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유 상서(劉尙書)가 역마를 타고 서울로 올라오다가 서주 땅을 지나가게 되었다. 상서는 교 씨의 일을 알아보려고 일부러 며칠 동안 그곳에서 머물렀다. 그리고 하인 여러 명을 주막으로 보냈다. 곧 ‘교 씨가 냉진을 따라갔다가 냉진이 죽은 후 창기(娼妓)가 되어 그곳까지 온 실상’을 자세히 알아보게 하였다. 이윽고 상서는 매파(媒婆)를 불러 많은 상금을 하사하고 그녀에게 일렀다. “조칠랑을 만나 이러이러하게 이야기하거라.” 매파는 즉시 떠나 교 씨를 만났다. “지금 예부 최 상서(崔尙書)께서 천자의 부름을 받고 서울로 올라가시는 길이라네. 이곳을 지나가다가 칠랑의 명성을 듣고 그대를 취하여 소실(小室)로 삼았으면 하시네. 상서는 당조(當朝)의 이름난 재상이지. 연세는 마흔이 채 되지 않았으며 집안도 ..
■ 본문 술법 높은 학대사는 괴이한 꾀 나는지라, 동자 시켜 짚 한 단을 끌어내어 허수아비 만들어 놓고 보니 영락없는 옹고집의 불측한 상이렷다. 부적을 써 붙이니 이놈의 화상, 말대가리 주걱턱에 어디로 보나 영락없는 옹가였다. 허수아비 거드럭거드럭 옹가집을 찾아가서 사랑문 드르륵 열며 분부할 제, "늙은 종 돌쇠야, 젊은 종 몽치, 깡쇠야, 어찌 그리 게으르고 방자하냐? 말 콩 주고 여물 썰어라! 춘단이는 바삐 나와 발 쓸어라." 하며 태연히 앉았으니, 이리 보나 저리 보나 분명한 옹좌수였다. 이 때 실옹(實擁哥)가 들어서며 하는 말이, "어떠한 손이 왔기로 이렇듯 사랑채가 소란하냐?" 허옹가(虛擁哥)가 이 말 듣고 나앉으며, "그대 어쩐 사람이기로 예 없이 남의 집에 들어와 주인인 체하느뇨?" 실옹가 ..
■ 본문 허생은 묵적골〔墨積洞〕에 살았다. 곧장 남산(南山) 밑에 닿으면, 우물 위에 오래된 은행나무가 서 있고, 은행나무를 향하여 사립문이 열렸는데, 두어 칸 초가는 비바람을 막지 못할 정도였다. 그러나 허생은 글 읽기만 좋아하고, 그의 처가 남의 바느질품을 팔아서 입에 풀칠을 했다.▶가난하면서도 실생활을 등한시하는 허생 하루는 그 처가 몹시 배가 고파서 울음 섞인 소리로 말했다. “당신은 평생 과거(科擧)를 보지 않으니, 글을 읽어 무엇합니까?” 허생은 웃으며 대답했다. “나는 아직 독서를 익숙히 하지 못하였소.” / “그럼 장인바치 일이라도 못 하시나요?” / “장인바치 일은 본래 배우지 않은 걸 어떻게 하겠소?” / “그럼 장사는 못하시나요?” / “장사는 밑천이 없는 걸 어떻게 하겠소?” / 처..
■ 본문 하루는 막 씨가 일만 가지 시름을 띠고 앉아 있었는데, 갑자기 한바탕 음산한 바람이 일어나며 초막 밖에 한 사람이 서 있었다. 자세히 보니 이 사람은 곧 삼랑이었다. 막 씨가 놀라서 묻기를,“그대가 나를 버리고 나간 지 거의 수십 년이라. 간 곳을 몰라 의심하고 염려하는데 신령이 이르기를 난중에 죽었다 하매 꿈을 믿을 것이 아니로되 역력히 들었으므로 영연(靈筵)*을 배설*하였는데 의심컨대 살아 서로 보는 것입니까? 어찌 깊은 밤에 거취가 분명하지 아니합니까?” 삼랑이 목이 메어 이르되,“과연 그대의 덕을 모르고 탕자의 마음을 걷잡지 못하여 그대를 박대한 죄로 하늘이 내린 재앙을 받아 난중에 죽으매 후천에 가도 또한 죄인이라. 깨달으나 가히 미치지 못할 바이오, 귀신의 무리에도 참례하여 섞이지 못..
