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점 정리작자 : 어느 소끄는 노인(견우노옹)시대 : 신라 성덕왕 때갈래 : 4구체 민요적 향가성격 : 연가적, 찬미적, 서정적표현 : 가정법, 상징법, 도치법제재 : 꽃을 바침주제 : 꽃을 꺾어 바치는 사랑의 노래(헌화), 나이와 신분의 차이를 넘어선 연정의의 : ① 배경 설화의 등장 인물(수로부인)이 고대가요 ‘해가’와 같음 ② 민요가 정착된 향가 ③ 적극적 애정 표현이 나타난 향가 ‣ 이해와 감상 이 노래는 민요 형식을 본받은 4구로 된 서정적 향가로, 소를 몰고 가던 노인이 수로 부인에게 철쭉꽃을 꺾어 바치면서 불렀다는 노래이다. 배경설화와 함께 『삼국유사』에 노랫말이 향찰로 표기되어 전하고 있는데, 아름다운 여인에게 꽃을 바치는 노인의 심정이 붉은 바위의 색깔 이미지에 조응되어 선명하게 묘사..
‣ 요점 정리작자 : 황진이(黃眞伊)갈래 : 평시조성격 : 감상적, 애상적, 여성적 편향, 연정가, 이별가표현 : 도치법. 영탄법특징 : 중의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정서가 드러남 우리말의 절묘한 구사를 통해 정서를 섬세하게 드러냄제재 : 임을 보내고 그리워하는 정주제 :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출천 : ‣ 지상 강의 자존심과 연정의 사이에서 겪는 오묘한 심리적 갈등이 우리말로 절묘하게 표현된 작품으로 임을 떠나 보낸 후의 회한(悔恨)을 진솔하게 나타내고 있는데, 애틋한 심리를 섬세하게 포착하여 정결하게 표현하였다. 겉으로는 강한 척하지만 속으로는 외롭고 약한 서정적 자아의 마음이 깊은 공감을 불러 일으킨다. 황진이의 시조는 기녀(妓女)들의 시조가 애정을 노래함으로써 시조의 영역이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
승무(僧舞) - 조지훈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빈 대(臺)에 황촉(黃燭)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오동(梧桐)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히 접어 올린 외씨보선이여! 까만 눈동자 살포시 들어 먼 하늘 한 개 별빛에 모두오고, 복사꽃 고운 뺨에 아롱질 듯 두 방울이야 세사(世事)에 시달려도 번뇌(煩惱)는 별빛이라. 휘어져 감기우고 다시 접어 뻗는 손이 깊은 마음 속 거룩한 합장(合掌)인 양하고 이 밤사 귀또리도 지새우는 삼경(三更)인데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요점 정리 성격 : 전통적, 주정적, 선적(禪的), ..
향수 - 정지용넓은 벌 동쪽 끝으로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얼룩백이 황소가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가면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짚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파아란 하늘빛이 그리워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러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 물결 같은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사철 발 벗은 아내가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하늘에는 성근 별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
1. 본문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황금의 꽃같이 굳고 빛나던 옛 맹서는 차디찬 티끌이 되어서 한숨의 미풍에 날아갔습니다.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은 나의 운명의 지침을 돌려놓고, 뒷걸음쳐서 사라졌습니다. 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멀었습니다. 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 때에 미리 떠날 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이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그러나 이별을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을 만들고 마는 것을 스스로 사랑을 깨치는 것인 줄 아는 까닭에, 걷잡을 수 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서 새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어부..
민족의 죄인 - 채만식줄거리 1946년 4월, ‘나’는 김군이 주간(主幹)하는 잡지사인 P사에 들렀다가 윤군으로부터 대일 협력에 관한 치욕스런 조롱과 비판을 당한다. 그리고 보름 동안 두문불출, 마음의 병을 앓는다. 그리고 ‘나’의 과오를 회상하며 정리한다. ‘나’가 대일 협력의 첫걸음을 디딘 것은 1943년 2월, 황해도 강연이었다. 미영(美英) 격멸 국민총궐기대회에 가서 미영에 대한 적개심을 고취시키고 황군(皇軍)의 승리를 주장하는 내용이었다. 그 이후 다섯 차례나 더 강연에 참가했는데 청중 가운데 그 누구도 ‘개수작 집어치워라’하고 고함치는 자가 없었다. ‘나’ 역시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용렬하게 협력하고 있지만, 청중 가운데 젊은이도 많건만 ‘나’의 강연에 대한 반감과 반발이 없다는 게 가슴 아팠..
