수는 한 덩이 납으로 비정함, 물질 문명, 잔혹성 ↳ 인간, 새와 대립되는 이미지, 파괴자 그 순수(純粹)를 겨냥하지만..
불신시대 - 박경리 줄거리 한국 동란 와중에 남편과 사별한 진영은 한 점 혈육인 아들 문수마저 엑스레이도 찍지 않고 약도 준비하지 않은 의사의 무관심 때문에 잃어버리고 만다. 아들 문수의 죽음이 가져온 충격은 그녀로 하여금 사회를 불신하게 만든다. 진영의 눈에 비친 사회는 정상이 아니다. 폐결핵인 진영이 찾아간 병원은 한결같이 엉터리였다. Y병원은 주사약의 분량을 속였고 S병원은 건달꾼이 의사 노릇을 하였고 H병원은 빈 외제 약병을 내다 팔았다. 거리에는 가짜 주사약이 난무하고 있었다. 집에 찾아온 여승은 시주로 받아 온 쌀을 팔려고 했고, 문수의 명복을 빌기 위해 찾은 절은 돈이 많고 적음에 따라 대접을 달리하는 타락한 곳이었다. 신앙이 깊어 의지하려 했던 갈월동 아주머니에게 돈을 떼이게 되는 사건, ..
나의 하나님 - 김춘수 나의 하나님 사랑하는 나의 하나님, 당신은 늙은 비애(悲哀)다. ↳ 어두움, 애처로움을 의미 푸줏간에 걸린 커다란 살점이다. ↳ 삶의 처절함, 희생물을 의미 시인(詩人) 릴케가 만난 슬라브 여자(女子)의 마음속에 갈앉은 놋쇠 항아리다. ↳ 묵중함, 무거움을 의미 손바닥에 못을 박아 죽일 수도 없고 죽지도 않는 사랑하는 나의 하나님, 당신은 또 대낮에도 옷을 벗는 여리디 여린 순결(純潔)이다. ↳ 하나님의 순결함을 의미 삼월(三月)에 젊은 느릅나무 잎새에서 이는 연둣빛 바람이다. ↳ 하나님의 청신함을 의미‣ 요점 정리 성격 : 주지적, 관념적, 비유적, 이미지적 표현 : 은유법 제재 : 하나님의 의미 주제 : 새로이 발견한 하나님의 의미 ‣ 이해와 감상 이 시는 ‘나의 하나님’이라는..
역사(力士) - 김승옥 줄거리 ‘나’(외부 이야기의 화자)는 공원에서 한 젊은이의 이야기를 듣는다. ‘나’(내부 이야기의 화자)는 서울로 유학 와서 희곡을 공부하는 대학생이다. 창신동 빈민가에 살던 ‘나’는 깨끗한 양옥집으로 하숙을 옮기게 된다. 처음에 ‘나’는 매우 낯설어 어리둥절해 한다. 새로 이사 온 이 집은 가풍을 중시하여 조그만 행동도 ‘규칙적인 생활 제일주의’에 따라야 하기 때문에 창신동과는 여러모로 비교가 된다. 창신동 사람들(한 부녀와 영자라는 창녀, 그리고 막노동자 서씨)과 이 집의 사람들은 ‘측량할 길 없는 간격’을 지니고 있다. 며느리에게도 피아노 연습을 시키는 이 집 할아버지와 창신동 하숙집에서 매일같이 딸에게 매질을 퍼붓는 절름발이 사내 사이의 거리는 메워질 수 없다. ‘나’는 창..
어머니의 물감상자 - 강우식 어머니는 시장에서 물감 장사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어머니는 물감 장사를 한 것이 아닙니다. 세상의 온갖 색깔이 다 모여 있는 물감 상자를 앞에 놓고 진달래꽃빛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진달래꽃물을, 연초록 잎새들처럼 가슴에 싱그러운 그리움을 담고 싶은 이들에게는 초록꽃물을, 시집갈 나이의 처녀들에게는 족두리 모양의 노란 국화꽃물을 꿈을 나눠 주듯이 물감 봉지에 싸서 주었습니다. 눈빛처럼 흰 맑고 고운 마음씨도 곁들여 주었습니다. 어머니는 해종일 물감 장사를 하다 보면 콧물마저도 무지갯빛이 되는 많은 날들을 세상에서 제일 예쁜 색동저고리 입히는 마음으로 나를 키우기 위해 물감 장사를 하였습니다. 이제 어머니는 이 지상에 아니 계십니다. 물감 상자 속의 물감들이 놓아 주는 가장 아..
젊은 느티나무 - 강신재 줄거리 현규 오빠. 그러나 ‘나(숙희)’는 그를 오빠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 호칭은 부조리의 상징이므로. 그에게서는 늘 비누 냄새가 난다. 그리고 ‘나’에게 가장 슬프고 괴로운 시간이 다가온 것을 깨닫는다. ‘나’는 젊고 아름다운 어머니와 함께 시골 외할아버지 댁에서 살았다.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없다. 어느 날, 어머니를 찾아온 서울 모 대학 교수(무슈 리)와 어머니가 재혼한 후 ‘나’도 서울로 와 살게 되고, 그 곳에서 새아버지의 아들, 곧 이복오빠가 되는 대학생 현규를 만난다. 그는 생소하고 어색해하는 ‘나’를 너그럽고 친절하게 대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나’는 차차 오누이 아닌 오누이의 관계에서, 현규를 오빠가 아닌 이성으로 느끼며 그를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
시의 본질 시의 정의 : 시란 작자의 사상(생각)과 정서(느낌)와 상상력을 발휘하여 운율이 직접 느껴지는 말로 함축하여 표현한 운문문학의 한 갈래이다. * 시의 다양한 정의 ① 시는 시인의 사상과 정서를 운율적인 언어로 압축하여 표현한 언어 예술이다. ② 시 삼백 편은 한 마디로 말한다면, 생각함에 사악함이 없는 것이다.(공자) ③ 시는 뜻을 말로 나타낸 것이다.(서경) ④ 시는 강한 감정의 자발적 발로(發露)이다.(W. Wordsworth) ⑤ 시는 율어(律語)에 의한 모방(模倣)이다.(Aristoteles) ⑥ 시는 미(美)의 운율적 창조이다.(E. A. Poe) 시의 특성 운율성 : 시는 음악성과 리듬이 있는 대표적인 언어 예술이다. 정서성 : 시는 시인의 예술적 정서를 표현한 문학이다. 암시성 :..
이화우(梨花雨 )흣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離別)한 님추풍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생각난가천리(千里)에 외로온 꿈만 오락가락하노매 배꽃이 흩날리던 때에 손 잡고 울며 불며 헤어진 임가을 바람에 낙엽 지는 것을 보며 나를 생각하여 주실까?천 리 길 머나먼 곳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는구나. ‣ 요점 정리 작가 : 계랑(桂娘) 연대 : 조선 전기 갈래 : 평시조, 연정가, 이별가 성격 : 감상적, 애상적, 여성적 편향, 표현 : 은유법 제재 : 이별과 그리움 주제 : 임을 그리는 마음 출전 : 청구영언(靑丘永言) ‣ 이해와 감상 임과 헤어진 뒤의 시간적 거리감과 임과 멀리 떨어져 있다는 공간적 거리감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작품으로 초장은 봄바람에 배꽃이 떨어지듯 이별한 임에 대해 직설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2014학년도 경희대학교 논술 우수자 전형 기출문제입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