■ 본문[앞부분 줄거리] 명나라 선비 이주현의 부인이 어느 날 큰 별이 방 안에 떨어졌다가 황룡이 되어 승천하는 꿈을 꾸고 잉태한 뒤, 18개월 만에 아들을 낳아 경모(아명:경작)라고 이름을 짓는다. 경모는 어려서 부모를 잃은 뒤 남의 집에 머슴살이를 하며 떠돌아다니다가 퇴임 재상 양 승상의 눈에 띈다. "내 여서를 헤기로 병이 일웠더니 금일 영웅을 얻어 동상을 허하였으니 여아의 재덕을 저바리지 아님이라. 어찌 기쁘지 아니리오." 부인이 역희 왈, / "영웅을 가리었다 하시니 아지 못게라. 뉘집 자녀며 문미 어떠하니잇가?" 공이 가로되, / "인품을 볼지니 어이 문미를 이르리오." 하고 인하야 경작의 일을 이르니, 부인이 안색이 여토하야 돈족 대경 왈, "다시 이르지 마르소서. 경주는 이계궁의 모란이오,..
■ 본문청보양반 소년(少年) 당상(堂上) 아해(兒孩) 도령 좌우로 늘어서서 말 잡아 장고(長鼓) 메고 소 잡아 북 메고 안성(安城) 마치 캥수 치고 운봉(雲峰) 내기 징 치고, 술 거리고 떡 치고, 홍문연(鴻門宴) 높은 잔치 항 장군 이 칼춤 출 때 마음이 한가(閑暇)하여 석상(石床)에 비기 앉아 고금사(古今事)를 곰곰 생각할 때, 어데서 응 박 캥캥하는 소리 양반이 잠을 이루지 못하여 나온 짐에 말뚝이나 한번 불러 보자. 이놈, 말뚝아─어릿광대 일동(젓양반 · 갓양반 · 초란이) (제각기) 말뚝아, 말뚝아,청보양반 쉬─ (말뚝아 부르면서 흥청거리는 어릿광대들의 면상을 탁탁친다.)어릿광대 일동 (제각기) 아야, 아야. 굿거리장단이 나온다. 음악에 맞추어 덧배기 춤을 모두 어울리어 한바탕 춘다. 청보양반 ..
■ 본문 화왕(花王)께서 처음 이 세상에 나왔을 때, 향기로운 동산에 심고, 푸른 휘장으로 둘러싸 보호하였는데, 삼춘가절(三春佳節)을 맞아 예쁜 꽃을 피우니, 온갖 꽃보다 빼어나게 아름다웠다. 멀고 가까운 곳에서 여러 꽃이 다투어 화왕을 뵈러 왔다. 깊고 그윽한 골짜기의 맑은 정기를 타고난 탐스러운 꽃들이 다투어 모여 왔다.▶화왕의 내력 문득 한 가인(佳人)이 앞으로 나왔다. 붉은 얼굴에 옥 같은 이와 신선하고 탐스러운 감색 나들이 옷을 입고 아장거리는 무희(舞姬)처럼 얌전하게 화왕에게 아뢰었다. “이 몸은 백설의 모래사장을 밟고, 거울같이 맑은 바다를 바라보며 자라났습니다. 봄비가 내릴 때는 목욕하여 몸의 먼지를 씻었고, 상쾌하고 맑은 바람 속에서 유유자적(悠悠自適)하면서 지냈습니다. 이름은 장미라고 ..
■ 본문 하루는 대군이 서궁의 수헌에 앉아 계시다가 왜철쭉이 활짝 핀 것을 보고, 시녀들에게 각기 오언 절구(五言絶句)를 지어서 바치라고 명령했습니다. 시녀들이 지어서 올리자, 대군이 크게 칭찬하여 말했습니다. “너희들의 글이 날마다 점점 나아지고 있어서 매우 기쁘다. 다만 운영의 시에는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나타나 있다. 지난번 부연시(賦煙詩)에서도 그러한 마음이 희미하게 엿보였는데 지금 또 이러하니, 네가 따르고자 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이냐? 김생의 상량문에도 말이 의심스러운 데가 있었는데, 네가 생각하는 사람이 김생 아니냐?” 저는 즉시 뜰로 내려가 머리를 조아리고 울면서 말했습니다. “지난번 주군께 처음 의심을 사게 되자마자 저는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고 했었습니다. 그러나 제 나이가 아직 이십도..