이 작품은 2014학년도 EBS 국어영역 N제 A형과 B형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입니다.EBS N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계 교재입니다. 논이야기 - 채만식줄거리 일인(日人)들이 온갖 재산을 그대로 내어놓고 달아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한 생원은 어깨가 우쭐하였다. 일인(日人)에게 팔아 넘긴 땅이 꿈결같이 도로 자기의 것이 된다니 이렇게 세상에 신기한 도리라고는 없었기 때문이다. 한 생원네는 아버지의 부지런함으로 장만한 열 서너 마지기와 일곱 마지기의 두 자리 논이 있었다. 그런데 피와 땀이 어린 그 논을 겨우 오 년만에 고을 원[郡守]에게 빼앗겨 버렸다. 동학(東學)의 잔당에 가담하였다는 누명을 씌워서 말이다. 잡혀 간 지 사흘만에 열 서너 마지기의 논을 바치고야 풀려났다. 일제 강점 바로 이듬해, 한..
소설의 인물 소설은 작품 속에서의 인물과 그 인물의 성격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인물(character)이란 용어는 본시 영어에서는 인물과 성격의 두 가지 뜻으로 사용했다. 소설의 구성 요소 중에서 인물 설정이 가장 중요한 까닭은, 소설의 궁극적 대상은 인물을 통한 인간성의 탐구와 인간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설의 인물은 소설 속에서 사건을 일으키는 주체로 성격이라는 내면적 속성까지도 포함된 개념이다. 우리는 소설 속의 인물들을 살아 있는 인물로 느끼고 또 그러한 인물들을 통해서 실제로 인간적인 상황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로 생각한다. 이러한 소설 속에서의 인물의 유형을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1) 인물의 유형 - 인물의 유형은 작품 내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소설의 인물 제시 방법 소설에서 인물의 성격을 제시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직접적인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간접적인 방법이다. 우선 전자를 해설적 또는 분석적 방법이라고도 부르며, 후자를 극적 방법이라고도 부른다. (1) 직접 제시 방법 - 말하기(Telling) 이 방법은 서술자가 직접적으로 인물의 특성을 요약하며 소개하는 방법으로 등장인물에 대한 요약과 설명은 물론 심리 분석과 타인물의 보고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장점등장 인물의 심리를 상세하게 분석하여 명백히 설명해 준다는 점독자는 그 설명과 논평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만 하면 된다는 점이 방법은 비교적 쉽게 작중 인물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단점독자의 상상력의 참여를 방해하고 추상성에 빠지기 쉽다.비설화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소설의 시점(Point of View) 시점(視點)은 어떤 서술자가 어떠한 위치에서 사건을 보고 기술하느냐 하는 ‘화자(話者)와 사건과의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흔히 서술의 초점이라고도 한다. 즉, 소설의 진행 양상(인물의 성격이나 행위 등)이 어떤 서술자의 눈을 통해 보여지는가 하는 관찰자의 위치와 각도(즉, 화자의 시각)를 말한다. 시점은 같은 내용의 이야기를 다른 구조로 바꾸어 놓는 기능이다. 한 작품에 단 하나의 시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시점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인물, 사건, 성격의 내적분석인물, 사건, 성격의 외적분석화자가 소설의등장인물주인공이 자신의 이야기를 함(1인칭 주인공 시점)부인물이 등장인물의 이야기를 함(1인칭 관찰자 시점)화자가 소설의등장인물이 아님분석적, 전..
소설의 본질 (1) 소설의 정의(定議) 소설에 대한 여러 정의 - 시정(市井)의 이야기나 연애, 모험 이야기 : 소설은 독자에게 기쁨과 교훈을 주기 위해 기교적으 로 쓴 연애, 모험담의 픽션(fiction)이다. - Abbe Wet - 인생의 해석 : 소설은 인생의 해석이다. - W. H. 허드슨 - 인생의 축도 : 소설은 실생활의 반영이요, 그림자요, 축도(縮圖)다 - 솔로호프 - 허구의 세계 : 소설은 적당한 길이의 산문으로 된 가공적인 이야기이다. - E. M. 포스터 현실에서 있음직한 일을 바탕으로 작가가 상상하여 꾸며낸 이야기로, 독자에게 감동을 주고, 인생의 진실을 표현하는 산문 문학의 대표적 갈래이다. 즉, 소설은 이야기이며 꾸며서 만든 것이고 현실이나 인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따라서 “..
소설의 배경 배경은 소설 속에 존재하는 자연이나 사회 현실 등 공간적인 요소는 물론 시간적, 사상적인 요소를 포괄한다. 배경은 인물과 사건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배경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배경은 단순히 장면의 제시만이 아니라 인물의 성격을 구체화하고 그들의 행위에 리얼리티를 부여하기 때문에 작가들은 배경을 설정할 때는 작품의 전체적인 요소들과 잘 어울리는지 고려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은 주로 묘사에 의해 이루어지며 배경 묘사는 인물의 심리와 감정, 혹은 분위기를 구현하도록 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인물과 배경이 통일된 데서 주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1) 배경의 종류 1)공간적 배경 : 사건이 일어나고 등장인물이 활동하는 장소를..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