■ 본문 정(鄭)이라는 어느 고을에 벼슬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는 학자가 살았으니 북곽 선생(北郭先生)이었다. 그는 나이 마흔에 손수 교정(校正)해 낸 책이 만 권이었고, 또 구경(九經)의 뜻을 부연해서 다시 저술한 책이 일만 오천 권이었다. 천자(天子)가 그의 행의(行義)를 가상히 여기고 제후(諸侯)들이 그 명망을 존경하고 있었다.▶북곽 선생 소개(반어와 과장) 그 고장 동쪽에는 동리자(東里子)라는 미모의 과부가 있었다. 천자가 그 절개를 가상히 여기고 제후가 그 현숙함을 사모하여, 그 마을의 둘레를 봉(封)해서 ‘동리과부지려(東里寡婦之閭)’라고 했다. 이처럼 동리자가 수절을 잘 하는 부인이라 했는데 실은 슬하의 다섯 아들이 저마다 성(姓)을 달리하고 있었다.▶동리자 소개(모순된 행위 비판) 어느 날 밤..
■ 본문 옛날 어느 왕국의 국왕이 혼인을 하기 위해 점을 쳤는데, 내년에 혼인하면 왕자 셋을 낳고 금년에 혼인하면 공주 일곱을 낳으리라는 점괘가 나왔지만, 왕은 하루가 급하다며 당장 간택을 하도록 하고 혼인을 한다. 결국 점쟁이의 말대로 왕비는 공주만 여섯을 낳게 된다. 왕과 왕비가 온갖 정성을 바치지만 일곱째마저 공주로 태어난다. 화가 난 왕은 일곱째 공주를 버리지만, 이 아기를 짐승들이 보호한다. 이에 왕은 아기를 옥함에다 넣어 물에 띄워 버리도록 하는데, 석가세존이 이 옥함을 건져 비럭공덕 할아범과 비럭공덕 할미에게 준다. 비럭공덕 할아범과 비럭공덕 할미가 아기를 데려가서 기르게 된다. 비럭공덕 할멈 비럭공덕 할아범 살어가고 공덕으로 살았는데 / 한 날은 애기씨가 아홉 살이 되었건만은 / 한 자 두..
■ 본문 김양주가 먹을 다 갈고 김 진사를 탁 치며, “무엇을 그리 정신없이 보고 있소. 어서 어음이나 써서 드리고 갑시다.” “예, 쓰지요. 그런데 오천 냥은 지금 있고, 오천 냥은 평양으로 기별을 해서 가져오든지, 그렇지 않으면 내가 내려가야 할 터인데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허 판서는 벼슬 팔기에 수단이 있는 양반일 뿐 아니라, 김 진사 집의 실정을 다 아는 터라, 이 말을 듣고 선뜻 허락을 한다. “그러면 오천 냥 가진 표는 나를 주고, 오천 냥은 어음만 써 놓았다가 나중에 들여놓게그려.” / 김 진사는 오천 냥 어음을 써 놓고, 또 오천 냥은 돈표를 써 놓으니, 허 판서가 받아 문갑 서랍에 넣고 웃는 낯으로 김 진사를 쳐다본다. “내일이면 과천 현감을 할 터이니, 이제는 김 과천이라 하지. 김 ..
■ 본문 심생은 서울의 양반이다. 약관의 나이에 용모가 매우 준수하고, 풍정이 넘쳤다. 어느 날 운종가에 나가 임금님의 거동을 구경하고 돌아오던 길이었다. 건장한 여종이 자주색 명주 보자기로 한 처녀를 덮어씌워 등에 업고, 머리를 땋은 여종은 주홍색 비단신을 들고 뒤를 따르는 모습이 눈에 들어 왔다. 어림짐작으로 보자기 안의 몸을 재어보니 어린 여자 아이는 아니었다. 드디어 심생은 바짝 붙어 뒤를 쫓았다. 멀찍이 따르다가 소매로 스치며 지나가기도 하면서 눈은 한 순간도 그 보자기를 떠나지 않았다. 걸음이 소광통교(서울의 지명)에 이르렀을 때,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앞에서 일어나 자주색 보자기를 반이나 들추었다. 아니나 다를까 처녀가 나타나는데 복숭아 빛 발그레한 뺨에 버들가지 같은 가는 눈썹, 초록 저고리..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